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퍼거토리/등장인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더 퍼거토리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더 퍼거토리/개변된 역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1부
2.1. 왕현(주인공)
2.1.1. 역대 심왕
2.2. 권맹
2.3. 울루스부카
2.4. 바르스
2.5. 옐루
2.6. 고르야 오난
2.8. 위왕 볼로드테무르
2.9. 주원장
2.10. 프로메테우스
3. 2부
3.1. 왕현
3.2. 방서린
3.3. 방정흠


1. 개요[편집]


더 퍼거토리의 등장인물을 소개한 문서.


2. 1부[편집]



2.1. 왕현(주인공)[편집]


고려명
왕현(王晛)
몽골명
왕 테구스
작위
심왕
직위
요양등처행중서성 승상
최고직위
황제
직위
대진국 황제

본래 현대인이나, 불의의 교통사고로 뇌의 정보만 남은 상태에서 14세기 말을 배경으로 하는 가상현실 더 퍼거토리에 들어오게 된다. 그가 들어온 몸은 지정 2년(1342년) 기준 심왕 왕고의 둘째 아들인 왕현. 부왕 왕고는 여러가지 복잡한 이유로 둘째 아들 왕현을 매우 꺼리다 못해 죽이려 하는 상황이고, 왕현은 이를 피하기 위해 부왕의 협박이나 다름 없는 제안을 받아들여 충신 권맹과 함께 지금의 함경남도 일대인 하란부로 내려가게 된다. 그가 맡게 된 관직은 역병으로 인하여 거느릴 백성 조차 없이 황폐화된 산사르의 천호직. 그러나 이 산사르에서부터 울루스부카 등 주변 세력들을 규합하고 하란부를 거느린 지역 세력가로 성장한다. 쌍성총관부조림을 격파한 이후 왕현은 철령 이북을 장악하게 되고, 요왕과의 딜에 성공하여 자신의 세력권을 요양행성 소속의 화령로로 개편, 원 조정으로부터 그 도총관으로 임명받는 데 성공한다. 화령로를 완벽한 근거지로 얻은 왕현은 여러가지 신기술을 도입하여 세력을 키우면서 인근한 개원로의 요왕과 대립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부왕 왕고의 뒤를 이은 조카 토그토아부카의 죽음을 방관하기도 한다. 요왕과의 대립 끝에 왕현은 요양행성 일대의 최고 세력가로 부상하는 한편, 심왕의 자리를 잇고 요양행성의 최고 행정 책임자인 행성승상의 지위에 오르게 된다. 시스템의 지원으로 몇 세기나 앞선 기술발전을 이루고 진짜 전국새를 찾아 마침내 대진국을 건국하여 황제가 되었다.[1] 105세까지 장수했고 그의 족적 하나하나가 전설이 되는 엄청난 업적을 세우고 세상을 떠났다.

위왕 볼로드테무르의 무남독녀. 위왕은 그의 집안과 배분이 맞는 사윗감을 구하였는데, 고려왕족인 주인공 왕현과 바얀테무르 둘로 후보가 압축된다. 여기에 흥성궁 황후가 개입하면서 주인공이 낙점. 주인공의 매력스탯 보정과 업적들로 인해 사르나이가 주인공에게 첫눈에 반한 덕에 부부금슬은 매우 좋은 편. 역사의 기술대로 내조를 잘하는 아내로 그려진다. 1부 막바지에 가면 무려 6남 3녀를 낳는다. 원역사보다 훨씬 오래 살았다.

  • 장남 왕민
왕현과 사르나이의 장남 훗날 2대 황제가 된다
  • 차남 왕교
왕현과 사르나이의 차남으로 제왕으로 봉해진다
  • 3녀 왕선
남강공주. 보르지긴 소샨 황태자와 맺어진다.
  • 4남 왕책
훗날 연왕으로 봉해진다.
  • 5남 왕소
훗날 진왕으로 봉해진다.
  • 6녀 왕혜
동평공주.
  • 7남 왕수
훗날 양왕으로 봉해진다.
  • 8남 왕규
훗날 정왕으로 봉해진다.
  • 9녀 왕유
광평공주로 봉해진다. 막내딸이라 왕현의 귀여움을 많이 받았다는 묘사가 있다.


