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일본시리즈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이니치 오리온즈 심볼.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1950-1952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붉은색).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주니치식 c로고.svg
1950년 일본시리즈1951년 일본시리즈1952년 일본시리즈1953년 일본시리즈195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54-60).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니시테츠 라이온즈 블랙로고.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55년 일본시리즈1956년 일본시리즈1957년 일본시리즈1958년 일본시리즈1959년 일본시리즈
파일:타이요 훼일즈 심볼(1960).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토에이 모자로고 1960s.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난카이호크스 초록색 로고.svg
1960년 일본시리즈1961년 일본시리즈1962년 일본시리즈1963년 일본시리즈1964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
1965년 일본시리즈1966년 일본시리즈1967년 일본시리즈1968년 일본시리즈196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파일:롯데 오리온즈 엠블럼.svg
1970년 일본시리즈1971년 일본시리즈1972년 일본시리즈1973년 일본시리즈197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한큐 브레이브스 레드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75년 일본시리즈1976년 일본시리즈1977년 일본시리즈1978년 일본시리즈1979년 일본시리즈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심볼.svg
1980년 일본시리즈1981년 일본시리즈1982년 일본시리즈1983년 일본시리즈1984년 일본시리즈
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85-92).svg
1985년 일본시리즈1986년 일본시리즈1987년 일본시리즈1988년 일본시리즈1989년 일본시리즈
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1990년 일본시리즈1991년 일본시리즈1992년 일본시리즈1993년 일본시리즈1994년 일본시리즈
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오릭스 블루웨이브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코하마 베이스타즈 로고(1996~2008).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
1995년 일본시리즈1996년 일본시리즈1997년 일본시리즈1998년 일본시리즈1999년 일본시리즈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1994~2014).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
2000년 일본시리즈2001년 일본시리즈2002년 일본시리즈2003년 일본시리즈2004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드래곤즈 블루 심볼.svg파일:세이부 라이온즈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
2005년 일본시리즈2006년 일본시리즈2007년 일본시리즈2008년 일본시리즈2009년 일본시리즈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심볼.svg파일: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0년 일본시리즈2011년 일본시리즈2012년 일본시리즈2013년 일본시리즈2014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심볼(2004~2021).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2015년 일본시리즈2016년 일본시리즈2017년 일본시리즈2018년 일본시리즈2019년 일본시리즈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심볼.svg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심볼.svg파일:한신 타이거스 블랙 심볼.svg파일:국기.svg
2020년 일본시리즈2021년 일본시리즈2022년 일본시리즈2023년 일본시리즈2024년 일본시리즈




파일:1994 일본시리즈 헹가래.jpg
1994년 일본시리즈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MVP마키하라 히로미

1. 개요
2. 양팀 상황
3. 일정 및 결과
4. 경기 내용
4.1. 1차전
4.2. 2차전
4.3. 3차전
4.4. 4차전
4.5. 5차전
4.6. 6차전
4.7. 타이틀 시상
5. 둘러보기 틀
6. 기타



1. 개요[편집]



1994년 10월 22일부터 10월 29일까지 열린 일본프로야구의 제45회 일본시리즈. 센트럴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퍼시픽리그 우승팀 세이부 라이온즈가 맞붙어 요미우리가 4승 2패로 1989년 일본시리즈 이래 5년 만에 통산 18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최전성기였던 V9 시대[1]의 주축이었던 나가시마 시게오-모리 마사아키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나가시마 시게오가 1기 감독 시절(1975~1980) 이루지 못한 숙원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처음으로 달성한 시리즈이기도 하다.


2. 양팀 상황[편집]


주요 타선, 투수진 성적은 이 곳(#1#2)을 참고했음을 밝힌다.

