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2021 Spring | Summer
LCK CK





파일:51408324270_daa0f2c142_6k.jpg

파일:LCK_CL_2021.png

파일:LCK CL.png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대회 기간2021년 6월 7일~ 8월 27일[1]
주최파일:LCK 심볼.svg[[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주관
운영파일:한국e스포츠협회 로고.svg
제작파일:VSPN_korea.png
경기장V.SPACE[2]
스폰서파일:우리은행 CI.svg
중 계
[ 펼치기 · 접기 ]
중계 플랫폼TV
파일:아프리카TV 로고.svg재방송
온라인
파일:트위치 아이콘.svg[1] 파일:트위치 아이콘.svg[2]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e스포츠 아이콘.ico
중계진캐스터
이동진
해설자
고수진, 강범현, 이서행, 정제승[3]
[1] 공식 LCK CL 전용 중계 채널.[2] 공식 LCK 중계 채널. LCK CL은 첫 두 경기 중계를 보여준 후 LCK CL 채널로 호스팅한다.[3] 1라운드 강범현 대행
일 정
[ 펼치기 · 접기 ]
정규시즌1라운드
6월 7일~7월 5일
2라운드
7월 12일~8월 9일
포스트시즌6강 플레이오프
8월 16일~8월 17일
4강 플레이오프
8월 23일~8월 24일
결승전대진
8월 27일
경기장
온라인
결 과
[ 펼치기 · 접기 ]
우승 파일:Gen.G 로고.svg Gen.G Challengers
준우승파일:Afreeca_Freecs.png Afreeca Freecs Challengers
MVP1라운드
마태석 (AF IlllIma)
2라운드
성연준 (GEN Flawless)
파이널
한규준 (GEN Lonely)
All-CL TeamTOP
마태석 (AF IlllIma)
JGL
고영재 (GEN YoungJae)
MID
서상원 (LSB TolanD)
BOT
이명준 (GEN Envyy)
SPT
김진홍 (GEN Kael)
Best Coach김경탁 (GEN Dokgo)
1. 개요
2. 참가팀
3. 정규시즌 순위
4. 이모저모
4.1. 서머 대비 로스터 변경
5. 대회 진행
5.1. 정규시즌
6. 주요 기록
6.1. ALL-CL TEAM
6.2. Best Coach
6.3.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6.4. 펜타킬
6.5. 퍼펙트 게임
7. 대회 상금
8. 총평 및 결산
8.1. 정규시즌
8.2. 포스트시즌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Keep Challenge

2021년에 개최되는 LCK Challengers League 서머 시즌.


2. 참가팀[편집]


}}} ||




3. 정규시즌 순위[편집]


파일:LCK_CL_white_notext.png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정규시즌 순위표
순위연속비고
1파일:Gen.G 로고.svgGENC1445승우승
2파일:Afreeca_Freecs.pngAFC1262승준우승
3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NSC1083패
4파일:kt 롤스터 로고.svgKTC993승LSBC에 승자승 우세
5파일:Liiv SANDBOX 로고.svgLSBC991패KTC에 승자승 열세
6파일:DRX 로고(2020~2022).svgDRXC8102패TB2 승리
7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BROC8101승TB1 승리 & TB2 패배
8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HLEC8101승TB1 패배
9파일:DWG KIA 엠블럼.svgDKC7117패
10파일:T1 LoL 로고.svgT1C5131패
파란색: 4강 PO 진출 | 녹색: 6강 PO 진출 | 노란색: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볼드체: 순위 확정




4. 이모저모[편집]


  • 스프링 시즌에 참여했던 정노철 해설은 LPL 서머 시즌부터 IG의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하차했으며, 해설은 고수진강범현 2인 체제로 진행된다. #
  • 서머 시즌부터 1, 2군 로스터 콜업 및 샌드다운이 2주마다 진행된다. #
  • 강범현 해설의 병환으로 인하여 1라운드 기간 동안은 이서행정제승이 번갈아가며 해설로 참여했다.
  • Dream Stage라는 신인 선수들 인터뷰 컨텐츠가 추가되었다.


4.1. 서머 대비 로스터 변경[편집]






5. 대회 진행[편집]



5.1. 정규시즌[편집]


1R1주
(6/7~8)
2주
(6/14~16)
3주
(6/21~22)
4주
(6/28~29)
5주
(7/5)
2R6주
(7/12~13)
7주
(7/19~20)
8주
(7/26~27)
9주
(8/2~3)
10주
(8/9~10)
포스트시즌 경기 일람
}}} ||




5.2. 포스트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포스트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주요 기록[편집]



6.1. ALL-CL TEAM[편집]


파일:LCK_CL_white_notext.png 2021 SUMMER ALL-CL TEAM
파일:LCK CL 2021 Summer all pro team.jpg
파일:LCK_TOP_white1.png
TOP
파일:LCK_JGL_white1.png
JGL
파일:LCK_MID_white1.png
MID
파일:LCK_BOT_white1.png
BOT
파일:LCK_SUP_white1.png
SPT
파일:Afreeca_Freecs_logo.png [[마태석|

