룽옌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9
현급행정구
시할구 31, 현급시 11, 42
샤먼시
厦门市
쓰밍구>
思明区
하이창구>
海沧区

후리구
湖里区

지메이구
集美区

퉁안구
同安区

샹안구
翔安区
푸저우시

성도
福州市

鼓楼区
타이장구>
台江区

창산구
仓山区

마웨이구
马尾区

진안구
晋安区

창러구[2]
长乐区

푸칭시
福清市

민허우현
闽侯县

롄장현[2]
连江县

뤄위안현
罗源县

민칭현
闽清县

융타이현
永泰县

핑탄현[1]
平潭县
푸톈시
莆田市

城厢区
한장구>
涵江区

리청구
荔城区

슈위구[2]
秀屿区

셴유현
仙游县
싼밍시
三明市

三元区
사셴구>
沙县区

융안시
永安市

밍시현
明溪县

칭류현
清流县

닝화현
宁化县

다톈현
大田县

유시현
尤溪县

장러현
将乐县

타이닝현
泰宁县

젠닝현
建宁县
취안저우시
泉州市

丰泽区
리청구>
鲤城区

뤄장구
洛江区

취안강구
泉港区

스스시
石狮市

진장시
晋江市

난안시
南安市

후이안현
惠安县

안시현
安溪县

융춘현
永春县

더화현
德化县

진먼현[2]
金门县
장저우시
漳州市

芗城区
룽원구>
龙文区

룽하이구[2]
龙海区

창타이구
长泰区

윈샤오현
云霄县

장푸현
漳浦县

자오안현
诏安县

둥산현
东山县

난징현
南靖县

핑허현
平和县

화안현
华安县
난핑시
南平市

建阳区
옌핑구>
延平区

사오우시
邵武市

우이산시
武夷山市

젠어우시
建瓯市

순창현
顺昌县

푸청현
浦城县

광쩌현
光泽县

쑹시현
松溪县

정허현
政和县
룽옌시
龙岩市

新罗区
융딩구>
永定区

장핑시
漳平市

창팅현
长汀县

상항현
上杭县

우핑현
武平县

롄청현
连城县
닝더시
宁德市

蕉城区
푸안시>
福安市

푸딩시
福鼎市

샤푸현
霞浦县

구톈현
古田县

핑난현
屏南县

서우닝현
寿宁县

저우닝현
周宁县

저룽현
柘荣县
[1] 핑탄현은 실질적으로 푸젠성 핑탄종합실험구가 관리하고 있다.
[2] 취안저우시진먼현, 푸저우시 롄장현마쭈향, 창러구의 둥취안섬, 시취안섬, 푸톈시 슈위구 메이저우진의 우추섬, 장저우시 룽하이구의 둥딩섬중화민국실효 지배를 하고 있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색인:
{{{-2
화베이>

둥베이

화중

화난

기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지급시
龙岩(Lóngyán(Shì | 龙岩市(Liùng-ngâm-sṳ | 龙岩市(Lêng-nâ-chhī
룽옌시 | Longyan City

시정부 소재지푸젠성 룽옌시 신뤄구 룽옌다다오1호
福建省龙岩市新罗区龙岩大道1号
지역화둥
면적19,069km²
하위 행정구역2구 1현급시 4현
시간대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2,723,637명 (2020)
인구밀도143명/km²
HDI0.766 (2016)
서기위훙성(余红胜)
시장후성(胡盛)
GRDP전체$476억 4,292만 (2021)
1인당$17,492 (2021)
상징시화산다화, 난초
시목녹나무
차량번호闽F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350800
지역전화번호0597
우편번호364000
ISO 3166-2CN-FJ-08
홈페이지
1. 개요
2. 언어
3. 역사
4. 교통



1. 개요[편집]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서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지급시. 푸젠성의 서부에 있어서 민시(闽西(mĭnxī)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2. 언어[편집]


민어가 우위를 가진 푸젠성에서 유일하게 객가어가 주요 화자인 곳이다. 민남어 화자가 쓰이는 곳도 일부 있으나 민남어가 우위인 곳은 신뤄구(新罗区)와 장핑시(漳平市) 두 행정구역 뿐이며, 나머지는 전부 객가어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다만 신뤄구 인구가 85만에 달하므로 민남어 화자가 절대적으로 열세인 것은 아니다. 위 언어 표에 적힌 룽옌시 현지어 표기는 표준중국어-객가어-민남어 순으로 적혀있다.

3. 역사[편집]


초나라 때에 중국 역사로 편입되었다고 추정되지만 당장 초나라부터가 한족국가가 아니었고 싼밍시가 위치한 곳은 당시 기준으로는 너무 오지였으므로 명목상으로만 초나라의 영토였다. 그리고 한동안 이민족만 거주하는 지역으로 남다가 서진이 이 곳에 신라현(新罗县)을 설립하면서 개발이 시작된다.

당나라시기인 736년에 이 곳에 정주군(汀州郡)이 설립되었으며 742년에 임정군(临汀郡)으로 명칭을 교체한다. 이후 점점 도시가 발달하여 명나라 때에는 정주부(汀州府)가 설치된다. 청나라 때 까지 명나라의 행정구역이 유지되다가 중화민국 때 팅장도(汀漳道) 소속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푸젠성 관할로 재변경된다.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인 1950년에는 이 곳에 룽옌전구(龙岩专区)가 설치되었고, 1981년에 룽옌현(龙岩县)으로 변경되었다가 1997년지급시로 승격된다.

4. 교통[편집]


관내에 룽옌 관즈산 공항(龙岩冠豸山机场)이 있지만 국내선 전용이라 국제편은 없다.

철도의 경우에는 룽옌역(龙岩站)이 존재하며 간룽철도(赣龙铁路), 장룽철도(漳龙铁路), 간루이룽철도(赣瑞龙铁路), 난룽철도(南龙铁路)가 지나가고 고속화철도인 룽샤철도(龙厦铁路)도 지나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39:20에 나무위키 룽옌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