2.1. 요미우리 자이언츠[편집]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요 선수진, 팀스탯
[ 펼치기 · 접기 ]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요 타선
타순포지션선수명시합타석타율[규]홈런타점도루OPS수상
1좌익수댄 글래든98410.267(23위)15372.758
2유격수카와이 마사히로130567.302(9위)0333.733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
3우익수마츠이 히데키130569.294(11위)20666.843
41루수오치아이 히로미츠129540.280(19위)15680.815
5중견수헨리 코토107403.251(27위)18522.758
63루수오카자키 카오루111363.2576451.678
72루수모토키 다이스케90248.28015372.709
8포수무라타 신이치120380.24810411.706
백업3루수하라 타츠노리67227.29014360.894
백업2루수오가타 코이치[1]113195.230079.583
백업좌익수요시무라 사다아키81174.1753230.510
백업2루수시노즈카 카즈노리57161.2382130.598
백업포수오쿠보 히로모토62130.2949180.884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주요 투수진
포지션선수명등판선발완투완봉승리패전세이브이닝탈삼진ERA[규]수상
선발쿠와타 마스미282710114111207.11852.52(2위)MVP
최다 탈삼진
골든글러브
선발사이토 마사키30271151480206.11442.53(3위)
선발마키하라 히로미2926741280185.01532.82(4위)
선발지미 존스14130072061.1354.11
선발
중간계투
키다 마사오28131068187.2614.93
선발
중간계투
코다 이사오[2]21111123170.2404.46
선발
중간계투
미야모토 카즈토모25100047059.2375.88
중간계투하시모토 키요시5200024367.1692.41
중간계투오카다 히로카즈4100020160.0403.30
마무리이시게 히로시45000541951.2533.14[3]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팀스탯[순위기준]
타율홈런도루OPS득점실점피홈런탈삼진사사구ERA실책
.258(3위)122(3위)29(6위).716(4위)516(4위)483(2위)98(공동 2위)885(1위)374(1위)3.41(1위)69(4위[4])
[규] A B 규정타석/이닝에 도달한 선수의 경우 타율/ERA 옆에 순위를 표시하며, 미달한 경우는 순위를 적지 않음.[1] 2015~2019년까지 히로시마 토요 카프의 감독을 역임한 오가타 코이치와는 같은 1968년생에 이름만 비슷한 다른 인물이다.(한자명이 자이언츠 쪽은 緒方耕一, 카프 쪽은 緒方孝市이다.) 1987~1998년까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외야수2루수로 활약했으며 1990, 1993년 센트럴리그 도루왕을 수상했다.[2] 2013~2014년 두산 베어스에서 2군 투수코치, 1군 불펜코치를 역임했다. 이해 일본시리즈 종료 후 아와노 히데유키와의 맞트레이드로 킨테츠 버팔로즈에 이적했다.[3] 당해 타카츠 신고와 공동으로 세이브 1위에 올랐으나, 이 당시 구원왕 수상 기준이 세이브 포인트(SP)였기 때문에 타카츠 신고에게 3SP 차이로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순위기준] 실점, 피홈런, 사사구, 실책은 적을수록 높은 순위를 매김[4] 주니치 드래곤즈와 공동

1994년 센트럴 리그 순위표[2]
순위구단시합승리패전무승부승률게임차
우승요미우리 자이언츠13070600.538-
2위주니치 드래곤즈13069610.5311.0
3위히로시마 토요 카프13066640.5084.0
4위야쿠르트 스왈로즈13062680.4778.0
한신 타이거스13062680.4778.0
6위요코하마 베이스타즈13061690.4699.0

나가시마 시게오가 13년 만에 감독으로 복귀한 첫 해인 1993 시즌에 15년 만의 루징 시즌이란 굴욕을 맛본 요미우리는 시즌 종료 후 이 해부터 새롭게 도입된 FA 제도를 통해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오치아이 히로미츠[3], 메이저리그에서 왕년의 리드오프 댄 글래든, 헨리 코토, 지미 존스를 영입하는 등 대대적인 보강에 나서며 구단 창단 60주년을 맞이하는 1994년에 우승을 달성하기 위해 엄청난 투자를 했다.

