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열(야구)

덤프버전 :

이상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color=#ff6600><tablebgcolor=#ff6600>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1)
민문식
||<width=20%>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1)
||<width=20%>
(3명)
||<width=20%>
(3명)
||<width=20%>
(3명)
||
|| 1990 || 1991 || 1992 || 1993 ||<bgcolor=#f7000d> 199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지화동
김성한 || 양용모 || 지연규 || 구대성 || 길배진 ||
||<bgcolor=#f7000d> 1995 ||<bgcolor=#f7000d> 1996 ||<bgcolor=#f7000d> 1997 ||<bgcolor=#f7000d> 1998 ||<bgcolor=#f7000d> 1999 ||
||<width=20%><rowcolor=#f7000d><rowbgcolor=#f7f7f7,#191919> 신재웅 || 홍원기
(고졸)
|| 이성갑
(고졸)
|| 김민규
(고졸)
|| 박정진
(고졸)
문용민
||
||<bgcolor=#f7000d> 2000 ||<bgcolor=#f7000d> 2001 ||<bgcolor=#f7000d> 2002 ||<bgcolor=#f7000d> 2003 ||<bgcolor=#f7000d> 200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조규수 || 김태균 || 신주영 || 안영명 || 김창훈 ||
||<bgcolor=#f7000d> 2005 ||<bgcolor=#f7000d> 2006 || 2007 || 2008 || 200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윤근영 || 유원상 || 장필준(1)
최진호 || 박상규 || 김회성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용주(2) || 유창식(2) || 하주석(2) || 조지훈(2) || 황영국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범수 || 김주현 || 김병현 || 성시헌 || 변우혁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신지후 || 정민규 || 문동주 || 김서현(2) || 황준서(2) ||
||<bgcolor=#000000><-5>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면 드래프트 시행 년도 1R 지명 선수 ||



이상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Eagles_Champion_v1.png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3.svg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4.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920032004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03 KBO 리그 홀드왕

{{{#fff [[한화 이글스|한화 이글스]] 등번호 20번}}}
나성열
(1995.5.11~1995)
이상열
(1996~2001.6.15)
김홍집
(2001.6.16~2001)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11번
김홍집
(1993~2001.6.15)
이상열
(2001.6.16~2007)
팀 해체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 / [[서울 히어로즈|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11번}}}
팀 창단이상열
(2008)
이정호
(2009~2010)
서울 히어로즈 등번호 17번
강정호
(2008)
이상열
(2009)
클락
(2010)
{{{#ffffff [[LG 트윈스|LG 트윈스]] 등번호 30번}}}
강지광
(2009)
이상열
(2010~2015.7.23)
강승호
(2016)
{{{#ffffff [[SK 와이번스|SK 와이번스]] 등번호 59번}}}
밴와트
(2015~2015.7.9)
이상열
(2015.7.31~2015)
김주한
(2016~2019)

파일:현대 이상열.jpg
이상열
李相烈 | Sang Yeul Lee
출생1977년 4월 20일 (47세)
충청남도 천안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천안남산초 - 천안북중 - 북일고
신체185cm, 73kg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1996년 고졸우선지명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1996~2001)
현대 유니콘스 (2001~2007)
우리-서울 히어로즈 (2008~2009)
LG 트윈스 (2010~2015)
SK 와이번스 (2015)
지도자포천 몬스터 투수코치 (2022~)

1. 개요
3. 은퇴 후
4. 여담
5. 연도별 주요 성적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화 이글스, 현대 유니콘스, 히어로즈, LG 트윈스, SK 와이번스 소속의 투수. 주로 좌완 원 포인트 릴리프로 활약했다.


2. 선수 경력[편집]



3. 은퇴 후[편집]


2017년부터 서울 화곡동에서 본인의 이름을 걸고 롯데에서 선수 생활 및 배터리코치를 맡았던 이동훈과 함께 야구레슨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블로그 링크

그러다가 이동훈과 함께 2022년 6월 2일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소속 팀인 포천 몬스터의 투수코치로 부임했다.


4. 여담[편집]


  • 말이 없다. 과묵한 정도가 엄청나다고 한다. 같은 팀에 뛴 선수들도 이상열이 워낙 말이 없어서 당황했다고 한다.

  • 별명은 꽃거지. 호리호리한 체격은 꽃미남의 조건을 충족시키지만 머리가 너무 덥수룩했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었다.

  • TV 중계로 보면 상당히 말라보이나 투수답게 근육질에 어깨가 넓어서 실제로 보면 꽤 체격이 좋다.

  •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 199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들었었다.[1]넥센 히어로즈송지만이 2014 시즌 후 은퇴하면서, 2015시즌 현역 선수들 중에 유일하게 한화의 우승 반지를 갖고 있는 선수이기도 했다. 박정진이 이상열보다 나이는 1살 더 많고, 1999년에도 현역으로 뛰었지만 당시 시리즈 엔트리에 들지 못했기 때문에 우승 반지는 없다. 하지만 이제 이상열도 은퇴한 상태가 되었기에 한화 우승반지를 가진 현역선수는 아무도 남지 않게 되었다.



5. 연도별 주요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WHIP
1996한화1517⅓00007.27247131.79
19973751⅔15204.184824311.37
1998342600006.922728182.04
1999535431106.006335321.76
20003288⅓37005.719549751.60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WHIP
2001한화 / 현대251711023.182712102.18
2002현대6473⅓421103.937120711.23
20037258⅔21216
(공동 1위)
2.915521481.26
200481
(2위)
6041020
(2위)
2.555519461.22
2005군복무(공익근무요원)
2006
200772⅔000213.506223.00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WHIP
2008우리44010011.256412.50
2009히어로즈261101057.3612361.36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WHIP
2010LG76
(1위)
59⅔22016
(5위)
3.325222441.21
201177
(1위)
4406318
(5위)
3.894513271.30
201273
(2위)
55⅔130153.724718291.13
201364
(공동 5위)
33230133.274315221.67
201412800017.8811451.75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WHIP
2015LG / SK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17시즌)
752664⅓23349118
(7위)
4.406872964901.44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상열 문서의 r9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상열 문서의 r9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등판은 아예 하지 않았다. 당시 한화 투수진의 상태가 썩 좋지도 않았던터라 정민철, 송진우, 이상목 선발 3명에 이상군, 한용덕 계투 2명, 구대성 마무리 1명으로 6명만 투입했다. 나머지 4명의 선수는 사실상 보험용에 가까웠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2:24:01에 나무위키 이상열(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