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 1기)

덤프버전 :

파일:책벌레의 하극상 한국 로고.png
>
발매 현황 등장인물 설정 코믹스 드라마 CD
애니메이션 (TVA 1기 · 2기 · 3기 · 4기) 엔드 카드 파일:책벌레의하극상깃털펜.pn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5fb857 45%, #ffffff 55%, transparent 55%); width: 90%"


책벌레의 하극상:
사서가 되기 위해서라면 뭐든지 할 수 있어
(2019)
本好きの下剋上
~司書になるためには手段を選んでいられません~
Ascendance of a Bookworm
파일:책벌레의 하극상 TVA 1기 키비주얼.jp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3. 줄거리
6. 주제가
6.1. OP
6.2. ED
7. 회차 목록
9. 평가
9.1. 방영 전
9.2. 방영 후



1. 개요[편집]


라이트 노벨 책벌레의 하극상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혼고 미츠루, 방영 시기는 2019년 10월.


2. 공개 정보[편집]



2.1. PV[편집]


티저 PV

메인 PV


3. 줄거리[편집]


현대 일본에서 생활하고 있던 "모토스 우라노"는, 소원이었던 도서관에 취직한 바로 그날 사망하고 만다.

좀 더 많은 책을 읽고 싶다, 그러한 미련이 남은 채로 그녀는,

문득 정신이 드니 이세계의 유녀 마인으로써 몸을 갖고 의식을 되찾았다.

이야기의 무대는 마법의 힘을 가진 귀족들이 지배하는

중세시대 같은 이세계의 도시 에렌페스트.

엄격한 신분제도 가운데, 현대 일본의 지식을 가진 소녀 마인은

책을 손에 넣기 위해 분투한다.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책벌레의 하극상/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책벌레의 하극상/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편집]



6.1. OP[편집]


OP
真っ白
새하얌
TV ver.
Full ver.
노래모로호시 스미레[1]
작사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시라토 유스케(白戸佑輔)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혼고 미츠루
연출
작화감독야나기다 요시아키(柳田義明)
카이야 토시히사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 LYRICAL NONSENSE


6.2. ED[편집]


ED
髪飾りの天使
머리장식의 천사[2][3]
TV ver.
Full ver.
노래나카지마 메구미[투리]
작사요시자와 카요코
작곡
편곡키요시 류진(清 竜人)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height=20 LYRICAL NONSENSE]]


7.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4]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TVA
제1장本のない世界
책이 없는 세계
쿠니사와 마리코
(國澤真理子)
혼고 미츠루요시카와 야요이
(芳川弥生)
콘도 유지
(近藤優次)
마츠모토 토모유키
(松本朋之)
야나기다 요시아키
(柳田義明)
日: 2019.10.03.
韓: 2019.10.05.
하이라이트
제2장生活改善と石板
생활 개선과 석판
카와사키 요시키츠지 카나코
(辻 加奈子)
요시카와 야요이
카이야 토시히사日: 2019.10.10.
韓: 2019.10.12.
하이라이트
제3장冬のできこと
겨울에 있었던 일
오가타 타카히데
(緒方隆秀)
카토 시게루
(加藤 茂)
카토 아이
(加藤 愛)
키시 치에미
(岸 智恵美)
엔도 에미코
(遠藤江美子)
日: 2019.10.17.
韓: 2019.10.19.
하이라이트
제4장初めての森と粘土板
처음 가보는 숲과 점토판
카와사키 요시키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콘도 유지
마츠모토 토모유키
야나기다 요시아키日: 2019.10.24.
韓: 2019.10.26.
하이라이트
제5장洗礼式と不思議な熱
세례식과 이상한 열병
이시야마 유코
(石山優子)
羽永花ゆい요시카와 야요이카이야 토시히사日: 2019.10.31.
韓: 2019.11.02.

