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포2동

덤프버전 :




광주시행정동
오포2동
五浦二洞 | Opo 2(i)-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5540312
관할 법정동매산동, 양벌동
하위 행정구역15통 99반
면적15.09㎢
인구34,000명[1]
인구밀도2,253.15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광주시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종성 (재선)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오창준 (초선)
광주시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최서윤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황소제 (재선)
행정복지센터양벌로215번길 7[2]
오포2동 행정복지센터
1. 개요
2. 특징
3. 관할 법정동
3.1. 매산동
3.2. 양벌동
4. 교통
4.2. 버스


1. 개요[편집]


경기도 광주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2. 특징[편집]


2022년 9월, 오포읍이 4개의 행정동으로 분리되었다. 양벌리와 매산리가 그대로 법정동으로 전환되었다.


3. 관할 법정동[편집]



3.1. 매산동[편집]


광주시법정동
매산동
梅山洞 | Maesan-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4161011900
관할 행정동오포2동
면적7.29㎢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 매곡리(梅谷里)[3], 독산리(獨山里)[4], 외곡리(外谷里)[5] 세 마을을 합하여'梅山里'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7,323명. 특수전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45번 국도를 통해 용인 처인구 모현읍과 연접하고 있다. 산골짜기 안쪽으로 공장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인근의 모현읍에도 같은 이름의 매산리가 있지만, 모현 매산리는 문형동과 붙어있다.



3.2. 양벌동[편집]


광주시법정동
양벌동
陽筏洞 | Yangbeol-dong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기초자치단체광주시
행정표준코드4161012000
관할 행정동오포2동
면적7.90㎢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양촌리(陽村里)[6], 벌리(筏里)[7], 둔전동(屯田洞)[8] 세 자연부락을 묶어 '양벌리'(陽筏里)라고 했던 것이다. 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27,409명. 오포읍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장지동역동에 인접해 있는 동네이다. 광주 시민 체육관과 롯데칠성음료 공장이 위치해 있다. 공장 북쪽의 양벌초등학교 인근, 남쪽의 매양중학교 인근 상권으로 나뉘어 있다. 양벌도서관이 2021년 12월 개관했으며 로컬푸드 복합센터, 실내 수영장 및 물놀이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한다.



4. 교통[편집]



4.1. 철도[편집]


  • 광주시내(경안동)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들을 이용해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경기광주역을 오갈 수 있다.


4.2. 버스[편집]


KD 운송그룹의 사실상 독점 구역이다.

동네마다 경유하는 버스는 다르지만, 광주 시내는 물론 서울[9]과 성남, 분당, 수원, 용인 등 다양한 행선지가 있어 버스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비고
1005한국외대양벌동ㆍ태전동ㆍ삼동ㆍ갈현동ㆍ야탑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강남역30~50경기고속용인시 면허
1113에버랜드외대사거리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광주시청ㆍ중부고속도로ㆍ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ㆍ천호역강변역30~40대원고속
1117한국외대양벌동ㆍ장지동ㆍ삼동ㆍ모란역ㆍ복정역ㆍ잠실역강변역15~30대원고속
G3202광주터미널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태전지구ㆍ도곡역ㆍ한티역ㆍ선릉역삼성역20~30경기고속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비고
17-1송정동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문형동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금광동30~120경기고속
17-1A송정동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봉골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금광동80~125경기고속
17-3송정동광주시청ㆍ광주터미널ㆍ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광남동ㆍ추자동봉골종점1일 4회경기고속
2-1지월리경화여고ㆍ경안동주민센터ㆍ경기광주역ㆍ장지사거리ㆍ양벌동양벌대주1차A10~30경기고속
20안터입구용인터미널ㆍ유림동ㆍ둔전역ㆍ포곡읍행정복지센터ㆍ초부리ㆍ외대사거리ㆍ매산동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역동사거리경안동12~16경남여객용인시 면허
34-1송정동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매산동공원묘지광주공원1일 8회경기고속, 대원고속
34-12송정동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고산동ㆍ오포1동행정복지센터ㆍ매산동공원묘지광주공원1일 4회경기고속, 대원고속
34-13광주공원매산동공원묘지ㆍ광남중ㆍ경안중ㆍ경기광주역ㆍ경안동송정동1일 1회대원고속
34-16송정동경안동(→ 경기광주역 → 경안중/← 광주경찰서 ← 광남중)ㆍ매산동공원묘지광주공원1일 1회경기고속, 대원고속
60송정동광주터미널ㆍ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매산동ㆍ외대사거리ㆍ문형동ㆍ오리역ㆍ죽전동ㆍ성복역ㆍ경기대후문ㆍ창룡문ㆍ장안문ㆍ경인지방병무청수원역30~60대원고속

노선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버스회사배차간격(분)
광주1양벌어린이공원매양중학교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금호리첸시아광주터미널광주도시관리공사40
광주14장지차량등록사업소태전지구ㆍ추자동ㆍ대주2차아파트매산1통광주도시관리공사1일 7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포읍 문서의 r2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오포읍 문서의 r282 (이전 역사)
오포읍 문서의 r2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2] 양벌동 371-2[3] 조선시대 초기에 어느 지관이 이 곳을 지나다가 이 땅이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라 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梅谷里'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4] 이 마을 뒤편에 묘(墓)같이 생긴 산이 따로 떨어져 있다고 해서 이 마을을 '딴뫼'라 하고 한자로 '獨山洞'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5] 옛날에 이 마을에 백마산(白馬山)의 줄기기가 두 갈래로 갈라진 곳에 매곡동(梅谷洞)이 있고 그 밖에 이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 '밧골'이라 하고 한자로는 '外谷洞'이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6] 조선시대 후기부터 이 마을에는 양(楊)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였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마을이름을 '楊村'이라고 하다가 후일에 '陽村'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7] 이 마을 앞에 넓은 농경지가 있어서 '벌촌(筏村)이라 부르게 되었다.[8] 고려시대부터 지방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의 식량을 대기 위하여 군사들의 힘으로 농경지를 개척하는 밭을 '둔전'(屯田)이라 하는데 이 마을이 바로 그러한 마을이었다. 따라서 이름을 '둔전말'이라 부르게 되었다.[9] 광역버스는 물론 일반버스(!!)노선도 존재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36:10에 나무위키 오포2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