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트링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거트줄, 나일론줄 따위의 클래식 기타줄에 대한 내용은 클래식 기타/악세사리 문서
클래식 기타/악세사리번 문단을
클래식 기타/악세사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타 악세사리



1. 개요
2. 상세
3. 종류
3.1. 재질
3.2. 제조 방식
3.2.1. 플레인
3.2.2. 라운드 와운드
3.2.3. 플랫 와운드
3.2.4. 하프 라운드 와운드
3.2.5. 헥스 와운드
3.2.6. 특수 제조
4. 게이지
5. 제조사
6. 벌크줄



1. 개요[편집]


기타의 현(스트링)에 대해서 서술하는 문서.

2. 상세[편집]


모든 현악기들이 그렇듯 고정된 현이 진동함에 따라 소리가 나게 되며, 기타의 경우에는 브릿지와 헤드의 튜닝머신에 고정된 현을 울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어쿠스틱 기타의 경우는 울림통, 일렉트릭 기타/베이스 기타의 경우에는 픽업을 통해 각 픽업과 현, 앰프에 따른 음색을 낸다.

참고로 기타의 경우에는 보통 현에 번호를 붙여 표기하는데[1] 오른손잡이 기타 기준 넥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가장 가는줄부터를 1번현, 왼쪽으로 가며 6번현까지의 번호를 붙이는 형식이다. 7현이나 8현 기타는 각각 넥의 가장 왼쪽에 위치한 굵은 현이 7번현, 8번현이 되는 형식.

기타의 현의 경우에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끊어지거나 녹슬면 주기적으로 교체해 줄 필요가 있다.[2] 연주자 본인의 성향에 따라 교체 주기는 다르며 프로 뮤지션들의 경우에는 리허설이나 공연마다 빈번하게 교체하는 경우도 있는 듯 하다.

현의 종류는 크게 재질[3]과 제조 방식을 바탕으로 게이지(굵기) 등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각 메이커마다도 특색을 가지고 있다. 이 조건들에 따라 음색이 달라지기도 한다.


3. 종류[편집]



3.1. 재질[편집]



3.1.1. 스틸[편집]




3.1.2. 스테인리스[편집]


일렉트릭 기타의 현으로 사용되며 음색의 밝기가 가장 밝고 서스테인이 길다. 재질이 재질인만큼 수명도 길다. 다만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프렛과 피크가 극도로 빨리 닳는다는 단점이 있다. 손가락에도 부담이 간다. 메이커로는 어니 볼이 유명하다.


3.1.3. 니켈[편집]


가장 보편적이고 무난한 재질이다. 다다리오사에서 여러 현이 나온다. 락 등의 장르의 기타에서 사용한다.
  • 니켈 플레이티드: 니켈을 겉에 씌운 현. 정확한 음정의 음색이 나고 서스테인도 양호하다. 가격은 싼 편이다.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 퓨어 니켈: 심지도 표면도 니켈로 되어있다. 니켈 플레이트보단 수명이 길다. 음색은 부드러운 편.


3.1.4. 크롬[편집]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소리를 낸다. 주로 재즈에서 사용하는 편.


3.1.5. 브론즈[편집]


어쿠스틱 기타에 주로 사용한다.


3.2. 제조 방식[편집]



3.2.1. 플레인[편집]


솔리드 스트링이라고도 한다. 게이지(굵기)에 맞춰 뽑아낸 그대로의(플레인) 현이다. 주 재질은 스틸. 어쿠스틱 기타에는 1, 2현, 일렉트릭 기타에는 1~3현이 플레인 스트링인 경우가 많다. 서스테인[4]이 와운드 현보다 떨어지지만 안정적이기 때문에 밴딩이나 비브라토에는 제격이다.


3.2.2. 라운드 와운드[편집]


가장 일반적인 와운드 현으로 둥근 단면의 와운드를 사용한다. 발음 속도, 음색이 밝고 풍부하며 서스테인 역시 길다. 일반적으로 4~6현에 사용한다. 주로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진다.


3.2.3. 플랫 와운드[편집]


평평한 직사각형 단면의 와운드. 표면이 매끄럽다. 따뜻한 음색을 가지며 프렛 노이즈가 없어 슬라이드에도 용이하다.