하이라이트
제6장会合
회합
쿠니사와 마리코오가타 타카히데카토 시게루
키시 치에미
야나기다 요시아키日: 2019.11.07.
韓: 2019.11.09.
하이라이트
제7장不信感の芽生え
불신이 싹트다
모리 타케시나카무라 치카요
(中村近世)
쿠마가이 카요코
(熊谷香代子)
사이토 마사카즈
(斎藤雅和)
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마스켓
엔도 에미코
엔도 에미코日: 2019.11.14.
韓: 2019.11.16.
하이라이트
제8장ルッツのマイン
루츠의 마인
이시야마 유코카와사키 요시키츠지 카나코카이야 토시히사日: 2019.11.21.
韓: 2019.11.23.
하이라이트
제9장ギルド長の孫娘
길드장의 손녀
쿠니사와 마리코모리 타케시오가타 타카히데카토 시게루
카토 아이
야나기다 요시아키日: 2019.11.28.
韓: 2019.11.30.
하이라이트
제10장二度目の冬に向けて
두 번째 겨울을 맞이하며
혼고 미츠루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콘도 유지
마츠모토 토모유키
엔도 에미코日: 2019.12.05.
韓: 2019.12.07.
하이라이트
제11장究極の選択と家族会議
최후의 선택과 가족회의
羽永花ゆい요시카와 야요이카이야 토시히사日: 2019.12.12.
韓: 2019.12.14.
하이라이트
제12장洗礼式と神の楽園
세례식과 신의 낙원
오가타 타카히데유도 야요이
(有働弥生)
키시 치에미
카토 시게루
야나기다 요시아키日: 2019.12.19.
韓: 2019.12.21.
하이라이트
제13장巫女見習いという選択肢
무녀 수습생이라는 선택지
이시야마 유코모리 타케시나카무라 치카요쿠마가이 카요코
사이토 마사카즈
카도 토모아키
마스켓
엔도 에미코日: 2019.12.26.
韓: 2019.12.28.
13화 하이라이트
14화 하이라이트
제14장決着
결착
카와사키 요시키츠지 카나코카이야 토시히사
OVA
제14.5장ユストクスの下町潜入大作戦
유스톡스의 평민촌 잠입 대작전
コリンナ様のお宅訪問
코린나 댁을 방문하다
쿠니사와 마리코카와사키 요시키
혼고 미츠루
혼고 미츠루콘도 유지
마츠모토 토모유키
야나기다 요시아키日: 2020.03.10.
韓: 2020.03.14.


8. 엔드 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엔드 카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평가[편집]



9.1. 방영 전[편집]


PV가 공개되자 기대보다 불안의 반응이 많다. 가장 큰 지적 사항으로는 캐릭터 디자인이 원화와 괴리감이 심하다는 것. 그리고 채색에 대한 불호가 제일 많다.

두 번째로는 분량 문제가 있다. 본작은 모두 21권이나 되는데다 한 권의 분량도 굉장히 많아서 애니메이션에서는 생략된 이야기가 적지 않음에도 1기로는 1부인 3권 정도까지밖에 소화할 수밖에 없다. 1부만을 애니화한다면 다소 애매한 부분에서 끊기지만 2020년 4월에 2기를 방영하기로 결정되었지만, 기사단 소동편까지만 진행되어 분량문제는 아직 남아있다. 이 문제는 2022년 4월에 3기 분량이 나와서 해결되었다.


9.2. 방영 후[편집]


PV 공개 시절의 채색이나 작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많이 줄어들었다. 그보다는 앞서 우려되었던 스토리 분량 때문인지 스토리 시작점을 2부로 하고 신관장이 마인의 기억을 보는 형식으로 1부를 회상하는 식으로 구성했는데, 애니판으로 처음 접한 시청자에게는 어설픈 묘사와 연출 덕분에 오히려 스토리와 세계관을 잘 이해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했다.[5]

코믹스판과는 달리 모에 그림체가 아닌 캐릭터 디자인은 약간의 혹평을 받는 중. 아무래도 평범한 모에 그림체가 아니라 다소 투박한 아동용스럽게 디자인되었기 때문인데, 이는 감독인 혼고 미츠루도라에몽크레용 신짱 등 과거 아동용 애니메이션을 많이 만든 영향으로 보인다. 라이트 노벨로는 대성공을 했지만 소재가 2020년대 일본 에니메이션의 주류와는 다소 거리도 있어서 흥행도 불확실하고.

