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마드 알리(이집트)

덤프버전 : r20200302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인물인 권투선수에 대한 내용은 무하마드 알리 문서
무하마드 알리번 문단을
무하마드 알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ModernEgypt,_Muhammad_Ali_by_Auguste_Couder,_BAP_17996.jpg

오스만어: محمد علی پاشا المسعود بن آغا(Mehmed Alī Pāşā el-Mes‘ūd bin Āġā)
아랍어: محمد علي باشا (Muḥammad ‘Alī Bāshā)
알바니아어: Mehmet Ali Pasha
터키어: Kavalalı Mehmet Ali Paşa

1769년 3월 4일 ~ 1849년 8월 2일

1. 개요
2. 행적
3. 이름 논란


1. 개요[편집]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으로, 이집트 최후의 왕조이자 무함마드 알리 왕조 이집트 왕국의 시조.


2. 행적[편집]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의 알바니아계 가정에서 태어났다. 나폴레옹이집트를 침공하자 삼촌의 명령으로 방어군 부대장으로 임관했으나, 개인적 수완을 발휘해 4천명의 알바니아 부대를 통솔하는 지휘관으로 임관해 싸웠다.[1] 그 공으로 1805년 이집트 태수의 지위를 임명받았다. 알리는 현지 군벌로 군림해온 맘루크들을 숙청하고 독재권력을 강화해 사실상 국왕으로 군림했으며, 총독직을 세습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과 전쟁하기도 했다. 또한 이집트의 근대화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이집트는 맘루크들의 지배 하에 놓여 있던 지역이었고, 여러 이권이 얽혀 있어 혼란이 가중되어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알리는 정적들을 하나씩 제거하는데, 특히 당시 이집트의 토착 지배층이었던 맘루크의 숙청 과정은 기술할만 하다. 그는 먼저 자신이 연출한 약탈을 통해 울라마, 상인, 민중을 선동해 맘루크를 몰아냈다. 또한 당시 제국 행정부가 임명한 이집트 총독을 허수아비로 만든 뒤 알바니아인 부대를 통해 이집트 전역에 조세행정을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반란들은 알바니아인 부대로 진압함과 동시에 이 알바니아인 부대도 소모시킨다. 종국에는 몰아냈던 맘루크들에게 환영식을 열어준다는 이유로 카이로에서 학살을 일으켜 이집트에서 절대권력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몽골 침공 이후 이 지역을 지배했던 맘루크 계층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또한 이슬람 원리주의를 이끄는 와하브 운동의 불길이 커지면서 군벌세력화되었는데, 이들은 이집트를 통치하는 데에서도 위협적일 뿐 아니라 칼리프 자리를 가지고 있던 오스만 제국에게도 정치적 위협이었기에 무함마드 알리는 이들을 진압하면서 정치적인 자산을 쌓을 수 있었다. 또한 오스만과 이집트를 분리시키기 위해 이집트에서 오래 전 사어가 된 콥트어를 부활시키려는 노력까지 하였다. 기존 지배계층이 소멸되자 알리는 혈족과 가신을 중심으로 이집트의 정권을 다졌고, 제국 행정부는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했으나 알리의 군사력과 이집트의 안정된 세입에 그를 용인했다.

집권 이후 알리는 비인간적이고 잔인한 방식으로 이집트의 사회 경제를 재조직한다. 농민을 동원해 면화 곡물 재배에 투입하고, 무역 독점으로 발생한 차익을 인프라와 교육, 보건, 군대에 전면적으로 투자하여 이집트를 탈바꿈시킨다. 그러나 나일강을 정비하는 인프라 준설은 공사 과정에서 많은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몰았고, 관세로 산업을 보호하며 성장시켰으나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강제동원된 이들이었다. 교육을 위해 아이들을 강제로 부모와 떨어뜨렸으며 강력한 군사력은 인구의 약 2.6%를 처우가 열악한 상비군으로 만들었고 징병에 대한 저항에는 폭력으로 대응했다. 심지어 병역을 피하고자 자발적으로 불구가 된 이들을 모아 불구자 부대를 편성하기까지 한다. 오스만 제국 행정부는 이러한 이집트의 성과에 인상을 받지만 같은 성과를 낼 수는 없었다.

