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뮬러 3

덤프버전 :

포뮬러 3
Formula 3
파일:FIA_Formula_3.png
정식명칭FIA 포뮬러 3 챔피언십
영문명칭FIA Formula 3 Championship
창설년도2010년~2018년 (GP3)
2019년~ (현재 F3)
컨스트럭터달라라(Dallara)
엔진 공급업체메카크롬(Mecachrome)[1]
타이어 공급업체피렐리
최근 드라이버 월드 챔피언가브리엘 보톨레토 (브라질 / 2023)
최근 팀 챔피언프레마 레이싱 (이탈리아 / 2023)
공식 웹사이트홈페이지
공식 매체파일:유튜브 아이콘.svg[2]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804E386A-5F14-43FE-A1CF-C9224237DB71.jpg

1. 개요
3. FIA 포뮬러 3 챔피언십
3.1. 공식 규정
3.2. 2023 F3 시즌 참가 팀 & 드라이버
3.3. 역대 챔피언
3.4. 주요인물
3.5. 이 외 기타 인물
4. 기타 포뮬러 3 챔피언십
5. 창원 대회(1999~2004)
6. 기타



1. 개요[편집]


F1과 같은 온로드 서킷 오픈휠(Open-Wheel) 형식의 포뮬러 자동차 경주 대회이다.

이 대회는 FIA가 국제적으로 공인한 포뮬러 자동차 경주 대회 중에 가장 급이 낮은 대회이다. 하지만, 많은 예비 포뮬러 원 운전자에게 중요한 입문 코스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포뮬러 3 경주용 자동차는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음에도, 포뮬러 원 자동차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자동차 제작자 입장에서도 F3는 고성능의 경주용 자동차를 제작하기 위한 관문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포뮬러 3부터는 본격적으로 F1 진출을 가시권에 두게 된다. 레이스카도 본격적인 포뮬러 레이스카임으로 F3에서 보여주는 실력이 F1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포뮬러 2와 마찬가지로 포뮬러 3에서 챔피언했다고 다 F1에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자리도 고작 20자리 밖에 안되고 F3 드라이버들의 마지막 관문인 포뮬러 2에서 좋은 실력을 보여야 겨우 참가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대회 특성 상, 돈이 많이 들어가므로 대다수의 선수들은 부유층 자제를 제외하고 기업 스폰서 지원없이는 포뮬러 카테고리에서 계속 살아남기가 힘들다. [3]

2. F1화수분[편집]


F1 드라이버가 되고 싶은 아마추어 드라이버들의 정석적인 테크트리는 카트F4[4]→F3→F2F1이다. 그리고 이 테크트리를 보통 로얄 로드 라고 부른다. 가장 왕도적인 F1 입성 루트.[5] 물론 키미 라이코넨 같은 예외의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무래도 거쳐가는 과정이라는 의식이 많은 대회이므로 F3에는 나이가 어린 드라이버가 많다. 한가지 예로 2014년 FIA European Formula Three Championship의 챔피언은 에스테반 오콘[6]으로 무려 1996년생(우승당시 만 18세)이다. F1 드라이버가 되기 위한 과정을 알고 싶으면 이를 잘 묘사한 일본에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카페타를 참고할 것.

2019년 이전까지는 F1처럼 F1 이름아래 단일 대회로 치러지는 형식이 아니라, FIA European Formula Three Championship, British Formula Three Championship, All-Japan Formula Three Championship 등 8개의 국가/권역에서 개별적으로 치러지는 형식으로 개최되었었다. 한때 마카오에서 매년 열리는 마카오 그랑프리에서 각 권역별 챔피언들이 참가해서 자웅을 겨루기 때문에 Macau Grand Prix의 우승자가 F3 전세계 챔피언으로 취급받은 적이 있었다. F1은 실력만으로 드라이버로 뽑히는 세계가 아닌지라[7] Macau Grand Prix 우승자나 각 권역별 F3 우승자라 하더라도 F1 드라이버가 되기 힘들지만, F1이나 다른 유수의 대회 드라이버로 선정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므로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다. Macau Grand Prix 챔피언 출신으로 유명한 선수로는 F1 챔피언으로 유명한 미하엘 슈마허, 아일톤 세나 등이 있다.