성우 연기는 호평중. 투리와 마인의 귀여움이 잘 표현된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마인의 망상과 엔딩에서 나오는 그림체와 실생활의 그림체가 전혀 다르고, 흰색 건물 위에 증축한 평민의 집의 모습이라던가 누더기 기운 옷, 황금 벌판, 세밀한 돼지의 묘사 등 작화가 모에 타입이 아닌데도 준수한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매 화 마지막에 보여주는 스토리 예고도 전 분기의 길모퉁이 마족의 엔딩을 떠올리게 한다. 일부러 단순하게 그린 듯한 작화지만 조잡하지 않은 퀄리티.

2화의 스토리 예고에서 스킵되었음을 알려줌으로써[6] 긴 분량을 적절히 줄이면서도 꽤 신경쓰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직설적인 표현이 아니라서 쉽게 못 알아들을 가능성이 없진 않다. 귀족들의 어투 완벽 고증[7]

정적이지만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며, 원작재현도 매우 충실하다. 조연 주연 가리지 않고 인물표정의 다양성과 종류 수는 몇 년 내의 TVA 작품들 중에서도 단연 압도적으로 많으며, 심지어 대놓고 얼굴개그를 주로 쓰는 동분기 개그물 신중용사만큼 많고 특징도 잘 살아 있다. 배경 미술은 상당한 고퀄이고, 7화의 계약마술 화염 등 임팩트 있는 효과처리도 간간히 보여주고 있다. 글씨체가 사람에 따라 다 다르다든가 마인이 처음 글자를 배울 때의 석판을 보면 점점 모양새가 나아지는 모습이 그대로 나오는 것 (그것도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면 뭉뚱그려 처리하는 게 일반적인데 구도가 아예 다른데도 쓴 모양이 똑같다!), 린샴을 쓰기 전에는 머리카락에 윤기가 없는 것, 에렌페스트의 건물들이 원래 2층이고 위에 증축된 것을 알 수 있는 경계선 등 쉽게 신경쓰기 힘든 곳에서도 고증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느낄 수 있다.

마지막 14화는 13화와 연속 방영해서 1기 14화로 신전에 입성하게 되는 3권 까지인 원작 1기 분량까지 2019년 말에 모두 마쳤다. 저예산 제작으로 작화는 다소 미흡하고, 방대한 분량 문제로 불가피한 생략이 꽤 있지만 큰 작붕이나 중요한 내용의 생략없이 원작을 그대로 따라간 전개와 적절한 감정 연출로 다녀왔어-어서와로 무난하게 잘 끝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엔딩에서도 To be continued로 별다른 엔딩 크레딧 없이 끝나며 머지않아 2기가 방영될 것을 예고하였다.

서구권 애니메이션 팬덤에서도 매우 평가가 좋다. 애니전문 동영상 싸이트인 크런치롤의 평점이 4.7/5.0 으로 매우 긍정적이고 특히 다른 양산형 이세계물과 차별화된 현실적이고 독특한 작품이라는 좋은 평가를 얻고 있다.

애니메이션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 후지츠 료타 등이 호평을 남겼다.

[1] 드라마 CD에서는 레오노레와 한넬로레 담당이다.[2] 가사는 투리가 본 마인.[3] 엔딩 영상은 영상 제작사의 요청으로 모래그림으로 하였다.[투리] 투리 성우[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5] 신관장과 견습무녀의 만담 장면을 제외하면 이야기 진행은 1부의 최종 장면까지로 예상되고 있다.[6] 린샴이 빨리 나온 것[7] 특히 페르디난드의 캐릭터성을 생각하면 묘하다. 번거롭고 알기 어렵지만 친절이 있는 그 성격 그대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 문서의 r3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 문서의 r3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13:21:10에 나무위키 책벌레의 하극상(애니메이션 1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