그렇게 대대적인 보강을 마치고 맞이한 1994 시즌, 요미우리는 개막 초부터 1위로 치고 올라가며 한 때 2위와 최대 10게임차까지 벌리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이 확실시되기까지 했으나, 올스타전 직전에 5연패를 당하며 삐걱거리더니 7~9월에 모두 루징을 기록한 것도 모자라 8월 말부터는 8연패로 급격히 추락하는 등 후반전에 연전연패를 거듭하며 순식간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게 우승을 위협받는 처지에 놓였다. 그나마 히로시마는 9월 후반부터 DTD로 우승 전선에서 밀려났지만 이번엔 주니치 드래곤즈가 급상승세를 타며 요미우리를 맹렬히 추격해왔고, 결국 최종전을 남겨두고 요미우리, 주니치가 동률이 되면서 우승팀을 가리는 10.8 결전을 벌이게 되었다. 그리고 이 10.8 결전에서 요미우리가 승리하면서 마지막에 위기를 겪었지만 어찌저찌 4년 만의 센트럴리그 우승을 이뤄내며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5년만의 리턴 매치에 돌입하게 된다.

2.2. 세이부 라이온즈[편집]


1994년 세이부 라이온즈 주요 선수진, 팀스탯
[ 펼치기 · 접기 ]

1994년 세이부 라이온즈 주요 타선
타순포지션선수명시합타석타율[규]홈런타점도루OPS수상
12루수츠지 하츠히코105458.294(8위)4459.730골든글러브
2우익수요시타케 하루키101262.2434219.679
3중견수사사키 마코토126568.285(12위)208437.773최다 도루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
41루수키요하라 카즈히로129565.279(16위)26935.925골든글러브
5지명타자스즈키 켄102306.350124921.000
63루수이시게 히로미치111439.266(18위)11468.732
7좌익수아베 오사무[1]92217.3483332.905
8포수이토 츠토무113403.254(23위)85317.706골든글러브
9유격수타나베 노리오104365.3388410.839
백업지명타자마이크 파글리아룰로80334.2637473.780
백업좌익수로드 브루워74218.2328311.683
백업좌익수토마시노 세이지101214.26611011.598
백업유격수나라하라 히로시72176.24801114.598
백업우익수카키우치 테츠야78176.1847217.884

1994년 세이부 라이온즈 주요 투수진
포지션선수명등판선발완투완봉승리패전세이브이닝탈삼진ERA[규]수상
선발와타나베 히사노부252440980146.1974.37(14위)
선발쿠도 키미야스2422411170130.21243.44(5위)골든글러브
선발궈타이위안2721421350130.0864.98(15위)
선발오노 카즈요시281731750102.0733.88
선발무라타 카츠요시252031450101.1824.53
선발
마무리[마]
이시이 타케히로271541664118.2703.34
올라운더[2][마]신타니 히로시418321089130.0992.91(1위)최우수 방어율
중간계투
마무리[마]
카토리 요시타카4000073576.2533.40
중간계투시오자키 테츠야5010042175.1562.39
중간계투
마무리[마]
스기야마 켄토5410042660.2633.56

1994년 세이부 라이온즈 팀스탯[순위기준]
타율홈런도루OPS득점실점피홈런탈삼진사사구ERA실책
.279(2위)122(3위)140(1위).774(3위)667(2위)535(1위)125(3위)881(3위)499(5위)3.81(1위)59(2위)
[규] A B [1] 2014년 고양 원더스 타격코치, 2015년 한화 이글스 2군 타격코치를 역임했다.[마] A B C D 이 해 세이부는 전문 마무리 투수를 정하지 않은 채 여러 선수들이 번갈아가며 마무리를 맡았다.[2] 이 해엔 전반기까지 중간계투, 마무리 위주로 뛰었고 후반기부턴 임시선발도 맡으면서 모든 포지션을 돌아가면서 뛰었다.[순위기준]

