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 문디알리토

덤프버전 :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Copa de Oro de Campeones Mundiales Uruguay '80
파일:1980 mundialito.png
정식 명칭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Copa de Oro de Campeones Mundiales Uruguay '80)
개최국우루과이
개최 기간1980년 12월 30일 ~ 1981년 1월 10일
참가국 수6개국
우승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준우승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전체 경기 수7경기
전체 득점 수19득점
전체 관중 수25만 5000명 (평균 36,429명)
최다 득점자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왈테마르 빅토리노 (3득점)

1. 개요
2. 참가국
3. 대회 방식
4. 대회 진행
4.1. 6강 조별 리그
4.1.1. A조
4.1.1.1. 1경기 우루과이 2 - 0 네덜란드
4.1.1.2. 2경기 우루과이 2 - 0 이탈리아
4.1.1.3. 3경기 이탈리아 1 - 1 네덜란드
4.1.2. B조
4.1.2.1. 1경기 아르헨티나 2 - 1 서독
4.1.2.2. 2경기 브라질 1 - 1 아르헨티나
4.1.2.3. 3경기 브라질 4 - 1 서독
4.2. 결승
4.2.1. 우루과이 2 - 1 브라질
5. 우승
6. 여담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를 개최한 지 50주년을 기념해 1980년에 우루과이에서 개최한 국제 축구 대회다. 초대 FIFA 월드컵의 개최국 우루과이에서 대회를 개최했으며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에서 결승을 비롯해 주요 경기를 열었던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에서 전 경기가 개최했다. 대회 정식 명칭인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는 영어로 번역하면 World Champions Gold Cup의 의미로 한마디로 왕중왕전을 뜻한다.

당초 역대 FIFA 월드컵 우승국이 모두 참가해 자웅을 겨루게 하려고 했으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의 우승국 잉글랜드가 불참하면서 1974 FIFA 월드컵 서독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 준우승을 한 네덜란드가 대신 참가했다.[1]

FIFA가 직접 주최하고 왕중왕전의 성격을 띈 대회였으나 역시 당시에도 이 대회를 메이저 대회라고 생각하는 축구인들은 거의 없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40년이 지난 지금도 1980 문디알리토는 국제 축구 역사에서 언급조차 잘 안 되고 있다.


2. 참가국[편집]


참가국참가 자격비고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우승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 우승
개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 우승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 우승
파일:독일 국기.svg서독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우승
1974 FIFA 월드컵 서독 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우승
1962 FIFA 월드컵 칠레 우승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우승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우승불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우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1974 FIFA 월드컵 서독 준우승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준우승
[대리출전]


3. 대회 방식[편집]


먼저 대회에 참가한 6개 팀이 A, B조로 나뉘어 조별 단계 경기를 치르게 되며, 같은 조의 팀끼리 한 차례씩 경기를 하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승리 팀은 승점 2점을 획득하며, 무승부 팀은 승점 1점을 획득하는데 최종적으로 승점이 동률인 경우에는 득실차 →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6강 조별리그를 마치고, 각 조의 1위 팀이 결승에 진출하여 우승 팀을 결정하게 된다.


4. 대회 진행[편집]



4.1. 6강 조별 리그[편집]



4.1.1. A조[편집]



4.1.1.1. 1경기 우루과이 2 - 0 네덜란드[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A조 1경기
1980년 12월 30일 (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엔리케 라보 (페루)
파일:우루과이 국기.svg2 : 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우루과이네덜란드
31' 베난시오 라모스
45' 왈데마르 빅토리노

구분 번호 이름 비고 양 팀 포메이션 구분 번호 이름 비고
선발1로돌포 로드리게스파일:골키퍼 아이콘.svg 파일:주장 아이콘.svg선발1핌 두스뷔르흐파일:골키퍼 아이콘.svg
2왈테르 올리베라2벤 베인스테커르스
3우고 데레온3로날드 스펠보스파일:옐로 카드 아이콘.svg35' 64'
4호세 모레이라4에르니 브란츠
5아리엘 크라소우스키5휘호 호벵캄프
6다니엘 마르티네스6빌리 판더 케르크호프
7베난시오 라모스파일:득점 아이콘.svg 31'7마르턴 욜
8에두아르도 데라 페냐파일:옐로 카드 아이콘.svg3'8얀 페터르스파일:주장 아이콘.svg
9왈데마르 빅토리노파일:득점 아이콘.svg 45'9케이스 키스트
10루벤 파스10레네 판더 케르크호프H.T.
11훌리오 모랄레스75'11피에르 페르묄런
대기12페르난도 알베스파일:골키퍼 아이콘.svg대기18한스 판브뢰컬런파일:골키퍼 아이콘.svg
14넬손 마르세나로12욘 멧호트
15빅토르 디오고13미헐 팔커64'
16아르세니오 루사르도14피르 톨
18에르네스토 바르가스75'15토이너 판미를로H.T.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선발 명단
4-2-3-1

