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콘서트/2020년

덤프버전 : r20200302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개그콘서트

파일:개그콘서트-로고.png
[ 방영 코너 순서 ]
2020년 2월 15일(1036회) 기준
쓴대로 간다● 01 · 히든 보이스● 02 · 콘서트 기타 등등 03 · 2020 뮤지컬● 05
2020 생활사투리 06 · 절대감 유민상 07 · 셀럽 언니 08 · 단골 로맨스 09 · 화려한 외출● 10
가짜 뉴스 11 · 주간 박성광 · 운수 좋은 날
코너명 뒤의 숫자는 방영 순서
명확한 종영 공지 없이 일주일간 방영되지 않은 코너/편집된 코너/방영 예정 코너 등은 취소선으로 처리
결방이나 특집을 제외하고 편집되지 않았거나 방영분에서 누락되지 않은 코너는 ● 표시
문서 갱신 시 틀:개그 콘서트로 이동 및 편집
신설 코너 문서 생성 시 템플릿:개그 콘서트 템플릿을 사용할 것.
[ 기타 문서 ]


1. 전반기
2. 후반기
3. 시청률
4. 현황
4.1. 신설 코너 / 데뷔 및 복귀
4.2. 종영 및 방영 중단 코너 / 하차
4.3. 게스트 출연 현황
4.4. 선호도
4.4.1. 1월 25일
4.4.2. 2월 1일
4.4.3. 2월 8일



1. 전반기[편집]


현재 기준으로, 개그 콘서트는 2019년 후반기에 대규모 개편 및 방송 시간대 변경과 인기 개그맨들을 복귀시키는 등 부진한 시청률을 늘리려는 노력을 했지만 4.5%라는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예전 전성기 같은 시청률을 회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다.

특히 토요일에는 아는 형님, 정글의 법칙과 MBC, SBS, tvN 드라마 등 좀 더 많은 프로들과 경쟁하게 되면서 시청률 지분을 빼앗긴 게 시청률 하락의 원인으로 보인다. 참고로 2020년 기준으로 아는 형님과 정글의 법칙은 전성기만큼 못해도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시간 대 드라마들 역시 10%를 넘기면서 화제성은 물론이고 시청률 지분까지 동시간대의 프로그램에게 뺏기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계속 심각해져서 이 프로그램도 막을 내릴 경우, 지상파에서의 코미디 프로그램은 하나도 남지 않게 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1]

1월 4일 첫 방송에서 신설된 코너는 없었으며, 기존 코너들로 방영되었다. 그리고 시청률은 4.4%를 기록하며, 2020년 시작과 동시에 최저 시청률 기록을 갈아치워 버렸다. 또한, 1월 18일에는 4.1%까지 떨어지면서 2주 연속 최저 시청률을 갱신했다.

1월 25일 방송분부터 하땅사, 코미디 빅리그, 웃찾사처럼 점수제를 도입했으며, 한 코너가 끝날 때마다 방청객들이 투표를 한 다음 득표 수를 공개한다.(무대에서 방영된 코너 위주) 첫경연의 1등 코너는 242표를 받은 히든 보이스에게 돌아갔으며 오랜만에 5%대 시청률을 회복했다.[2] 다만 2019년에 6%는 간신히 넘었던 걸 감안하면 높은 시청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2월 1일 방송분에서는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서 사용되는 글씨체처럼 1등 코너의 경우에는 파란색 글씨체로 득표 수를 표시했으며, 다음 코너의 득표 수는 빨간색 글씨체로 득표 수를 표시했다. 두번째 경연 1등 코너는 193표를 받은 쓴대로 간다가 차지했다. 또한 한 코너가 끝나기 전 왼쪽 상단에 다음 코너 예고를 한다. 하지만 경연제를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날의 시청률은 4.0%을 기록하면서 다시 최저 시청률을 경신하는 굴욕을 당했다.[3]

2월 8일부터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서, 당분간 비공개 녹화 형식으로 방송된다고 한다. 추후 다시 공개 녹화로 돌아올 경우 당시 당첨되었던 방청객을 우선 순위로 티켓을 배부하겠다고 한다. 또 2월 8일 방영분에서는 개육대 이후 오랜만에 비공개 녹화 코너인 화려한 외출을 선보였다.

이 방영분 한정으로 38명의 패널들이 셀럽 분장을 하고 관객석에 등장하며 공연을 보다가 반응이 좋으면 슈가맨 형식처럼 불을 켜는 형식으로 바뀌었고, 중간 중간에 패널들과의 토크를 진행했다. 패널들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2월 8일 시청률은 3.9%를 기록하면서 4% 대가 무너진 건 물론이고 또 다시 최저 시청률을 갱신했다. 이 회차의 우승 코너는 패널 전원의 불을 밝힌 2020 생활사투리로 결정되었다.