IlllIma
]]
파일:Gen.G 로고.svg [[고영재|

YoungJae
]]
파일:Liiv SANDBOX 로고.svg [[서상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900; font-size: 1em"
TolanD]]
파일:Gen.G 로고.svg [[이명준|

Envyy
]]
파일:Gen.G 로고.svg [[김진홍(프로게이머)|

Kael
]]

지난 시즌처럼 정규리그 1위+챔결 우승팀이 과반 이상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6.2. Best Coach[편집]


파일:LCK_CL_white_notext.png 2021 SUMMER BEST COACH
파일: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Best Coach.jpg
파일:Gen.G 로고.svg

Dokgo


6.3. Player of the Game 포인트[편집]


파일:LCK_CL_white_notext.png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Player of the Game 포인트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누적 점수
1마태석IlllIma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TOP.png600
2송현민Clear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TOP.png400
2이대광VicLa파일:kt 롤스터 심볼.svg파일:LCK_MID.png400
2서상원TolanD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MID.png400
5이정훈JeongHoon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SUP.png300
5고영재YoungJae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JGL.png300
5김찬희Seize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JGL.png300
5하인성vital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BOT.png300
5박근우DnDn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TOP.png300
5서진영Jin0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JGL.png300
5변지웅Citrus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JGL.png300
5조승모Cheoni파일:Hanwhalogo_std.png파일:LCK_BOT.png300
[ 5위권 미만 선수 보기 ]
순위이름아이디소속 팀포지션누적 점수
13강동수Jool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MID.png200
13이상욱TaNa파일:브리온 아이콘(2021~2023).svg파일:LCK_TOP.png200
13홍도현Dice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MID.png200
13이민규Peach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JGL.png200
13최용혁Lucid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JGL.png200
13김동현Chasy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TOP.png200
13한규준Lonely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TOP.png200
13이주한Juhan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JGL.png200
13이상훈Mask파일:Hanwhalogo_std.png파일:LCK_MID.png200
13김강희Roach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TOP.png200
13김진홍Kael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SUP.png200
13김태기Asper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SUP.png200
13김준철Keine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MID.png200
13성연준Flawless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JGL.png200
13조현성Castle파일:kt 롤스터 심볼.svg파일:LCK_TOP.png200
28윤설Bible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LCK_SUP.png100
28윤상훈Ice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BOT.png100
28곽유신Yusin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SUP.png100
28한진솔Baut파일:Hanwhalogo_std.png파일:LCK_SUP.png100
28이태영BuLLDoG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MID.png100
28이광수Bonnie파일:kt 롤스터 심볼.svg파일:LCK_JGL.png100
28강현Riss파일:Hanwhalogo_std.png파일:LCK_TOP.png100
28박정현5kid파일:kt 롤스터 심볼.svg파일:LCK_BOT.png100
28박준병Bay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MID.png100
28백진성Ophelia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MID.png100
28이우진HyBriD파일:kt 롤스터 심볼.svg파일:LCK_BOT.png100
28정희준Eign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MID.png100
28이명준Envyy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BOT.png100
28경규태gyuvee파일:Liiv SANDBOX 로고.svg파일:LCK_TOP.png100
28조성용CaD파일:Hanwhalogo_std.png파일:LCK_JGL.png200
28김민철Berserker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BOT.png100
28손민우Becca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LCK_SUP.png100
28김홍조Karis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MID.png100


6.4. 펜타킬[편집]


파일:LCK_CL_white_notext.png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펜타킬
이름(ID)소속 팀포지션챔피언상대팀기록일경기
마태석(IlllIma)파일:Afreeca_Freecs.png파일:LCK_TOP.png
TOP
파일:jayce_portrait.png파일:Gen.G 로고.svg2021.07.2061경기
하인성(vital)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LCK_BOT.png
BOT
파일:ezreal_portrait.png파일:Liiv SANDBOX 로고.svg2021.07.2666경기


6.5. 퍼펙트 게임[편집]




7. 대회 상금[편집]


대회 상금은 스프링 시즌과 동일하게 시즌 1위부터 3위까지 각각 3천만원, 2천만원, 1천만원의 상금을 수여되며 4위 이하의 팀들에겐 상금이 없다. 개인 시상 부문에서는 파이널 MVP와 베스트 코치 각 200만원, ALL-CL 팀에 선정된 각 라인별 선수 100만원, 각 라운드별 MVP 100만원, 각 세트별 POG 10만원씩 수여된다.


8. 총평 및 결산[편집]



8.1. 정규시즌[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규 시즌 1라운드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5주차 문서
9번 문단을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5주차# 부분을
, 2라운드 총평에 대한 내용은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10주차 문서
11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포스트시즌[편집]


스프링 시즌과는 달리 서머 시즌 포스트시즌에는 치열한 양상이 이어졌다. 3:0으로 끝난 경기가 하나도 없었고, 5세트까지 가는 접전이 3번이나 나왔다. 그리고 그 가운데서 우승한 것은 단단함을 보여준 젠지였다.