개막전에서 우루과이가 네덜란드를 2:0으로 꺾고 결승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4.1.1.2. 2경기 우루과이 2 - 0 이탈리아[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A조 2경기
1981년 1월 3일 (토)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에밀리오 구루체타 (스페인)
파일:우루과이 국기.svg2 : 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루과이이탈리아
67' 훌리오 모랄레스 (PK)
81' 왈데마르 빅토리노

2차전에서 우루과이가 이탈리아에게도 2:0으로 승리하며 일찌감치 결승 진출을 확정했다. 그리고 자동적으로 네덜란드와 이탈리아는 결승 탈락이 확정됐다.


4.1.1.3. 3경기 이탈리아 1 - 1 네덜란드[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A조 3경기
1981년 1월 6일 (화)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프란츠 뵈러 (오스트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1 :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이탈리아네덜란드
7' 카를로 안첼로티15' 얀 페터스

이미 우루과이가 결승 진출을 확정해 큰 의미는 없지만 그래도 사실상의 2위 결정전을 치렀다. 두 팀이 비기며 공동 2등이 되었다.


4.1.2. B조[편집]



4.1.2.1. 1경기 아르헨티나 2 - 1 서독[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B조 1경기
1981년 1월 1일 (목)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아우구스토 라모 카스티요 (스페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2 : 1파일:독일 국기.svg
아르헨티나서독
87' 만프레드 칼츠 (OG)
89' 라몬 디아스
41' 호르스트 흐루베슈


4.1.2.2. 2경기 브라질 1 - 1 아르헨티나[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B조 2경기
1981년 1월 4일 (일)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에리히 리네마이어 (오스트리아)
파일:브라질 국기.svg1 :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브라질아르헨티나
47' 에지바우두30' 디에고 마라도나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포메이션
4-3-3 공격형
파일:1980 문디알리토 B조 브라질 vs 아르헨티나 포메이션 2.pn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포메이션
4-3-3 홀딩


4.1.2.3. 3경기 브라질 4 - 1 서독[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B조 3경기
1981년 1월 7일 (수)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후안 실바뇨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4 : 1파일:독일 국기.svg
브라질서독
56' 레오베지우두 주니오르
61' 토니뉴 세레주
76' 세르지뉴 슐라파
82' 제 세르지우
54' 클라우스 알로프스


4.2. 결승[편집]



4.2.1. 우루과이 2 - 1 브라질[편집]


파일:1980 mundialito 2.png
코파 데 오로 데 캄페오네스 문디알레스 우루과이 '80 결승전
1981년 1월 10일 (토)
에스타디오 센테나리오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주심: 에리히 리네마이어 (오스트리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2 : 1파일:브라질 국기.svg
우루과이브라질
50' 호르헤 바리오스
80' 왈데마르 빅토리노
62' 소크라치스 (PK)


5. 우승[편집]


1980 문디알리토 우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6. 여담[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0:50:00에 나무위키 1980 문디알리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기준 우승국은 2개국이 늘어 8개국이 됐다. 40여년이 흐른 사이, 프랑스스페인이 새롭게 월드컵 챔피언으로 등극했기 때문. 곧 100주년을 맞이하기에 왕중왕전 대회가 다시 열린다고 가정하면 2026년 북미, 2030년 월드컵 3개 대회 우승국까지 확인한 뒤 연말에 열릴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능성은 현저히 낮지만 역대 아시안컵 우승국을 모아 AFC 버전 문디알디토를 개최한다면 똑같이 8개국이 참가하게 된다.(한국-일본-이란-호주-사우디-카타르-이라크-쿠웨이트)[대리출전]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대회의 우승국 잉글랜드가 불참하여 당시 기준으로 가장 최근 대회 준우승국이자 2회 연속 준우승국이었던 네덜란드가 대리출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