1994년 퍼시픽 리그 순위표
순위구단시합승리패전무승부승률게임차
우승세이부 라이온즈13076522.594-
2위오릭스 블루웨이브13068593.53547.5
킨테츠 버팔로즈13068593.53547.5
4위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13069601.53487.5
5위치바 롯데 마린즈13055732.43021.0
6위닛폰햄 파이터즈13046795.36828.5

전년도인 1993년 시즌에 리그 4연패를 달성했으나 일본시리즈에서 지난 해 대결해서 우승을 차지한 야쿠르트 스왈로즈에게 역으로 패하면서 퍼시픽리그 최초 일본시리즈 4연패의 꿈이 물거품으로 돌아간 세이부는 시즌 종료 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4]와의 맞트레이드로 아키야마 코지, 와타나베 토미오, 우치야마 토모유키를 방출하고 사사키 마코토, 무라타 카츠요시, 하시모토 타케히로를 영입하는 전력 보강을 단행했다.

그렇게 맞이한 1994년 시즌, 세이부는 개막 초부터 다이에와 간발의 차이로 아슬아슬한 경쟁을 벌이며 리그 1위를 달렸으나 올스타전 전후로 팀 성적이 정체되면서 급기야 8월에는 시즌 초부터 우승 경쟁에 뛰어든 다이에를 비롯해 오릭스 블루웨이브, 킨테츠 버팔로즈까지 치고 올라오는 통에 1위 자리를 두고 4팀이 경쟁을 벌이게 되는 상황이 되며 위기를 겪었다. 그러나 9월부터 궈타이위안, 이시이 타케히로 등 기존의 선발 투수진들을 중간계투, 마무리 투수 등의 구원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성공을 거둔 것을 포함해 몇몇 선수들이 바뀌긴 했으나 여전히 두터운 선수단을 바탕으로 11연승을 기록, 다이에 등의 추격을 뿌리치고 재차 상승세를 타면서 결국 10월 2일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전에서 승리하여 퍼시픽리그 최초의 리그 5연패를 달성함과 동시에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5년 만의 리턴 매치를 맞이하게 된다.

3. 일정 및 결과[편집]


경기날짜경기장원정팀점수홈팀중계
1차전10월 22일(토)도쿄 돔세이부 라이온즈11 : 0요미우리 자이언츠파일:닛폰 테레비 NTV 로고.svg
2차전10월 23일(일)세이부 라이온즈0 : 1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10월 25일(화)세이부 라이온즈 구장요미우리 자이언츠2 : 1세이부 라이온즈파일:테레비 아사히 로고 1977.svg
4차전10월 26일(수)요미우리 자이언츠5 : 6세이부 라이온즈
5차전10월 27일(목)요미우리 자이언츠9 : 3세이부 라이온즈
6차전10월 29일(토)도쿄 돔세이부 라이온즈1 : 3요미우리 자이언츠파일:닛폰 테레비 NTV 로고.svg
우승 : 요미우리 자이언츠(5년 만, 통산 18회)


4. 경기 내용[편집]



4.1. 1차전[편집]


10월 22일(토), 도쿄 돔 (관객 수: 46,17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세이부와타나베 히사노부01300070011100
요미우리쿠와타 마스미000000000040
▲ 승리투수 : 세이부 - 와타나베 히사노부 (1승)
▲ 패전투수 :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1패)
▲ 홈런 : 세이부 - 키요하라 카즈히로 1호 (2회 초, 1점), 타나베 노리오 1호 (7회 말, 만루)


4.2. 2차전[편집]


10월 23일(일), 도쿄 돔 (관객 수: 46,342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세이부쿠도 키미야스000000000041
요미우리마키하라 히로미10000000X120
▲ 승리투수 : 요미우리 - 마키하라 히로미 (1승)
▲ 패전투수 : 세이부 - 쿠도 키미야스 (1패)


4.3. 3차전[편집]


