월평동(대전광역시 서구)

덤프버전 :



서구법정동
월평동
月坪洞 | Wolpyeong-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서구
행정표준코드3017011300
관할 행정동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하위 행정구역102통 563반
면적4.16㎢
인구45,603명[A]
인구밀도10,962.26명/㎢
1. 개요
2. 관할 행정동
2.1. 월평1동
2.2. 월평2동
2.3. 월평3동
3. 주요 시설
3.1. 정부기관 및 정부유관기관
3.2. 금융기관 및 기업체
3.3. 상업시설
3.4. 교육시설
3.4.1. 고등학교
3.4.2. 중학교
3.4.3. 초등학교
3.5. 기타
4. 공동주택
5. 교통
5.1. 버스
5.2. 지하철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전광역시 서구에 있는 . 남북으로 길쭉한 편이나, 남쪽은 월평공원 및 산으로 막혀있어 알아차리기 어렵다. 평지인 월평동 북부는 갈마동만년동과 함께 둔산신도시 서편을 이루나, 남쪽으로는 도마동, 도안동, 가수원동, 관저동과도 접해있을 정도로 길게 뻗어있다. 물론 이들과 생활권이나 국회의원 선거구되어있다.


2. 관할 행정동[편집]



2.1. 월평1동[편집]


서구행정동
월평1동
月坪一洞 | Wolpyeong 1(il)-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서구
행정표준코드3660039
관할 법정동월평동
하위 행정구역37통 153반
면적2.80㎢
인구11,252명[A]
인구밀도4,018.57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서구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범계 (3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영 (초선)
서구의원 | 바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손도선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인화 (초선)
행정복지센터월평서로 13 (월평동 1181-2)
월평1동 행정복지센터


2.2. 월평2동[편집]


서구행정동
월평2동
月坪二洞 | Wolpyeong 2(i)-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서구
행정표준코드3660040
관할 법정동월평동
하위 행정구역28통 166반
면적0.55㎢
인구13,804명[A]
인구밀도25,098.18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서구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범계 (3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영 (초선)
서구의원 | 바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손도선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인화 (초선)
행정복지센터갈마역로 145 (월평동 218-3)
월평2동 행정복지센터


2.3. 월평3동[편집]


서구행정동
월평3동
月坪三洞 | Wolpyeong 3(sam)-dong

광역자치단체대전광역시
기초자치단체서구
행정표준코드3660054
관할 법정동월평동
하위 행정구역37통 244반
면적0.90㎢
인구20,547명[A]
인구밀도22,830.00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서구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범계 (3선)
대전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영 (초선)
서구의원 | 바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손도선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정인화 (초선)
행정복지센터청사로 27-9 (월평동 310)
월평3동 행정복지센터



3. 주요 시설[편집]



3.1. 정부기관 및 정부유관기관 [편집]


중심업무지구인 둔산동정부대전청사가 바로 옆에 있어서 상당수의 공공기관들이 월평동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9년 정부청사역네거리앞 터미널 부지에 정부합동청사인 나라키움 대전센터가 들어서서 이곳에 많은 공공기관들이 입주해 있다.



3.2. 금융기관 및 기업체[편집]




3.3. 상업시설[편집]




3.4. 교육시설[편집]



3.4.1. 고등학교[편집]



3.4.2. 중학교[편집]



3.4.3. 초등학교[편집]




3.5. 기타[편집]




4. 공동주택[편집]


월평타운 1단지만 제외하고는 둔산신도시의 일부로 개발되었으며 둔산신도시의 일부 개발된 아파트 단지들의 이름이 꽃이나 자연지명인 것이 특징이다.

건설사아파트세대수입주 일자
대전도시공사 / 계룡건설산업하나로아파트1,350세대1993년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은뜰마을 둔산주공1단지1,491세대1993년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은뜰마을 둔산주공2단지1,130세대1993년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은뜰마을 둔산주공3단지1,403세대1993년 7월
서우건설 외 3개사백합아파트622세대1993년 11월
금성백조주택샛별아파트450세대1993년 12월
경성주택 / 신호종합개발황실타운아파트1,950세대1994년 2월
경성주택다모아아파트1,260세대1994년 2월
대륙건설월평타운아파트[1]496세대1994년 3월
경성주택전원아파트360세대1994년 7월
경성주택 / 임광토건 / 서우건설 / 범양건영한아름아파트780세대1994년 10월
SK건설 / 대우건설 / 삼부토건 / 삼익건설누리아파트1,704세대1994년 10월
계룡건설산업무지개아파트600세대1994년 10월
태영건설무궁화아파트630세대1994년 11월
까뮤이앤씨 / 범양건영진달래아파트1,080세대1995년 4월


5. 교통[편집]



5.1. 버스[편집]


[A] A B C D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1] 유일하게 둔산택지개발 지구가 아닌 아파트이다.


5.2. 지하철[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1:57:59에 나무위키 월평동(대전광역시 서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