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보안기능사

덤프버전 :

분류

광산보안기능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광산보안기능사
鑛山保安技能士
Craftsman Mining Safety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광해광업공단
1. 개요
2. 시험 정보
2.1. 연혁
2.2. 필기
2.3. 실기
3. 기타


1. 개요[편집]


광산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다루는 자격증. 즉 채광, 기계, 전기, 화약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자격증이다. 그러나 이 자격증의 주된 목표는 바로 안전이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고 자격증 취득 전후로 1년 정도 경력이 있으면 안전계원으로 선임될 수 있으며, 광산에서 일한다면 이 자격을 취득하는 것이 승진에도 많이 도움이 된다.

주무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이며 시행기관은 한국광해광업공단이다.

시험은 1년에 딱 한 번 있다.

이름이 '보안' 인데, 이건 보건+안전의 줄임말이다. 그러나 용어 자체가 매우 오래되었고, 일제의 잔재라는 말이 있어서 용어를 바꾸자는 말은 있다. 그러나 해당 법령(광산보안법 → 광산안전법)만 개정되었고 나머지는 아직은 그대로다.


2. 시험 정보[편집]



2.1. 연혁[편집]


1974년 광산보안기능사 2급으로 신설되었고, 그 때에는 갱내, 갱외, 기계, 전기, 화약, 발파, 안전 등 총 7종목으로 나뉘어 있었다. 그러다 1983년에는 채광, 화약, 기계, 전기 4종목으로, 2008년에는 채광, 기계, 전기 3종목으로 운영되다가 2012년부터 한국광해광업공단으로 시행기관이 바뀌면서 광산보안기능사로 통합되었다.

과거 광업이 매우 잘 나갈 때는 한 번에 수백 명씩 응시하던 자격증이었고, 한국광해관리공단이 설립되기 전에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통합 관리하던 자격증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광업이 매우 쇠퇴하였기 때문에 응시자 수부터가 매우 적다. 1년에 기껏해야 100명 초반 정도.


2.2. 필기[편집]


필기는 연 1회 원주(상지대), 서울(서울직업전문학교), 함열(마이닝센터), 대구(폴리텍대)에서 CBT 방식으로 치러진다. 2022년까지는 서울공업고등학교에서 PBT로 시행했다.

  • 기초 전기 및 전기설비
  • 화약학/발파공학
  • 자원개발
  • 광산기계일반
  • 광산보안
다른 기능사와 마찬가지로 60문항에 60점 이상을 취득하면 합격.

2.3. 실기[편집]


실기는 2023년부터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있는 광해광업공단 마이닝센터에서 시행한다. 그 전까지는 강원도 태백시의 장성광업소, 서울특별시서울공업고등학교 등에서 치렀다.

실기는 총 세 과정으로 나뉜다.
  • 1 과정: 구술식. 법령 또는 안전 실무를 물어본다.
  • 2 과정: 작업식. 화약과 발파를 다룬다.
  • 3 과정: 작업식. 갱내 환경을 측정한다.
이 모든 걸 하루에 다 한다. 그리고 시험 난이도는 꽤나 복불복이므로 잘못 걸리면 그대로 재수한다. 1년에 한 번 보니까...

실기도 역시 60점을 넘으면 합격이며, 이 3과정 중 단 한 과정이라도 0점이 나오면 탈락한다.


3. 기타[편집]


합격률이 꽤 낮은데, 2016년은 최종 합격률(총 응시자 대비 합격자)이 46%였지만 2015년에는 16%라는 정신나간 수치[1]를 자랑한다. 이 살인적인 합격률의 원흉은 바로 실기.

아무래도 광업 자체가 쇠퇴하는 것도 있고, 응시자 수가 매우 적은 것도 있어서 시험에 대한 정보가 극히 적다. 문서가 만들어져 있는 것도 용할 정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2:46:44에 나무위키 광산보안기능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정도면 산업기사나 기사 정도 합격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