파일:citadel.jpg
이집트 카이로의 알리 모스크

알리는 그리스 독립전쟁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에 지원군을 보내주는 대가로 크레타, 모레아, 이집트 총독 자리를 임명직에서 세습직으로 바꿔보려는 수작을 부리다가 술탄이 거부하자 수틀려서 반란을 일으킨다. 프랑스 장교들이 지휘하는 이집트군은 연이은 전쟁의 충격으로부터 아직 헤어나오지 못한 오스만군을 격파하고 시리아, 팔레스타인을 점령한 뒤 곧장 이스탄불로 향했다. 아무리 오스만 제국이 개혁이 완료되지도 않았고 예니체리가 남긴 상처가 여러곳에 남아있었다고는 하나 어처구니 없는 졸전이었다. 하지만 19세기 세계 최강대국 영국의 입장에서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로부터 인도를 보호하는 방파제로서의 가치가 있었다. 유럽 열강의 이해관계로 오스만 제국은 팔레스타인 영토는 보존했고 이집트는 형식적인 제국의 영토로 남았으나 시리아를 통째로 무함마드 알리에게 내주어야 했다.

이후 마흐무트 2세는 개혁을 가속하면서 무함마드 알리가 시리아, 수단, 헤자즈를 점령하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자 곧바로 8만 대군으로 시리아를 침공한다. 그러나 4만여명의 이집트군의 반격에 의해 패배하였고 알렉산드리아를 봉쇄하기 위해 출항했던 오스만 제국 해군이 알리에게 투항하는 바람에 마흐무트 2세는 홧병으로 지병이던 결핵이 악화되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유럽 열강은 이집트에게 이집트 및 다마스쿠스의 영유를 조건으로 철수를 요구했으나, 프랑스가 이집트를 후원하고 있었으므로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시리아 왕국을 재건하여 독립하는 것을 넘어서서 아예 콘스탄티노플까지 정복하여 오스만에 갈음하는 새로운 이슬람 제국을 세우겠다는 야망 하에 물러서지 않았다. 결국 영국이 함대를 파견하고 침공 위협을 해보이자 그때서야 점령지를 반환하고 형식적인 오스만 제국의 속국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알리는 최초의 목적인 이집트와 수단의 세습을 확립했고, 이후 1956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하게 되는 이집트의 마지막 왕조인 무함마드 알리 왕조를 설립하게 된다. 이집트의 왕은 아니고 총독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지만 권력은 왕이나 다름없었다.

무함마드 알리의 후손들은 1914년부터 술탄을 자처하였으며, 1922년 영국의 보호국이 됨과 동시에 영국이 이집트의 독립을 인정하면서 비로소 왕이라는 칭호를 쓴게 된다. 이로서 이집트는 여전히 형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령이긴 하지만 사실상 오스만 제국에서 떨어져 나가게 된다. 다만 당시 기록을 보면 이때 이집트에서는 여전히 오스만 제국으로 세금을 납부했으며, 1860년대까지 오스만 제국 전 속령중 가장 세입이 높은 지역이 남동유럽 다음으로 바로 이집트였다. 그래서 이후 이집트의 독립은 오스만의 세수를 감소시켜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와 후손들은 술탄이나 에미르로 칭한적은 없으며 오스만 제국의 총독(Khediv)로서 이집트를 통치해 왔으며 정기적으로 공물도 오스만 제국에 납부해왔고 오스만 제국이 재기불능의 상태에 빠진 1915년이 되어서야 술탄을 칭하게 된다.

무함마드 알리의 통치는 맘루크들이나 이슬람 원리주의자들 못지 않게 가혹했다. 면화 농장에서는 농민들이 면화를 재배하다 죽어갔으며 세금을 안 내면 꼬챙이에 꿰이는 등 비참한 대우를 받아야 했고 공장과 교육은 전쟁터로 내 보낼 병사들을 만들기 위한 '병기창'에 불과했다. 그렇기에 무함마드 알리는 전쟁에서 승승장구했음에도 정작 시리아 등의 점령지에서 전혀 민심을 얻지 못해 더 나아가지 못하고 발목이 잡혔으며 남북전쟁 이후 미국 남부의 면화 공급이 풀리면서 이집트 면화의 수입이 급감하자 농민들은 고통에 시달려야 했다. 이 시기 산업화는 서구 열강 본국 내에서조차 도시가 농촌을, 공장이 노동자를 말 그대로 착취하는 지옥과도 같은 수준이었고 무함마드 알리는 더 빠르게 산업화를 하겠답시고 여기에 더한 착취와 수탈을 했다. 그렇게 해서 키운 산업은 군사적 투자로 재편되었고 이집트의 실질 경제 상태는 매우 취약했다.