많은 영드라이버들이 전세계 여러 카트리그에서 재능을 확인한다면 바로 여기서부터 두각을 보이는 선수들이 F1을 가시권에 잡게 된다. F3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면 보통은 F2로 클래스업을 할 수 있고 여기서 특출난 성적을 거둔다면 남들보다 한 템포 빠르게 F1 시트를 보장받거나 테스트 드라이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때문에 F3 부터는 경쟁의 강도가 상상을 초월하게 되며 극단적인 피라미드 모양의 F1 까지의 길 중에서 F1의 극한의 경쟁 모드를 미리 훈련하는 곳이기도 하다.


3. FIA 포뮬러 3 챔피언십[편집]




3.1. 공식 규정[편집]


파워트레인은 메카크롬 V6 3.4L 자연흡기 엔진과 전진6단 후진1단의 시퀀셜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며, 차체는 달라라 F3 2019 차량을 원메이크로 사용한다. 엔진 출력은 400마력이며, 무게는 673kg 이상이여야 한다.

그리고 한 팀에 두 명까지만 출전 가능한 포뮬러 1, 포뮬러 2와 달리, 포뮬러 3에선 한 팀에서 세 명까지 출전할 수 있다.


3.2. 2023 F3 시즌 참가 팀 & 드라이버[편집]


파일:FIA_Formula_3.png
2023 포뮬러 3 챔피언십
팀명국적드라이버
프레마 레이싱파일:이탈리아 국기.svg1.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폴 아론
2. 파일:스웨덴 국기.svg 디노 베가노비치
3. 파일:영국 국기.svg 잭 오설리반
트라이던트 레이싱파일:이탈리아 국기.svg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레오나르도 포나롤리
5.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엘 보르토레토
6. 파일:독일 국기.svg 올리버 괴체
ART 그랑프리파일:프랑스 국기.svg7.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런 프레드릭
8. 파일:스위스 국기.svg 그레구아 소우시
9.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니콜라 톨로프
MP 모터스포츠파일:네덜란드 국기.svg1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프랑코 콜라핀토
11. 파일:스페인 민간기.svg 마리 보야
12.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에드거
하이테크 펄스-에이트파일:영국 국기.svg1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세바스티안 몬토야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브리엘레 미니
16. 파일:영국 국기.svg 루크 브라우닝
반 아머스푸르트 레이싱파일:네덜란드 국기.svg17.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이오 콜레트
18.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파엘 빌라고메스
19. 파일:호주 국기.svg 토미 스미스
로딘 칼린파일:영국 국기.svg20. 파일:영국 국기.svg 올리버 그레이
21. 파일:미국 국기.svg 헌터 예이니
21.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 에스터슨
22.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도 코헨
캄포스 레이싱파일:스페인 국기.svg23. 파일:스페인 민간기.svg 페페 마르티
24. 파일:호주 국기.svg 크리스티안 만셀
25. 파일:호주 국기.svg 휴 바터
젠저 모터스포츠파일:스위스 국기.svg2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니키타 베르딘
27. 파일:영국 국기.svg 테일러 바나드
28. 파일:멕시코 국기.svg 알렉스 가르시아
PHM 레이싱 by 차루즈파일:독일 국기.svg29. 파일:독일 국기.svg 소피아 플뢰르슈
30. 파일:브라질 국기.svg 로베르토 파리아
31. 파일:폴란드 국기.svg 피오트르 비시니츠키
31. 파일:영국 국기.svg 맥켄지 크레스웰
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우현




3.3. 역대 챔피언[편집]


연도이름소속 팀국적포인트비고
2010년에스테반 구티에레즈ART 그랑프리멕시코88첫번째 GP3 챔피언
2011년발테리 보타스로터스 ART핀란드62최저 득점 챔피언
2012년미치 에반스MW 아르덴뉴질랜드151.5
2013년다닐 크비얏러시아168
2014년알렉스 린칼린영국207
2015년에스테반 오콘ART 그랑프리프랑스253최고 득점 챔피언
2016년샤를 르클레르모나코202
2017년조지 러셀영국220
2018년앙투안 유베르트프랑스214마지막 GP3 챔피언
2019년로베르트 슈와츠먼프레마 레이싱러시아212첫번째 F3 챔피언
2020년오스카 피아스트리오스트레일리아164
2021년데니스 하우게르트라이던트노르웨이205
2022년빅터 마르틴스ART 그랑프리프랑스139