10월 25일(화),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관객 수: 31,838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RHE
요미우리지미 존스1000000001251
세이부오노 카즈요시00010000001101
▲ 승리투수 : 요미우리 - 이시게 히로시 (1승)
▲ 패전투수 : 세이부 - 이시이 타케히로 (1패)
▲ 세이브 :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1패 1세이브)


4.4. 4차전[편집]


10월 26일(수),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관객 수: 31,883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10회11회12회RHE
요미우리사이토 마사키0200200010005140
세이부궈타이위안100001030001X6132
▲ 승리투수 : 세이부 - 이시이 타케히로 (1승 1패)
▲ 패전투수 : 요미우리 - 키다 마사오 (1패)
▲ 홈런 : 요미우리 - 마츠이 히데키 1호 (5회 초, 2점), 오쿠보 히로모토 1호 (9회 초, 1점) / 세이부 - 키요하라 카즈히로 2호 (6회 말, 1점)


4.5. 5차전[편집]


10월 27일(목), 세이부 라이온즈 구장 (관객 수: 31,872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요미우리쿠와타 마스미0010040319101
세이부와타나베 히사노부1000010103100
▲ 승리투수 :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1승 1패 1세이브)
▲ 패전투수 : 세이부 - 스기야마 켄토 (1패)
▲ 홈런 : 요미우리 - 요시무라 사다아키 1호 (3회 초, 1점), 오가타 코이치 1호 (6회 초, 만루), 헨리 코토 1호 (8회 초, 2점) / 세이부 - 키요하라 카즈히로 3, 4호 (6회 말, 1점 + 8회 말, 1점)


4.6. 6차전[편집]


10월 29일(토), 도쿄 돔 (관객 수: 46,307명)
팀명선발투수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RHE
세이부쿠도 키미야스000000010170
요미우리마키하라 히로미01100001X3100
▲ 승리투수 : 요미우리 - 마키하라 히로미 (2승)
▲ 패전투수 : 세이부 - 쿠도 키미야스 (2패)
▲ 홈런 : 요미우리 - 헨리 코토 2호 (8회 말, 1점)


4.7. 타이틀 시상[편집]


  • 시리즈 MVP :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마키하라 히로미 (2시합 등판, 2완투 1완봉, 2승 0패, 평균자책점 0.50)

  • 감투선수상[5] : [[세이부 라이온즈|{{{#289DD5 세이부}}}]] - 키요하라 카즈히로 (23타수 8안타, 타율 .348 4홈런 8타점)

  • 우수선수상 :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쿠와타 마스미 (3시합 등판, 1승 1패 1세이브, 평균자책점 4.02)

  • 우수선수상 : [[요미우리 자이언츠|{{{#fe5a1d 요미우리}}}]] - 헨리 코토 (21타수 6안타, 타율 .286 2홈런 3타점)

  • 우수선수상 : [[세이부 라이온즈|{{{#289DD5 세이부}}}]] - 츠지 하츠히코 (28타수 10안타, 타율 .357 0홈런 1타점)


5. 둘러보기 틀[편집]


}}} ||
[ 펼치기 · 접기 ]
모기업 관련 정보모기업 파일:요미우리 신문 로고.svg 요미우리 신문
일본시리즈 우승
★★★★★★★★★★
★★★★★★★★★★
★★
1951 · 1952 · 1953 · 1955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81 · 1989 · 1994 · 2000 · 2002 · 2009 · 2012
리그 우승
(47회)
1936 추계 · 1937 춘계 · 1938 추계 ·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1949 · 1951 · 1952 · 1953 · 1955
1956 · 1957 · 1958 · 1959 · 1961 · 1963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1976 · 1977 · 1981 · 1983 · 1987 · 1989 · 1990 · 1994 · 1996 · 2000 · 2002 · 2007 · 2008 · 2009 · 2012
2013 · 2014 · 2019 · 2020
클라이맥스 시리즈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8 · 2019 · 2021
시즌별 요약2011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현역 선수 경력사카모토 하야토/선수 경력 · 토고 쇼세이/선수 경력 · 마루 요시히로/선수 경력
경기장1군 도쿄 돔 · 2군 요미우리 자이언츠 구장 · 지방 홈구장 선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 과거 고라쿠엔 스타디움
홈 중계 채널파일:닛폰 테레비 로고.svg 닛폰 테레비
주요 인물감독 아베 신노스케 · 선수회장 스가노 토모유키 · 주장 오카모토 카즈마
구단 상세 정보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과거 응원가 · 유니폼 · 순혈주의 · 전통의 일전 · 10.8 결전 · 도쿄 시리즈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틀 문서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6. 기타[편집]


