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H. 수어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토머스 제퍼슨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티모시 피커링존 마셜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임스 매디슨로버트 스미스제임스 먼로존 퀸시 애덤스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헨리 클레이마틴 밴 뷰런에드워드 리빙스턴루이스 맥래인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존 포시스대니얼 웹스터에이벌 P. 업셔존 C. 칼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제임스 뷰캐넌존 M. 클레이턴대니얼 웹스터에드워드 에버렛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윌리엄 L. 마시루이스 카스 제레미아 S. 블랙윌리엄 H. 수어드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엘리후 B. 워시번해밀턴 피시윌리엄 M. 에버트제임스 G. 블레인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프레드릭 T. 프레링후이슨 토머스 F. 바야드 제임스 G. 블레인존 W. 포스터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월터 Q. 그레셤리차드 올니존 셔먼윌리엄 R. 데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존 헤이엘리후 루트로버트 베이컨필랜더 C. 녹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윌리엄 J. 브라이언로버트 랜싱베인브리지 콜비찰스 에번스 휴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프랭크 B. 켈로그헨리 L. 스팀슨코델 헐에드워드 스테티니어스 Jr.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제임스 F. 번즈조지 C. 마셜딘 애치슨존 포스터 덜레스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크리스찬 허터딘 러스크윌리엄 P. 로저스헨리 키신저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사이러스 밴스에드먼드 머스키알렉산더 헤이그조지 P. 슐츠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제임스 베이커로렌스 이글버거워런 크리스토퍼매들린 올브라이트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콜린 파월콘돌리자 라이스힐러리 클린턴존 케리
제69대제70대제71대
렉스 틸러슨마이크 폼페이오토니 블링컨



[ 펼치기 · 접기 ]
초대
조지 클린턴
제2대
존 제이
초대2
조지 클린턴
제3대
모건 루이스
제4대
대니얼 D. 톰킨스
제5대
존 테일러
제6대
드윗 클린턴
제7대
조셉 C. 예이츠
제6대2
드윗 클린턴
제8대
너새니얼 피처
제9대
마틴 밴 뷰런
제10대
에노스 T. 스루프
제11대
윌리엄 L. 마시
제12대2
윌리엄 H. 수어드
제13대
윌리엄 C. 바우크
제14대
사일러스 라이트
제15대
존 영
제16대
해밀턴 피시
제17대
워싱턴 헌트
제18대
호레이쇼 시모어
제19대
마이런 H. 클라크
제20대
존 A. 킹
제21대
애드윈 D. 모건
제18대2
호레이쇼 시모어
제22대
루번 펜턴
제23대
존 T. 호프먼
제24대
존 애덤스 딕스
제25대
새뮤얼 J. 틸던
제26대
루시어스 로빈슨
제27대
알론조 B. 코넬
제28대
그로버 클리블랜드
제29대
데이비드 H. 힐
제30대
로스웰 P. 플라워
제31대
리바이 P. 모턴
제32대
프랭크 S. 블랙
제33대
시어도어 루스벨트
제34대
벤저민 오델
제35대
프랭크 W. 히긴스
제36대
찰스 에번스 휴스
제37대
호레이스 화이트
제38대
존 앨든 딕스
제39대
윌리엄 슐저
제40대
마틴 H. 글린
제41대
찰스 S. 휘트먼
제42대
앨 스미스
제43대
네이선 L. 밀러
제42대2
앨 스미스
제44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제45대
허버트 리먼
제46대
찰스 폴레티
제47대
토머스 E. 듀이
제48대
W. 애버럴 해리먼
제49대
넬슨 록펠러
제50대
맬컴 윌슨
제51대
휴 캐리
제52대
마리오 쿠오모
제53대
조지 퍼타키
제54대
엘리엇 스피처
제55대
데이비드 패터슨
제56대
앤드루 쿠오모
제57대
캐시 호컬



미합중국 제24대 국무장관
윌리엄 헨리 수어드
William Henry Seward
파일:William_H_Seward.jpg
출생1801년 5월 16일
미국 뉴욕 주 플로리다
사망1872년 10월 10일(향년 71세)
미국 뉴욕 주 오번
국적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재임기간제12대 뉴욕주지사
1839년 1월 1일 ~ 1842년 12월 31일
제24대 국무장관
1861년 3월 6일 ~ 1869년 3월 4일
서명파일:윌리엄 H. 수어드 서명.svg
정당
종교성공회
배우자프랜시스 밀러

파일:WSeward.png
뉴욕주지사 시절 초상화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미국의 정치인.