물론 젠지도 쉬운 길을 온 것은 아니었다. 농심과는 대역전패를 겪는 등 5세트 접전 끝에 승리를 거뒀고, 아프리카와의 대결도 위기의 순간을 꾸준히 겪었다. 하지만 그 때마다 해결사가 있었다. 4강에서는 카리스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경기력으로 팀의 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결승에서는 론리가 리 신을 잡은 플로리스와 함께 활약하며 우승을 완성해냈다. 리빌딩에 들어갔던 다른 팀들과 달리 기존멤버들의 경기력을 올리는데 신경을 쓴 것이 결국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고, 도중에 샌드다운된 플로리스와 카리스도 1군 경험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라는 듯 자연스럽게 한 팀으로 녹아들어 활약했다.

준우승을 거둔 아프리카에게는 아쉬운 결과로 남게 되었지만, 전체적인 부분을 놓고본다면 매우 성공한 시즌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시즌 고작 2승 하고 단독 꼴찌로 쳐졌던 팀이 케이니와 발키리를 제외한 라이너들을 새로 영입하는 리빌딩을 단행했고 그 결과 일리마와 불독이라는 대형 신인들을 성공적으로 데뷔시키며 팀의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까지 내다볼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냈다.

3위 농심은 샌드다운된 주한-베이가 포스트시즌에서 무난하게 좋은 모습을 보이고, 든든과 바이탈이 맹활약하며 4강에 올라갔으나 결국 젠지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하지만 DRX전이나 젠지전 모두 불리한 매치 스코어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게임을 뒤집는 모습은 이 팀이 대단한 저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이며, 정규시즌 7연승이 단지 운이 좋아서 달성했던 것이 아님을 증명해냈다.

4위 KT는 6강과 4강에서 보여준 모습이 너무 달랐다. 6강에서는 1:2로 밀리던 와중에도 빅라와 하이브리드의 활약으로 매치를 승리로 가져왔으나, 4강 아프리카전에서는 경기가 진행될수록 아쉬운 모습을 보이더니, 대놓고 바론을 빼앗기는 모습까지 보여주며 허무하게 무너졌다. 지난 시즌과 비교하면 한단계 더 올라간 위치지만, 가져올 수 있던 게임을 본인들의 안일함으로 놓친 것은 매우 아쉽다.

5위를 기록한 샌드박스는 지난 시즌과 비슷한 흐름으로 4강에 가지 못했다. 하이브리드의 활약을 전혀 막아내지 못했고, 정규시즌에서 잘해주던 톨란드마저 빅라에게 밀리면서 아쉬운 결과를 받아들여야만 했다. 최종 결과만 놓고본다면 순위는 상승했지만, 더 높이 올라갈 수 있었기에 여러모로 아쉬운 마무리.

6위 DRX는 농심을 상대로 빠르게 매치 스코어를 만들고, 3:0으로 게임을 끝낼 기회까지 잡았으나, 그 3세트에서 오더가 엇갈린것인지 우왕좌왕하다 게임을 내주었고, 내리 세 세트를 내주면서 결국 최종 순위 6위로 마무리해야했다. 지난 시즌은 4강까진 올라갔었고, 이번 시즌 1군에 있던 솔카 - 바오 - 베카가 샌드다운된 것을 감안한다면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적을 거뒀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본다면, LCK처럼 LCK CL도 10개팀간의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볼 수 있는 시즌이었다. 서로 경기력이 비슷한 모습이 자주 나오면서 쉽사리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매치가 많았다. 그 과정에서 승리를 가져간 팀은 최신 메타에 빠르게 적응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완성된 팀플레이를 보여준 팀들이었다. 둘 중 하나가 부족한 팀들은 시즌 내내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스프링 우승팀이었던 T1이 10위로 곤두박질 친 것도 메타 적응에 늦으면서 팀 플레이까지 흔들렸기 때문이며, 1라운드 6승 3패를 기록했던 담원이 2라운드 1승 밖에 못 거둔 것도 라헬 콜업 이후 바텀이 흔들리면서 팀플레이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우승팀인 젠지나 준우승팀인 아프리카가 보여주었듯, 결국 한 팀이 되어 새로운 메타를 이끌거나 그게 아니라면 메타에 순응하여 빠르게 적응하는 팀이 마지막까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시즌이라고 볼 수 있다.

서머시즌이 마무리 되면서 이제 한동안 LCK CL도 휴식기에 들어간다. 그 후 롤드컵이 끝나고 스토브리그 기간이 되면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2군 선수들 입장에서는 그 기간은 또다른 경쟁이며, 1군으로 승격되거나 1군 주전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각 팀의 선택에는 이번 시즌 선수들이 보여준 경기력이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번 시즌이 각 팀 2군 선수들에게 증명의 자리가 되었을지는 그 때의 결과가 말해줄 것이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24:54에 나무위키 2021 LCK Challengers League Summe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규 시즌은 8월 10일에 종료된다.[2] 1, 2라운드 전부 온라인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