2.1.1. 역대 심왕[편집]


순서
휘(이름)
재위 기간
비고
01
이지르부카
1308년 ~ 1316년
고려 충선왕
02
올제이투
1316년 ~ 1345년
주인공의 부친, 이지르부카의 조카
03
토그토아부카
1345년 ~ 1348년
올제이투의 손자
04
테구스
1349년 ~
주인공


2.2. 권맹[편집]


고려명
권맹
몽골명
?

주인공 왕현의 최고 측근이자 충신. 궁술로 이름이 난 심양출신 발해계 무관이다. 왕현의 첫 번째 신하였고 권신 행세를 하거나 왕현의 뜻을 저버리거나 능력이 모자라 실망을 안기지도 않았다. 후에 하남왕에 봉해져 제국의 외번으로서 수년간 한족 군벌들을 막아냈다. 90살까지 장수했고 사망했을 때는 왕현과 함께 처음으로 대업을 시작한 근거지인 산사르에 묻혔다.


2.3. 울루스부카[편집]


고려명
이자춘
작위
하란 성주 -> (건국 후) 서해왕
몽골명
울루스부카
직위
화령로 다루가치 -> (건국 후) 일본행성 승상

실제 역사에서 이성계의 아버지인 이자춘이다. 쌍성총관부와 대립, 이씨 가문의 세력구축을 목적으로 삼고 있었다. 주인공과의 연대로 쌍성총관부조림 세력을 몰아내는 데 성공한다. 이후 화령로 총관이 된 왕현의 산하에 들어와 화령로의 다루가치 자리를 받고, 지금의 함흥시에 해당하는 하란을 자기 집안의 영역으로 굳히는 데 성공한다. 일본 원정을 성공했고 훗날 큐슈를 분봉받고 서해왕에 봉해진다.

쌍성총관 조림의 누이로 울루스부카의 계모. 이춘이 이씨 가문과 조씨 가문의 화합을 꾀해 조림의 누이를 부인으로 들였으나, 이춘의 사후 그의 천호직 세습을 두고 조씨의 소생들과 울루스부카가 대립, 축출된다.
아버지와 함께한 동생 이성계와는 다르게 왕현의 수군을 지휘했고 대도의 조운을 봉쇄하거나 보급을 담당하는 역할에 직접 수전을 지휘하여 강남에 영향력을 유지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조운을 봉쇄하여 기황후일파와 그 이후 대도를 장악한 토크토아 세력을 고사시켜서 왕현에게 천명을 안겨줬다고 할 정도로 많은 역할을 했다.
아직 어리지만 나이에 걸맞지 않게 무술이 매우 뛰어나고 생각이 깊은 것으로 나온다. 하란성 북쪽 숲에서 사냥할 때 주인공에게 자신의 친우 두란테무르를 면천해줄 것을 청하여 허락받는다. 원역사의 이성계와 같이 남다른 군재를 보여줬고 왕현 군의 무장으로 여러 전투와 일본원정에서 크게 활약하여 아버지 울르스부카 사후 서해왕작을 세습한다.


2.4. 바르스[편집]


여진명
산얀 바르스
작위
투루우 만호

투루우의 여진 천호이며 독실한 불교 신자이다. 인근 산사르에 천호로 부임해 온 왕현과 교분을 맺고 그와 동맹관계로 발전한다. 아들 옐루와 울루스부카의 여동생을 혼인시켜 왕현-울루스부카-바르스 간 삼자동맹을 강화한다. 바르스는 쌍성총관부의 조씨를 쓰러트린 뒤 하이얀의 세력을 흡수하여 만호가 되고, 아들 옐루는 하란하 이북 해관성의 성주가 되어 북방 모피무역의 일익을 담당하게 되는 등 가문 전체가 중흥을 맞이한다. 훗날 시고쿠를 분봉받아 남해왕에 봉해진다.


2.5. 옐루[편집]


여진명
산얀 옐루
작위
해관성 성주

바르스의 아들. 주인공과 동갑내기지만 그를 동경하는 마음이 있다. 해관성주가 되어 북방 모피무역을 담당하고 있으며, 요왕과의 일전에도 참전하였다.

  • 아내 이조이
하란성주 울루스부카의 여동생이자 이성계의 고모.


