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우리말/목록/테마별/식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순우리말/목록

1. 개요
2. 목록


1. 개요[편집]


순우리말을 테마별로 분류한 문서이다.
흔히 순우리말로 잘못 아는 한자어·외래어가 있으며, 순우리말인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말도 있다. 순우리말 목록에 넣을 때에는 이에 주의하기 바람.




2. 목록[편집]



  • 가라지: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ᄀᆞ랏, 가랏, 가라지 《출전》 稂 ᄀᆞ랏 - 시경언해(7)(1613) 《참조》 가라지(샘)
  • 가락나무: → 떡갈나무. *《옛》 가락나모 《출전》 柞 가락나모 - 시경언해(14)(1613)
  • 가랍나무: 떡갈나무. *《옛》 가랍나모 《출전》 栩 가랍나모 우 柞 가랍나모 작 - 훈몽자회(상)(1527)
  • 가랒: ‘가라지’의 준말. *《옛》 ᄀᆞ랏, 가랏 《출전》 稂 ᄀᆞ랏 - 시경언해(7)(1613) 《참조》 가라지(샘)
  • 가래: 가래나무의 열매. *《옛》 ᄀᆞ래, 가ᄅᆡ 《출전》 ᄀᆞ래為楸 - 훈민정음 해례본(1446), 楸 ᄀᆞ래 츄 - 훈몽자회(상)(1527), 梓 ᄀᆞ래 - 시경언해(3)(1613) 《참조》 가래(샘)
  • 가래나무: 가래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ᄀᆞ래나모, 가래나모, 가래나무 《참조》 가래나무(샘)
  • 가시나무: 참나뭇과의 돌가시나무, 북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가ᄉᆡ나모 《출전》 棘 가ᄉᆡ나모 - 시경언해(2)(1613)
  • 가위톱: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가희톱 《어원》 가히(犬)+-의+톱 《참조》 가위톱(샘)
  • 가회톱: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가희톱 《출전》 白斂 가희톱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가위톱(샘)
  • 가회톱풀: 가회톱. *《옛》 가희톱플 《출전》 蘞 白蘞藥草 가희톱플 - 사성통해(1517)
  • 갈: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ᄀᆞᆯ 《출전》 ᄀᆞᆯ為蘆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 감나무의 열매. *《옛》 감 《출전》 감為柿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감나무: 감나뭇과의 낙엽 교목.
  • :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갓 《출전》 芥菜 갓 又云 계ᄌᆞ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개암: 개암나무의 열매. *《옛》 개얌 《출전》 榛 개얌 - 시경언해(2)(1613)
  • 개암나무: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개욤나모
  • 거여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옛》 게여목, 거여목, 거어목, 게유목, 거유목, 게오목, 게목 《출전》 苜 게유목 목 蓿 게유목 슉 - 신증유합(상)(1576)
  • 겨우살이: 겨우살잇과의 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겨으사리, 겨ᅀᅳ사리 《출전》 蔦 겨으사리 - 시경언해(14)(1613)
  • 고비: 고빗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고비 《출전》 고비 궐 蕨 - 국한회어 坤(1895)
  • 고사리: 양치식물 고사릿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고사리 《출전》 蕨 고사리 궐 虌 고사리 별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고사리(샘)
  • 고수: 산형과의 한해살이풀. *《옛》 고ᄉᆡ, 고싀 《출전》 芫 고ᄉᆡ 원 荽 고ᄉᆡ 슈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고수(샘)
  • 고욤: 고욤나무의 열매. *《옛》 고욤 《출전》 고욤為梬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梬 고욤 비ᇰ - 훈몽자회(상)(1527)
  • 고욤나무: 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 : 골풀. *《옛》 《출전》 菅 골 관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골풀(샘)
  • 골풀: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골 《참조》 골풀(샘)