2월 15일에는 투표 자체를 없앴으며 옛날의 코너를 재구성해서 대결을 펼치는 '레전드 맞짱'이 신설되었다. 이 회차에서는 김대희의 대표작인 쉰 밀회, 신봉선의 대표작인 뮤지컬2020년 버전인 쉰여섯 밀회2020 뮤지컬을 선보였다. 투표 결과 20:18로 신봉선이 승리했으며 그 뒤 다음 회 상대로 강유미를 지목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인해 녹화가 없던 탓에 2월 22일에 방송될 예정이었던 회차는 씨름의 희열 생방송으로 대체되었으며 2월 29일부터 무기한 제작 중단으로 인해 스페셜 방송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또한, 33기 개그맨 시험은 방송 재개 이후로 연기되었다.

임시로 방송되는 스페셜 편은 이재성, 유민상, 김하영이 MC를 맡았으며 과거 인기 있었던 베스트 코너들을 순위별로 발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 후반기[편집]




3. 시청률[편집]


  • 최저 시청률은 빨간색, 최고 시청률은 파란색으로 표시한다.
회차일자닐슨코리아
10301월 4일4.4%
10311월 11일4.5%
10321월 18일4.1%
10331월 25일5.1%
10342월 1일4.0%
10352월 8일3.9%
10362월 15일4.2%
특집2월 29일4.5%


4. 현황[편집]



4.1. 신설 코너 / 데뷔 및 복귀[편집]


EP.방영일자코너복귀 및 활동 재개데뷔
10311월 11일없음정해철없음
10321월 18일절대감 유민상김정훈, 이성동, 김하영, 송왕호
10331월 25일아빠와 딸, 애정남양비아, 이세진김사윤, 송채윤, 정서율
10342월 1일쓴대로 간다안상태, 정진하없음
10352월 8일화려한 외출박성호, 양상국
10362월 15일쉰여섯 밀회, 2020 뮤지컬이동윤, 김재욱


4.2. 종영 및 방영 중단 코너 / 하차[편집]


EP.방영일자코너하차 및 활동 중단
10311월 11일불편한 삼대, 누가 죄인인가, 던질까 말까정승환, 안상태, 강성범, 이광섭, 이동윤, 전수희, 이정인, 권재관, 김민경
10321월 18일바바바 브라더스김태원, 알파고 시나씨, 송준석, 김수영, 서남용, 오나미, 안소미, 김로아[4]
10331월 25일아빠와 딸, 애정남김사윤, 송채윤, 양비아, 정서율, 이세진
10342월 1일심폐소생사진전이창호, 이창윤
10352월 8일내 남자의 여사친류근지
10362월 15일쉰여섯 밀회박소라

4.3. 게스트 출연 현황[편집]


EP.방영일자게스트
10301월 4일유병권, 김장훈, 아카펠라 다이아
10311월 11일송채윤[5], 모모랜드(주이, 낸시), 인순이, 박상철
10321월 18일홍석천, 팝핀현준, 이혜정, 최기섭, 임준혁, 권선율[6]
10331월 25일제냐, 올렉, 프란시스, 최기섭, 박상민, 김정훈, 김우리
10342월 1일현숙
10352월 8일소찬휘, 박소현
10362월 15일전원주, 타일러 라쉬, 김보민


4.4. 선호도[편집]



4.4.1. 1월 25일[편집]


순위코너명득표 수
1히든 보이스242[7]
2콘서트 기타 등등232
3심폐소생사진전228
4주간 박성광226
5아빠와 딸220
62020 생활사투리215
7셀럽 언니207
8단골 로맨스194
9내 남자의 여사친177
10애정남176


4.4.2. 2월 1일[편집]


순위코너명득표 수변동
1쓴대로 간다193첫진입
2운수 좋은 날190첫진입
3심폐소생사진전174-
4내 남자의 여사친168▲5
5히든 보이스161▼4
62020 생활사투리159-
7단골 로맨스157▲1
8가짜 뉴스152첫진입
9절대감 유민상150첫진입
10콘서트 기타 등등144[8]▼8


4.4.3. 2월 8일[편집]




[1] 만약에 그렇게 되면 개그맨들이 주축이 되는 프로그램은 tvN코미디빅리그만이 남게 된다. 일단 KBS2에서 2020년 1월 28일부터 '스탠드 UP'이라는 10부작 시즌제 개그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중이나, 이 역시도 반응이 좋지 않으면 다음 시즌을 한다는 보장이 없다.[2] 동시간대의 프로그램이 영화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대체된 것 때문에 시청률이 어느 정도 오른 것으로 보인다.[3] 동일한 기관에서 집계한 다른 데에선 3.5%로 집계되었다.(관련 기사)[4] 안소미의 딸.[5] 송준근의 딸.[6] 권재관의 아들.[7] 역대 최고 점수.[8] 역대 최저 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