3.4. 주요인물[편집]


F3(구 GP3 및 포뮬러 3 유럽 챔피언십) 출신 F1 드라이버 (괄호 안에 F1 출전 경력,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1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


3.5. 이 외 기타 인물[편집]


F1 드라이버들 중 F3(구 GP3 및 포뮬러 3 유럽 챔피언십) 출신 F2(구 GP2) 드라이버 (괄호 안에 F2{구 GP2} 출전 경력, 챔피언은 기울임체, 현역 F2 선수는 볼드체로 표시)



4. 기타 포뮬러 3 챔피언십[편집]


FIA 포뮬러 3를 제외하고도 다양한 포뮬러 3 챔피언십이 개최된다. 가장 대표적인 포뮬러 리저널부터, 일본의 슈퍼포뮬러 라이츠까지 전세계적으로 열린다.

  • 포뮬러 리저널 유럽 챔피언십
  • 포뮬러 리저널 중동 챔피언십
  • 포뮬러 리저널 북미 챔피언십
  • 포뮬러 리저널 일본 챔피언십
  • 포뮬러 리저널 오세아니아 챔피언십
  • GB3 챔피언십
  • 슈퍼포뮬러 라이츠
  • W 시리즈
  • 호주 포뮬러 3 챔피언십
  • 오스트리아 포뮬러 3 컵
  • 스위스 포뮬러 3 컵
  • 모터스포트 비전 포뮬러 3 컵
  • 유로포뮬러 오픈 챔피언십[8]

5. 창원 대회(1999~2004)[편집]


99년부터 2004년까지 창원에서 F3 코리아 슈퍼프리가 열렸으나, 현재는 주민들의 소음 관련 항의로 인해 모든 시가지 도로와 이어서 사용하던 서킷을 전부 철거한 상태이다. 의외로 대회 자체는 흑자였다고.


6. 기타[편집]


  • 상위 시리즈 파일:FIA_Formula_2_Championship_logo.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F3(던전 앤 파이터) 문서의 r7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F3(던전 앤 파이터)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58:29에 나무위키 포뮬러 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과거 1979년부터 F1에서 르노 스포트 F1 팀 엔진을 생산했던 적이 있으며, 다수의 컨스트럭터 팀을 월드 챔피언으로 이끌었다. F3 이전 GP3 시절 2016년부터 공급하였다.[2] 정식 채널이 없어서 F2와 F3 같은 대부분의 영상은 F1 유튜브에 올라온다. 한마디로 한솥밥 먹는 셈이다.[3] 부자집 출신 드라이버의 대표적 사례로는 이 분을 꼽을 수 있다.[4] 2014년부터 개최되었으며 글로벌 챔피언쉽은 없다. 때문에 드문 경우지만 F4를 건너뛰고 가족중에 인맥을 통해서 팀에 낙하산으로 들어가서 F3로 바로 올라가는 케이스도 있다.[5] 하지만 동시에 가장 험난한 루트이기도 한데 저 단계를 다 뚫고 오는데도 10년 가까이 걸리지만 결국에 F1에 데뷔하는 건 일 년에 아주 많아야 둘에서 셋이고 그 마저도 실력은 기본에 운이 어느정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루트를 타는 드라이버들은 이미 F2 즈음 되면 실력이 정점을 찍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드라이버들간 실력 차이가 정말 미세해져버린다.[6] 현재는 알핀 F1 팀 소속 드라이버이다.[7] 과거 실력미달이지만 일본 컨스트럭터빨로 일본인 F1 드라이버를 배출한 일본의 사례나, 실력이 충분한데도 스폰서를 얻지 못해 2013년 F1에 출전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고바야시 카무이 등의 사례가 있다.[8] 과거에는 스패니시 F3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이름이 바뀐 지금도 F3 규격을 사용하며, 슈퍼포뮬러 라이츠와 같은 섀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