  • 1964년 일본시리즈 이래 30년 만에 모든 평일 경기가 야간경기로 치러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낮경기와 야간경기를 병행해서 개최한 일본시리즈로 기록되었다. 원래 일본시리즈는 평일, 주말을 포함한 모든 경기를 낮경기로 개최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6] 이해 시리즈의 평일 야간경기 개최가 호평을 받으면서 이듬해인 1995년 일본시리즈부터 모든 경기를 야간경기로 치르게 되었다.[7]

  •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은 이 해 일본시리즈를 두고 3가지 예언 비스무리한(?) 발언을 남겼는데, 놀랍게도 전부 적중했다. 이쯤되면 거의 예언가 수준.
    • 10.8 결전으로 우승을 결정지은 직후 기자회견에서: "세이부와의 일본시리즈는 4승 2패로 우리가 이긴다. 이미 결정되어 있으니깐" = 정말로 4승 2패로 우승했다.
    • 2차전 승리 직후 인터뷰에서: "어찌되었든 이 도쿄 돔으로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이후 세이부 구장에서의 3~5차전을 2승 1패로 매듭지은 후 도쿄 돔으로 돌아와서 6차전에서 우승을 결정지었다.
    • 6차전이 시작되기 직전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3대 1로 (우승을) 결정짓겠습니다." = 정말로 6차전에서 3대 1로 이겼다.

  •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현역 시절 유일한 일본시리즈 우승을 달성한 시리즈다. 오치아이 본인은 10.8 결전 때의 부상 때문에 이 해 일본시리즈에선 3차전을 빼곤 출장조차 하지 못했지만 어찌됐든 팀이 시리즈를 제패하면서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맛보게 되었다.

  • 이 해를 끝으로[8] 이시게 히로미치[9], 쿠도 키미야스, 츠지 하츠히코, 와타나베 히사노부, 키요하라 카즈히로, 타나베 노리오, 궈타이위안 등 8~90년대 초중반 세이부의 황금기를 쌓아올린 주축 선수들의 대다수가 FA전력외통보로 잇달아 팀을 떠나게 된다. 이렇게 세이부 황금기를 이끈 주축 선수들이 잇달아 팀을 떠나게 되면서 2000년대 들어서는 이들 중 일찌감찌 감독 후보로 선정된 이토 츠토무만이 유일하게 현역으로 세이부에 남게 되었다.[10]

파일:자기팀 OB 엿먹이는 요미우리.jpg
  • 시리즈 6차전 개최 직전에 모리 마사아키 감독이 이번 시즌을 끝으로 퇴임한다는 소식이 각 신문에 보도되었는데, 요미우리 측에서 시합 전 연습 때 이 소식을 도쿄돔 전광판에 대놓고 띄우는 만행을 저질렀다. 당연하겠지만 장본인인 모리 마사아키는 물론 세이부 선수단은 요미우리의 이러한 만행에 대해 매우 불쾌해했으며, 세간에서도 상대팀을 비겁하게 뒤흔드는 행동이자 자팀 OB이기도 한 상대팀 감독에 대한 예우를 지키지 않는다는 강한 비판을 받았다.