  • 과남풀: 초용담
  • 구릿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구리대 《출전》 芷 白芷藥草 구리대 - 사성통해(1517)
  • 귀리: 볏과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 *《옛》 귀보리, 귀우리 《어원》 귀+보리 《참조》 귀리(샘) / ‘귀보리’는 ‘귀’와 ‘보리’가 결합한 것이다. 모음 사이에서 ‘ㅂ’이 약화되어 ‘우’로 변하면서 ‘귀우리’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우’가 탈락한 ‘귀리’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귀보리)
  • 귀밀: ‘귀리’의 북한어. *《옛》 귀밀 《출전》 馬麥은 귀밀이라 - 월인석보(21)(1459)
  • 귀보리: ‘귀리’의 방언(경상, 전남, 충남, 중국 흑룡강성). *《옛》 귀보리 《어원》 귀+보리 《참조》 귀리(샘)
  • 그령: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글희영, 글ᄒᆡ영, 그령 《출전》 菅 글희영 - 시경언해(1613) 《참조》 그령(샘)
  • 기장: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기자ᇰ, 기장, 기쟝, 디장 《출전》 黍 기자ᇰ 셔 - 훈몽자회(상)(1527) 《참조》 기장(샘)
  • 까마종이: 가짓과의 한해살이풀. *《옛》 가마조ᅀᅵ, 가마조이, 가마종이 《참조》 까마종이(샘)
  • 꼭두서니: 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곡도손, 곡도손이 《출전》 茹藘 곡도손 - 시경언해(4)(1613)
  • 꽃무릇: 석산, 피안화
  • 나리: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나리 《출전》 나리-꽃 名 「백합꽃」의 사투리. -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
  • 나무쑥갓: 마가렛
  • 남가새: 남가샛과의 한해살이풀. *《옛》 납거ᄉᆡ, 납가ᄉᆡ 《참조》 남가새(샘)
  • 냉이: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나ᅀᅵ, 나이, 낭이, 냉이, 나히, 낭히 《출전》 薺 나이 - 시경언해(2)(1613) 《참조》 냉이(샘)
  • 넘나물: 원추리의 잎과 꽃으로 무쳐 먹는 나물. *《옛》 넘ᄂᆞᄆᆞᆯ, 넙ᄂᆞᄆᆞᆯ, 넘나물 《출전》 萱 넘ᄂᆞᄆᆞᆯ 훤 - 훈몽자회(상)(1527), 萱 넙ᄂᆞᄆᆞᆯ 훤 - 신증유합(상)(1527) 《참조》 넘나물(샘) / '넘ᄂᆞᄆᆞᆯ'은 16세기부터 '넙ᄂᆞᄆᆞᆯ'과 함께 나타났는데(萱 {넙ᄂᆞᄆᆞᆯ} 훤 1576 신합 상:7ㄱ), 현대 국어에서는 '넘ᄂᆞᄆᆞᆯ'의 후대형인 '넘나물'만 남아 있다. 19세기에는 '넘나물'이 나타난다. - 우리말샘 역사정보(넘나물)
  • 농동우: 봉선화과
  • 눈비앗: 암눈비앗. 익모초. *《옛》 눈비엿, 눈비옂, 눈비얏 《출전》 【喉閉 益母草 不拘多少擣爛以新汲水】 모기 ᄀᆞ리븟거든 눈비여즐 하나 져그나 므르디허 ᄀᆞᆺ 기론 믈 - 구급간이방(2)(1489), 茺 눈비얏 츄ᇰ 蔚 눈비얏 울 萑 눈비얏 츄 蓷 눈비얏 퇴 - 훈몽자회(1527)
  • 눈색이: 복수초. 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 눈풀꽃: 설강화
  • 느릅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느릅나모, 느릅나무 《출전》 느릅나무 楡 - 한불자전(1880)
  • 느티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느틔나모, 누튀나모 《참조》 느티나무(샘)
  • 다래: 다랫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옛》 ᄃᆞ래, 다래, 다ᄅᆡ 《출전》 㮕 ᄃᆞ래 ᅀᅧᆫ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다래(샘)
  • 다릅나무: 콩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다릅나모 《참조》 다릅나무(샘)
  • 다봊: 다북쑥. *《옛》 다봊
  • 다북쑥: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다봇ᄡᅮᆨ, 다복ᄡᅮᆨ, 다복쑥, 다북ᄡᅮᆨ, 다북쑥 《어원》 다봊+ᄡᅮᆨ 《참조》 다북쑥(샘)
  • 다시마: 갈조류 다시맛과의 하나. *《옛》 다ᄉᆞ마, 다사마, 다스마, 다시마 《참조》 다시마(샘)
