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역(광주)

덤프버전 : r20210301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천 부평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백운역(경인선) 문서
백운역(경인선)번 문단을
백운역(경인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백운역
(남구청)
파일:광주상징221.png
내선순환주 월
← 0.6km
2호선
(211)
(공사중)
외선순환양 림
0.7km →
시종착


다국어 표기
영어Baegun(Nam-gu Office)
한자白雲(南區廳)
중국어白云(南区厅)
일본어白雲(南区庁)
주소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주월동, 백운동 인근
역 운영기관
2호선파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_Logo.png

白雲(南區廳)驛 / Baegun(Nam-gu Office)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1. 개요[편집]


광주 도시철도 2호선 211번. 광주광역시 남구 백운교차로 인근 소재. 광주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 예정.


2. 역 정보[편집]


파일:광주 백운역 정거장 계획도.png#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공사중 3단계로 이 역에서 효천역까지 지선이 분기된다.

1상대 1섬식 승강장이며[1], 지하 2층 대합실에 지하 1층 승강장과 선로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 역 지하 2층은 반대편으로 건너갈 수 있는 지하통로 및 외부 출입구와 연결되는 기능을 겸한다. 2호선 1단계 공사구간 중 남광주역과 더불어 유이한 고심도역이다.

위 계획도에 나타나듯이 출입구는 남구의회(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1), 창신빌딩(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로 2), 남구자원봉사센터건물(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 2) 앞 보도에 총 3곳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백운광장에 있는 백운고가차도는 위험도로로 지정되어 2호선 공사와 맞물려 2020년 6월 4일부터 철거되고 지하차도와 회전교차로가 생길 예정이다.

정부에서 실시한 수요예측 결과 일평균 '8,060명'이 승차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엔 새로운 이동 모형을 적용한 예측 모델로 재조사가 이루어졌다. 새 조사로는 전구간 개통시 하루 평균 6,903명이 승차할 것으로 예측된다.

광주 남부의 교통 중심지와 2호선 효천지선 환승역 + 200m 스트리트 상가 개발 중 (주월양우내안애아파트) + 남구청 + 남구청 건물에 입점한 메가 아울렛 + 주변 도시재생뉴딜사업 + 봉선동 및 대남대로 버스 환승인구까지 겹쳐 광주 2호선 중에서도 손꼽히는 혼잡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광주 남구청, 남구의회, 남구보건소, 국토안전관리원 호남지사 등이 있다.


[1] 상대식 승강장은 본선, 효천선은 섬식 승강장을 사용하며 단선을 타고 이 역에 종착한다. 까치산역과 비슷한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