  • 1~2, 6차전에서 아키야마 코지가 게스트 해설을 맡기도 했다. 아키야마 본인으로썬 다이에로 이적하게 되면서 전년도까지 뛰었던 친정팀의 일본시리즈를 직접 뛰는 게 아닌 중계석에서 바라보는 입장이 되어서 기분이 묘했을 듯.

파일:seibu-lions-hisanobu-watanabe-1994-japan-championship-october-31-1994-sports-illustrated-cover.jpg
  • 1994년 시즌 도중의 파업사태메이저리그의 시즌 잔여경기와 포스트시즌이 모조리 취소되면서 미국 일부 방송국에서 대체재로 이 해 일본시리즈를 중계하기도 했으며 일본시리즈에서 투구하는 와타나베 히사노부의 사진이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표지로 실리기도 했다.[11]

  • TBS 테레비는 이전까지 일본시리즈 세이부 홈경기의 중계방송을 매년마다 편성해왔으나, 이 해 일본시리즈에선 TV 아사히가 세이부의 홈경기인 3~5차전을 전부 중계방송하게 되면서 처음으로 세이부전 중계에서 빠졌다. 참고로 요미우리의 홈경기였던 1~2, 6차전은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요미우리 신문 산하의 니혼 TV에서 중계방송을 맡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11:12에 나무위키 1994년 일본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65~1973년까지 9년 연속으로 센트럴리그-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2] 1990~2000년 센트럴리그는 무승부가 나온 경기에 대해 무조건 재경기를 치르도록 규정했다. 따라서 기본적으론 130시합 제도이나 무승부에 따라 구단별로 시합수가 다르다.[3] 이 당시 오치아이의 요미우리 이적이 유력해지자 포지션이 겹쳤던 기존의 주전 1루수 코마다 노리히로가 FA를 선언해 요코하마 베이스타즈로 이적했다. 결과적으로 오치아이, 코마다의 FA 이적은 두 선수 모두 이적한 팀에서 우승에 공헌하며 서로 윈윈이 되었다.[4] 당시 세이부의 황금기를 닦았던 네모토 리쿠오가 전무 겸 감독을 역임 중이었으며, 이 트레이드엔 당시 계속해서 리그 하위권을 전전했던 다이에의 전력 강화를 노린 네모토의 구상 또한 담겨 있었다.[5] 패배한 팀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는 상.[6] 예외적으로 1964년은 도쿄 올림픽 때문에 평년보다 일찍 개최되어서 야간경기가 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전경기 야간경기로 개최되었다.[7] 이후 일본시리즈 낮경기는 2011년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야 재등장하게 된다.[8] 정확히는 전년도인 1993년 시즌 오프에 아키야마 코지를 3대3 트레이드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에 떠나보낸 것이 시작이긴 하나 황금기의 주력 선수들이 대거 이탈하게 되는 기점은 1994년부터이다.[9] 이 해 시즌 종료 후 감독 취임 요청을 받았지만 이를 거절하고 현역 연장을 위해 FA 선언으로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이적을 선택했다.[10] 이토는 2003년 은퇴 후 곧바로 감독으로 취임하여 2004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그러나 이토조차도 2007년 성적 부진과 구단과의 불화로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2004년 투수 코치로 복귀했던 와타나베 히사노부가 후임 감독에 취임해 2008년 일본시리즈 우승을 비롯해 2013년까지 팀을 잘 이끌어 나갔고 퇴임 후에도 GM으로써 계속 세이부에 남아있다. 추가로 쿠도 키미야스도 세이부를 떠난 뒤 다이에-요미우리-요코하마 3구단을 떠돌았으나 2010년 세이부로 복귀하여 친정팀에서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11] 덤으로 파업이 이듬해인 1995년 시즌 개막 직전까지 계속되면서(결국 1995년 시즌은 162경기에서 18경기가 단축된 144경기 체제로 치러졌다.) 케빈 미첼, 훌리오 프랑코 등 일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들이 일본프로야구 진출을 선택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