2.6. 고르야 오난[편집]


여진명
고르야 오난
작위
산동왕
여진족 천호. 이자춘의 사돈. 작중 왕현의 책사로 활동하고 건국 후 산동왕 작위를 받고 좌승상까지 오른다. 사람보는 눈이 좋아서 왕현을 주군으로 섬겼고 왕현이 실행하기에 껄끄러운 일도 자신의 손을 대신 더럽히는 충신으로 그 충성심의 대가로 제국의 주요 관직을 역임했다.


2.7. 방국진[편집]


본래 강남의 밀염상이었으나 반란을 일으켜 세력을 일구었다. 왕현의 삼한왕 시절에 귀부하여 진우량, 이슬람 반군을 토벌하여 복건왕이 되었다. 동생들을 보내 대유구도(현재의 대만), 소유구도를 평정하기도 하였으나 그가 유명한 것은 천하 평정 이후의 보선단 항해 때문.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욕망이 강하다보니 자신이 기항한 곳에 공덕비를 세우고 피라미드를 보고는 자신의 무덤을 피라미드로 만들생각도 한다. 현실적으로 황제보다 더 큰 묘를 가질 수 없으므로 대신 (수에즈)대운하 건설로 자신의 이름을 널리 알리게 된다. 본작의 개그 캐릭터


2.8. 위왕 볼로드테무르[편집]


몽골명
볼로드테무르
작위
위왕
대원제국 황금씨족으로 사르나이의 아버지이며, 왕현의 장인. 왕현의 건국을 지원하고 대진국의 중흥에 한 몫을 맡는다. 외정으로 바쁜 왕현을 대신해 태자를 돌보아 줬고 연륜에서 기반한 조언을 왕현에게 해주었다.


2.9. 주원장[편집]


원역사와 동일하게 절간 생활을 하다 거병한 한족 군벌에 가담했다. 서서히 세력을 확대하여 천명을 거머쥔 원역사와는 다르게 왕현의 세력에 서서히 밀려나는데 강남에서 시작하여 사천으로 쫒겨가게 된다. 그 곳에서도 대진국에 저항했지만 결국 사망하고 아들이 대진국에 입조하였다.


2.10. 프로메테우스[편집]


주인공에게 2회차를 선물한 신이다.


3. 2부[편집]



3.1. 왕현[편집]


이름
왕현
작위
정왕 -> 대진국 황제

1부 주인공인 왕현과 사르나이의 10대손 대진국 9대황제 경문제 왕조의 유복자. 혈통상 직계중에 직계이나 시작시점에서는 유복자로 태어나 황위를 물려받지 못하고 비어있는 정왕위를 계승했다. 세간의 평판으로는 망나니 황자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내성적이고 심약한 청년으로 망나니라는 이미지는 주변의 음모와 모략때문에 부여된 이미지이다. 자살로 추정되는 사망 이후 주인공이 빙의하면서 본격적으로 세간의 평판이 변하기 시작한다.


3.2. 방서린[편집]


이름
방서린
작위
정화원주 -> 대진국 황후
방국진의 후손으로 복건왕 방점흠의 무남독녀이다. 제도대학에서 주인공과 만났으며, 재기발랄한 성품이다.


3.3. 방정흠[편집]


이름
방정흠
작위
복건왕
관직
총리대신 -> 추밀원사
방국진의 후손으로 현 복건왕이다. 복건왕이지만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의심되는 인물이다. 지적수준은 매우 우월하지만 그에 대한 반작용 때문인지 사회성이 평범한 사람들과 궤를 달리하는 모습을 보인다. 숫자에 매우 집착하며 감정의 교류가 약하다. 그럼에도 능력 만큼은 확실하게 우월하여 제도대학에 입학하였으며, 훗날 황제의 위에 오른 왕현의 지원자가 된다. 작중 스토리 진행중 자칫 지루해질수 있는 분위기에 중간중간 등장하여 큰 웃음을 주며, 조상인 1부의 방국진과 같은 개그롤을 담당하는 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7:19:31에 나무위키 더 퍼거토리/등장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황금씨족의 실종된 황자가 있었는데 묘하게 왕현의 등장과 시기상으로 일치했고 심왕의 이유없는 미움을 받은 사실들이 재조명 되면서 원나라 황족들까지 그의 정통성을 인정하게 되었다. 왕현은 이에 대해 인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