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고승전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동국통감제강본조편년강목
사략(史略)본조사략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일성록동궁일기
각사등록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응제시주제왕운기
기타삼국유사개황력대사편년
대사기속무정보감국조통기
발해고해동고승전동국병감
단군세가기자지동사
단군고기신라고기백제고기
해동고기본국고기삼한고기
기타 실전(失傳)
고구려유기신집
신라국사제왕연대력화랑세기
백제백제기백제신찬백제본기서기
고려구삼국사가락국기편년통록왕대종족기성원록금경록
위서(僞書)환단고기규원사화단기고사
부도지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해동고승전 (海東高僧傳)

소재지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수량/면적2권 1책
제작시기1215년
1. 개요
2. 특징
3. 차례
4. 인용 서적


1. 개요[편집]


고려의 승려 각훈[1]이 저술한 한반도의 족적을 남긴 스님들의 이야기를 다룬 책. 해동(海東)은 한반도를 의미하는 단어고 고승(高僧)이란 큰 뜻을 세운 스님을 뜻하며 전(傳)은 다양한 이야기를 묶은 책을 의미한다. 삼국사기삼국유사에서 나오지 않는 이야기들이 등장해 한국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서적이기도 하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 중이며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번역본을 볼수가 있다.

편찬시기는 불명이나 고종 10년(1215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책 내용중에 "순도가 한반도[2]에 불교를 처음 들여온지 844년이 지났다."는 문구가 있어 이를 역순으로 계산해 추정한 것이다.

책은 중국 고승전을 참조해 만들었다는 것을 감안해 총 10권[3]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권수는 알수가 없다. 현존하는 책은 1910년대에 해인사의 한 불탑에 들어 있던 것을 주지스님이 발견해 세상에 드러났다.

삼국사기에는 신라의 인물 김대문이 "고승전을 지었다."는 내용이 나오지만 그 책과 이 책 사이의 연관성은 알 수 없다. 학계에선 "같은 책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고 하여 여지를 남기고 있다.#


2. 특징[편집]


  • 삼국사기 등 일반적인 기전체 서적들과 달리 철저하게 스님의 일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이한 이야기들도 빼지 않고 넣었는데 용이 나타나 기적을 행한 이야기, 위대한 고승이 물에 들어가도 젖지 않고 불에 들어가도 타지 않은 일화라던지[4], 한 고승이 입적하자 푸른 물결이 그의 시신 주변으로 몰려왔고 그 고승은 그 물길을 따라 중국으로 떠났다[5], 신성한 3가지 향을 피우자 위독했던 왕녀가 낫는 이야기[6]등등 유교사관에 입각해 괴력난신술이부작을 적용하여 쓴 삼국사기[7]와는 반대되는 모습이다.

  • 삼국사기와는 다른 내용의 설화들을 기록하고 있는 점도 특이하다. 비류온조 일화, 이차돈의 이야기는 삼국사기 버전과는 또 다르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항목 참조.

  • 자료 부족으로 "위대한 인물들의 업적을 기리고 싶으나 기록이 없는게 한이다!"라는 사론을 남긴 삼국사기와 마찬가지로 편찬된 당시에 이미 삼국시대 기록이 상당수 사라진 상태라 "훌륭한 공적은 글로써 후대에 알려야 하지만 보이지가 않는구나."라는 한탄이 남아있다. 그리고 지금은 그렇게 한탄한 사람이 남긴 글조차 대부분 소실됐고... 돌고 도는 수레바퀴


3. 차례[편집]


1권
  • 순도(順道)
  • 망명(亡名)
  • 의연(義淵)
  • 담시(曇始)
  • 마라난타(摩羅難陀)
  • 아도(阿道)[8]
  • 법공(法空)[9]
  • 법운(法雲)[10]

2권
  • 각덕(覺德)
  • 지명(智明)
  • 원광(圓光)
  • 안함(安含)[11]
  • 아리야발마(釋阿離耶跋摩)
  • 혜업(惠業)
  • 혜륜(惠輪)
  • 현각(玄恪)
  • 현유(玄遊)
  • 현대범(玄大梵)


4. 인용 서적[편집]


등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0:00:07에 나무위키 해동고승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책의 서문에 "경기 오관산 영통사 주지인 각훈이 고종의 명을 받아 책을 썼다."는 내용이 나와 국왕이 임무를 맡길 정도로 유명한 스님으로 추정되지만 이 외에는 어떤 삶을 살았는지 기록이 없다.[2] 정확히는 고구려[3] 중국 양나라의 혜교(慧皎)가 기틀을 잡은 십과(十科) 체재는 고승전을 저술할때 역경(譯經), 의해(義解), 신이(神異), 습선(習禪), 명률(明律), 유신(遺身), 송경(誦經), 흥복(興福), 경사(經師), 창도(唱導)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4] 마라난타 전[5] 안함 전.[6] 아도 전.[7] 물론 삼국사기도 삼국의 건국신화를 비롯한 일부 설화는 "말도 안되는 이야기지만 일단 남겨진 글이니 쓰긴 쓴다."면서 기록하긴 했지만, 삼국유사나 해동고승전 등과 비교해보면 많이 쳐내긴 했다.[8] 신라십성[9] 법흥왕을 말하며 이차돈에 관한 내용도 나온다[10] 진흥왕을 말한다[11] 신라십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