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조노 덴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일본 신화|

전승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일본 제116대 천황
모모조노 덴노
桃園天皇
파일:1280px-Emperor_Momozono.jpg
출생1741년 4월 14일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사망1762년 8월 31일 (향년 21세)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능묘쓰키노와릉(月輪陵(월륜릉)
재위기간일본 황태자
1747년 3월 16일 ~ 1747년 6월 9일
제116대 천황
1747년 6월 9일 ~ 1762년 8월 31일
[ 펼치기 · 접기 ]
도히토(遐仁(하인)
부모부황 사쿠라마치 덴노
모후 아오키몬인
형제자매1남 2녀 중 장남
배우자쿄오레에몬인
자녀2남
종교신토, 불교
아명야호노미야(八穂宮(팔수궁)
사치노미야(茶地宮(차지궁)
원호모모조노인(桃園院(도원원)
시호모모조노 덴노(桃園天皇(도원천황)
연호엔쿄(延享(연향, 1747년 ~ 1748년)
간엔(寬延(관연, 1748년 ~ 1751년)
호레키(寶曆(보력, 1751년 ~ 1762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본의 제116대 덴노. 사쿠라마치 덴노의 아들이었다. '모모조노'의 한자 표기가 '桃園'이라서 한국에선 '도원 천황'이라고도 부른다.

2. 생애[편집]


1746년, 사쿠라마치 덴노의 양위로 즉위했다.

1758년, 일부 신하들이 에도 막부 전기 때 제창되었던 <신도설>(神道説)을 강론한 것이 시작이 되어 호레키(宝暦)[1] 사건이 발생했다.

1762년, 22세로 붕어했고, 황위는 아들 히데히토[2]가 이어야 했지만 나이가 어렸기에 누나인 고사쿠라마치 덴노가 황위를 계승했다.[3]

[1] 존왕론자(尊王論者)가 첫 번째로 탄압받은 사건이었다.[2] 고모모조노 덴노[3] 고사쿠라마치 덴노는 1771년 1월까지 재위했고, 이후 히데히토에게 황위를 양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5:26:00에 나무위키 모모조노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