또한 지정학적 영향이 너무나도 컸다. 19세기 최강대국 영국의 입장에서 이집트는 영국과 인도를 잇는 최고의 전략적 요충지였다. 영국은 이집트 문제에 끝없이 개입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알리는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관세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한다. 상술했듯이 오스만 제국을 러시아로부터 인도를 지키는 방파제로 인식한 영국의 이해에 따라 알리의 부상은 용납될 수 없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무하마드 알리는 1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지는 동방문제, 발칸과 이집-중앙아시아, 조선, 쿠릴열도까지 이어지는 영국과 러시아의 지정학적 경쟁인 '그레이트 게임'의 시작을 알렸다. 이러한 세계사적 무게는 발전 도상의 독립하지 못한 지방 정부 수장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었다. 여하튼 무하마드 알리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경쟁과 중동 특유의 가문-혈족 중심 지배체제의 기원, 그리고 중동 근대화 과정의 시조로 볼 수 있는 인물이다.


3. 이름 논란[편집]


그러나 정작 세계사에서 무함마드 알리라고 알려져있는 인물이지만, 그는 알바니아 출신 지배자였으며, 평생 알바니아어와 터키어만을 모국어로 사용했다. 터키어로는 메흐메트 알리(Mehmet Ali)로 평생 아랍어는 한마디도 못했던 인물인 만큼 학계에서는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이후 이집트를 통치한 그의 후손들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터키인으로 갖고 있었다.

그가 개인이라면 터키어식으로 메흐메트 왕조라 부르는 게 옳겠지만, 알리는 평범한 일반인이 아니라 이집트의 통치자이며 이집트 무함마드 왕조의 창시자이다. 이런 경우 개인의 정체성이 아니라 가장 주된 직위의 언어를 기준으로 불러주는 것이 관례적이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리처드 1세는 영어를 거의 못하는 프랑스인에 가깝지만 노르망디 공작 리샤르 4세나 아키텐 공작 리샤르 1세로 지칭할 때가 아니면 프랑스어인 리샤르로 부르지 않으며, 영국의 국왕 조지 1세도 사실상 독일인이지만 하노버 선제후로서 지칭할 때를 제외하면 게오르크 1세라 부르지 않는다. 카를 5세는 네덜란드인에 가까우며 그가 통치한 스페인에서는 카를로스 1세로 불리지만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타이틀을 갖고 있었으므로 독일식인 카를 5세로 부른다. 표트르 3세 또한 본래 독일인이었으며 러시아 제국의 황제가 된 후에도 독일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다가 비참하게 몰락했지만 독일식으로 페터라고 부르지 않으며, 부계로는 스웨덴 및 덴마크 왕실과 혈연이 있었지만 북게르만식으로 페테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네덜란드의 국부인 침묵공 빌럼 1세 또한 본래 독일인이었고 네덜란드를 독립시키기 전에는 당시 네덜란드를 지배하던 스페인에 충성했지만 독일식으로 빌헬름 1세라고 부르거나 스페인식으로 기예르모 1세라고 부르지는 않으며, 프랑스계 국가인 오랑주 공국의 공작을 겸했지만 오랑주 공작으로서 지칭할 때가 아니면 프랑스식으로 기욤 1세라고 부를 일은 거의 없다.

원칙적으로 19세기 이집트는 독립국에 가까웠지만 명목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총독령이었으므로 터키어로 부를 수도 있겠으나, 술탄을 자처한 이후에는 터키 외의 나라에서는 이집트의 언어인 아랍어식으로 무함마드 왕조라 한다. 같은 집안인데도 메흐메트라 부르다가 후손을 무함마드로 바꿔부르면 헷갈리니까 메흐메트 알리도 무함마드 알리로 널리 알려진 것이다.
[1] 아부키르 전투에서 익사할뻔 했으나 살아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