3.2.4. 하프 라운드 와운드[편집]


라운드 와운드의 표면을 깎아서 매끄럽게 만든 와운드. 라운드 와 플랫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진다. 공정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가장 비싸고 메이저 제조사에서만 판매한다.


3.2.5. 헥스 와운드[편집]


정육각형의 플레인에 육각형 모양으로 덧댄 와운드. 주로 베이스 기타에 사용된다. 그만큼 손에도 부담이 가며 프렛도 빨리 닳는다.


3.2.6. 특수 제조[편집]


엘릭서사의 나노웹/폴리웹 코팅 현 등. STEINBERGER 기타의 더블볼 스트링처럼 전용 기타에 맞춰서 만들어진 현도 있다.


4. 게이지[편집]


줄의 굵기를 말하며 기타의 스케일에 따라 사용되는 현이 다르다. 1번줄의 굵기가 기준이며, 단위는 인치. 주로 Stratocaster 등의 롱 스케일의 경우에는 .009[5] [6], Les Paul 등의 미디엄 스케일에는 .010을 사용한다.

줄이 굵으면 진동이 길어져 동시에 서스테인이 길어지고, 픽업의 자장의 변화가 커 음색이 두꺼워진다. 그만큼 장력이 높아져 속주에는 얇은 게이지의 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반대로 다운튜닝을 쓰게 될 경우에는 다운 튜닝의 개념 상[7] 버징을 피하기 위해서나 스탠다드의 세팅에 비해 줄을 풀어도 나름의 쫀득한 장력과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하이게이지를 쓰게 된다.[8] 즉, 연주자의 취향 및 악기의 성향에 따라서 케바케란 얘기.

시중에서 판매되는 6현 패키지 제품의 경우 게이지별로 1번줄~6번줄까지의 규격이 제조사에 상관없이 모두 통일되어 있으나[9], 가끔씩 게이지가 다른 두 개 이상의 패키지를 섞어서 사용하는 연주자도 있다.[10] 아예 이런 짬뽕게이지가 완제품으로 나오기도 한다.[11]

5. 제조사[편집]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기타 스트링/제조사



6. 벌크줄[편집]


벌크줄은 대량으로 포장하여 저렴하게 공급되는 줄을 말한다. 주로 기타 제작 업체에 넘어가는데, 소규모 업체의 제작가가 기타 벌크줄 판매를 겸하기도 한다. 이럴 경우 기타줄을 반값에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본래는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는 것이고, 기타줄 제조업체가 불공정하게 손해보게 되는만큼 구매를 자제하는 게 좋다.

또한 요즘은 중국산 짝퉁 벌크줄이 판치는데다 일반 소비자에게 벌크줄을 판매한 업체를 제조사가 고소하기 때문에 벌크줄을 구하기 점점 힘들어지는 실정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02:45:26에 나무위키 기타 스트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들어 5번현(5번줄) 3프렛[2] 녹이 많이 슬면 프렛 이동, 슬라이드, 글리산도, 밴딩 등이 매우 힘들어진다.[3] 현의 재질로 기타의 종류가 분류되기도 한다. 기타 문서 참조.[4] 음의 지속성. 때문에 개인차는 있지만 1~3현에서 피킹이 강해지는 경우도 있다.[5] 물론 스트랫에 .013을 박은 SRV같은 인물도 있다…통기타보다 두꺼운 거다. SRV 왈 굵은 줄에 미쳤을 때는 .017까지도 썼다고 한다. 1번줄이 .010 패키지 3번줄 두께다[6] 반대로 하프튜닝에 .008을 박은고무줄?? 잉베이 말름스틴같은 인물도 있다.[7] 줄을 풀어서 기본 음들을 낮추는 개념.[8] 드롭 C# 아래로만 내려가도 011게이지부터를 기본으로 쓰게 된다.[9] .009의 경우 .009~.042, .010의 경우 .010~.046[10] 주로 1~3번줄은 .009 패키지에서, 4~6번줄은 .010 패키지에서 가져와 편안한 고음역 연주와 강한 저음톤 모두를 얻는다.[11] 대표적으로 어니볼 하이브리드 슬링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