제24대 국무장관 및 뉴욕 주지사를 역임하였다.

2. 상세[편집]


알래스카를 매입한 장본인이다. 그 당시 알래스카는 별 가치없는 동토로 여겨졌기에 알래스카를 두고 '수어드의 냉장고'라고 조롱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대에 와선 지정학적으로나 알래스카 유전의 경제적 가치로나 신의 한수로 여겨진다.

뉴욕주 주지사와 상원의원을 역임한 북부 휘그당과 공화당의 핵심인물로, 에이브러햄 링컨 정부에서는 국무장관을 지냈다. 1860년 대선 직전까지만 해도 링컨보다 훨씬 유명한 거물이었다. 공화당 경선의 유력 주자였지만 이전의 정치 경력에서 적을 많이 만들었기 때문에 보다 중도적이었던 링컨에게 패배하고 대신 국무장관이 되었다. 이후 앤드루 존슨 때까지 유임되었고 이 때 알래스카를 매입했다.

링컨 취임 직후에는 링컨 대신 자신이 막후 실세로서 정권을 주도하기 위해 링컨의 뒤에서 여러 공작을 펼치기도 했다. 링컨이 살몬 체이스를 재무장관으로 임명하려 하자 그를 임명한다면 국무장관을 맡지 않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하지만 링컨은 그런 술수에 넘어가지 않았고, 스스로가 최종 결정권자임을 분명히 함과 동시에 수어드에게 중책을 맡기자 점점 링컨을 인정하고 그와 친구가 되기에 이르렀다. 현대에는 알래스카 매입 쪽이 더 유명하지만, 남북전쟁 기간 동안 외교를 전담하여 양면전쟁 없이 영국, 프랑스 등이 남부연합을 지원하지 못하도록 막는 데 성공한 것도 수어드의 매우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된다. 링컨은 국무장관으로서의 역할 범위를 넘은 다양한 안건에서 수어드를 가장 중요한 조언자로 활용하였다. 이는 다른 장관들이나 공화당 급진파의 공격을 불러일으켰지만 링컨은 끝까지 수어드를 신뢰했다. 사적으로도, 링컨의 농담을 싫어했던 체이스 등 일부 각료들과 달리 농담을 주고받고 링컨이 수어드의 집에 자주 방문할 정도로 친한 사이였다.

연방영토로의 노예제 확대를 강하게 반대했고, 부도덕한 노예제를 점진적으로 폐지할 것을 주장했다. 1850년의 타협으로 도망노예단속법이 강화되자 뉴욕주 주지사였던 수어드는 뉴욕주의 도망노예들이 끌려가기 전 재판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노예들을 북부 및 캐나다로 탈출시키는 ‘지하철도’ 조직으로 유명한 해리엇 터브먼과도 친분이 있었고 지하철도 활동을 지원했다. 노예해방선언 당시에는 링컨에게 이를 바로 발표하기보다는 큰 군사적 승리를 거둔 뒤 발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으며, 링컨은 이를 받아들여 앤티텀 전투 이후 선언을 발표했다. 링컨이 노예제 폐지를 명시한 수정헌법 제13조를 통과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자, 수어드는 수정헌법을 반대하는 민주당원들에게 먹일 뇌물을 자신의 정치자금으로부터 제공하면서까지 수정헌법 통과에 기여했다. 링컨 사후인 1865년 12월 수어드는 양원의 2/3 이상의 찬성을 얻고 전체 주들 중 3/4 이상(27개주)의 승인을 받은 수정헌법 제13조를 직접 공포했다. 1868년 수어드는 국무장관으로서 흑인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수정헌법 제14조 또한 공포했다.

링컨 대통령 암살 사건 당시 동시에 공격을 받았고 겨우 죽음의 위기를 넘겼다. 링컨이 순교자이자 국가적 영웅이 된 뒤 링컨의 그림자에 가려지게 되었고, 만년에는 그 당시 링컨과 같이 죽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듯한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

미국 최초의 국무장관 재임 중 해외 방문하였다. 공무가 아닌 덴마크령 서인도 제도를 휴가 겸 방문해서 산타 안나 멕시코 대통령과 만남을 가지기도 했다.

그랜트가 대통령이 된 뒤 국무장관에서 물러나 자신이 구매한 알래스카로 여행을 떠났고, 멕시코와 쿠바를 방문했다. 이후 서쪽으로 세계일주 여행을 떠나 일본, 중국, 인도를 방문하기도 했다. 일주를 마친 1년 뒤인 1872년 10월 뉴욕주 어번 자택에서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4:44:36에 나무위키 윌리엄 H. 수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