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성버스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학성여객 문서
학성여객번 문단을
학성여객#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株式會社 鶴城BUS





1. 개요
2. 역사
3. 운영 노선
4. 기타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학성이 중구 쪽 지명인것과 달리본사는 동구 방어동 꽃바위공영차고지에 있으며[1], 차량번호는 울산71자 28**~29**번대를 사용한다. 홈페이지는 없지만, 엉뚱하게도 노동조합[2] 쪽의 '울산학성버스산악회' 카페가 공개되어 있다. 2015년은 빼먹고, 연 2회 활동 결과를 업로드하는 듯.


2. 역사[편집]


고려~조선 초기부터 옛 울산 시가지에 속했던 학성[3]에서 이름을 따 1980년 3월 13일 설립하였다. 울주군양산시, 부산광역시까지 넘나드는 지금과 달리 1995년 도농통합 전까지는 경상남도 울산시였던 지역에서만 운행하였다.


3. 운영 노선[편집]


개별노선제가 전면시행된 2019년 7월 1일 기준
106, 114, 121, 126, 131, 132, 402, 431, 824, 1401

리무진(급행)노선 : 울산 버스 5001

4. 기타[편집]


  • 울산에서 대우여객과 더불어서 기아 AM818[4] 현대 FB500 중문 폴딩형을 소수 운용한 회사다.[5]

  • 2020년 기준으로 울산에서 신차 옵션이 가장 좋다. 특이하게도 슈퍼 에어로 시티(일반형)를 뽑을 때 후방 2단 시트를 채용한 몇 안되는 회사이다.[6] 2005년식 부터는 안 뽑는가 싶더니, 2013년부터 F/L 모델에 2열 시트를 다시 뽑기 시작했다. 덤으로 이 무렵부터 알룩스 휠이 기본 옵션인 유니버스나 저상 차량 외에 일반형 차량에도 알룩스 휠과 에어서스를 장착하고 출고한다.[7] 그 외에도 에어로시티, 그린시티 신차에 봉벨 옵션까지 넣는다. 반면 블루시티는 울남계열보다 늦게 도입했다. 구형 차량 대차분이다. 2016년부터 더 이상 알룩스 휠은 장착하지 않는다. 또한 2017년 2971호를 마지막으로 에어서스가 장착된 에어로시티 모델이 출고되지 않고 있다. 다만 후방 2단 시트 옵션은 계속 적용해서 출고하는 중 2012년 후반기차량 부터 2018년 까지 파워시프트 기어+에어서스+트윈석인 거의 풀옵션으로 출고하다가 그 다음부터는 오토 + 판서스로 출고한다 오토차량은 2015년에서도 2850 2856호가 오토로 출고되었다.

  • 2012년, 도시형좌석차량 일색이었던 1137번에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차량 2대를 전격적으로 투입했다.[8][9] 울산 내 입지가 탄탄한 울산·남성여객보다도 앞선 것이어서 동호인들 사이에 이목이 집중되었고, 아니나다를까 시내좌석 노선들이 장사가 잘 되면 직행좌석으로 승격, 안되면 처형되는 대숙청을 거치는 시발점이 되었다.


  • 회사 재정이 너무 탄탄해서 그런지 연료절감에 별 신경을 안쓴다. 대체로 급출발이나 급감속을 하는 경우는 드물고 버스 모델의 특성상 귀터트릴듯한 기세로 가속을 끊임없이 하는 경우가 많다. 제한없는 속도를 원한다면 이 회사 차량을 타는 걸 추천한다. 단, 급출발 등은 주로 신도여객에서 느껴보기 쉽다. 그러나 요새는 속도제한장치를 달아서 이런 경향은 안 보여지고 있다.

  • 2017년 4월말 2대 출고를 시작으로 차량 구입 시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 고상형 블루시티 출고를 늘리고 있다.[10] 2018년 들어서 기존에 블루시티를 출고해오던 U bus 계열의 업체들이 차츰 블루시티 출고를 포기하는 와중에도 계속해서 블루시티를 출고해왔지만 이쪽도 고상형 블루시티에 대해 기사들의 평가가 좋지 않은 것은 매한가지이나, 저상형 블루시티에 대한 평은 그냥저냥인 듯 하다.

  • 울산 최초로 고상형 에어로시티에 자동변속기를 적용한 차량을 뽑았다. 그리고 이 때를 기점으로 더이상 블루시티를 뽑지 않고 다시 뉴슈퍼에어로시티를 뽑기 시작했으며 오토고상 아니면 저상으로 출고하고 있다. 윗동네 버스 회사와 비교되는 모습.



[1] 이전에는 남구 옥동에 위치했었다. 울산지방법원 근처[2]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소속. 2016년 창립한 2노조와는 별개이다.[3] 울산성 전투로 유명한 그 지역 맞다. 다만 울산왜성의 원래 이름은 도산성이었지 학성이 아니었다. 학성은 그 이전부터 존재한 원래 지명.[4] 1대씩만 있었다.[5] 1991년에 출고된 최종사양이었으며 하차벨, 손잡이, 시트, HYUNDAI 앞뒤 폰트는 에어로시티 형식으로 된 차량만 있었다. FB, RB하차벨 형식은 단 1대도 없었다.[6] 현재는 안전상의 이유로 모든 회사가 후방 2단시트를 채용하는가 싶더니 다시 대우여객과 학성버스 빼고 1열로 뽑는다.[7] 일반형 차량에 에어서스 사양은 경상도 최초.[8] 그것도 스윙도어 옵션으로 나왔다.[9] 2019년 7월 1일에 공동배차제가 폐지되고 개별노선제가 시행됨으로 인해서 1401번으로 이동되어 운행중이다.[10] 이는 대구와 딱 비교되는 모습인데, 블루시티에 대해 기사들의 악평이 급증하는 바람에 대구광역시에서 CNG 하이브리드 버스 보조금을 꽤 받아 놓았음에도 2017년 5월에 남도버스가 도입한 대구 유일의 컬러시트 장착 블루시티 저상버스를 마지막으로 회사들이 대놓고 블루시티 도입을 거부해서 보조금을 모두 써먹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대구가 당시 미칠 듯한 저상화를 하던 중이었는지라 고상형은 급행버스를 제외하고 출고하지 않았다. 기사들로부터 급증한 악평 때문에 대구에서 고상형 및 개선형 블루시티를 도입할 가능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