  • 닥: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닥 《출전》 닥為楮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닥나무: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닥나모 《출전》 【楮骨거플 벗긴 닥나모新好者硏碎緜裏舍】 거플 벗긴 닥나모 새 됴ᄒᆞ니ᄅᆞᆯ 브ᅀᅳ ᄀᆞ라 소오매 ᄡᅡ 머구므라 - 구급간이방(6)(1489), 楮實 닥나모 여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달: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달 《출전》 薍 달 란 荻 달 뎍 蒹 달 겸 萑 달 환 菼 달 담 - 훈몽자회(상)(1527), 菼 달 - 시경언해(3)(1613), 萑 달 - 시경언해(8)(1613) 《참조》 달(샘)
  • 달래: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ᄃᆞᆯ뢰, ᄃᆞᆯ외 《참조》 달래(샘)
  • 달맞이꽃: 한자로는 야래향 또는 월견초라 한다.
  • 대: 볏과의 대나무속(屬)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더덕: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더덕 《출전》 蔘 더덕 ᄉᆞᆷ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더덕(샘)
  • 도꼬마리: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옛》 됫고마리, 돗귀마리, 돗고마리, 돋고마리, 도ᄭᅩ마리, 독고마리 《출전》 葈 돗고마리 시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도꼬마리(샘)
  • 도라지: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도랒, 도랏, 도라지 《참조》 도라지(샘)
  • 도랒: ‘도라지’의 준말. *《옛》 도랒, 도랏 《출전》 桔 도랏 길 莄 도랏 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도랒(샘)
  • 도투랒: *《옛》 도ᄐᆞ랏, 도토랏 《출전》 藜 도ᄐᆞ랏 례 - 훈몽자회(상)(1527), 【杖藜妨躍馬 不是故離群】 도토랏 막대 디퍼 ᄃᆞᆫ뇨미 ᄆᆞᆯ ᄐᆞ기예 妨害ᄒᆞ란ᄃᆡ만뎡 이 부러 무를 여희우미 아니니라 - 두시언해 중간본(13)(1632)
  • 도투라지: ‘명아주’의 방언(경상). *《옛》 도ᄐᆞ랓, 도ᄐᆞ랏 《출전》 【杖藜從白首】 도ᄐᆞ랏 막다히ᄅᆞᆯ 디퍼셔 셴 머리ᄅᆞᆯ 므더니 너기노니 - 두시언해 초간본(3)(1481)
  • 두여머조자기: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두야머주저기
  • 딸기: 장미과 딸기속, 거문딸기속, 뱀딸기속 및 나무딸기속의 일부를 포함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ᄠᅡᆯ기, ᄯᅡᆯ기, ᄯᆞᆯ기, ᄠᆞᆯ기, ᄯᅡᄋᆞᆯ기, 딸기 《출전》 苺 ᄠᅡᆯ기 ᄆᆡ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딸기(샘)
  • 때찔레: 해당화
  • 떡갈나무: 참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덥갈나모 《출전》 櫟 덥갈나모 륵 - 훈몽자회(상)(1527)
  • 띠: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뒤, ᄠᅱ, ᄯᅱ, ᄯᅴ 《출전》 뒤為茅 - 훈민정음 해례본(1446), 茅 ᄠᅱ 모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띠(샘)
  • 마: 맛과의 덩굴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맣, 마 마 《출전》 마為薯藇 - 훈민정음 해례본(1446) 《참조》 마(샘)
  • 마름: 마름과의 한해살이풀. *《옛》 말왐, 말암, 마람, 마름 《출전》 藻ᄂᆞᆫ 말와미니 - 능엄경언해(9)(1461), 芰 말왐 기 菱 말왐 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마름(샘)
  • 말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ᄆᆞᆯ엿귀 《출전》 龍 ᄆᆞᆯ엿귀 - 시경언해(4)(1613)
  • 맨드라기: 계관
  • 머구리밥: 개구리밥. 부평초(浮萍草). *《옛》 머구릐밥 《출전》 薸 머구릐밥 표 萍 머구릐밥 펴ᇰ - 훈몽자회(상)(1527)
  • 머귀: 오동나무. *《옛》 머귀 《출전》 桐 머귀 - 시경언해(3)(1613)
  • 머귀나무: → 오동나무. *《옛》 머귀나모 《출전》 桐葉 머귀나모 닙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머루: 포도과의 왕머루, 까마귀머루, 새머루, 개머루, 털개머루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멀위, 머뤼, 머루 《참조》 머루(샘)
  • : 능금. *《옛》 멎, 멋, 먿 《출전》 【有舟柰結實 母命守之 每風雨 輒抱樹而泣】 머지 여렛거늘 어미 디킈라 ᄒᆞᆫ대 ᄇᆞᄅᆞᆷ비 티ᇙ 저기면 남ᄀᆞᆯ 안고 우더라 - 삼강행실도(1481), 【輕籠熟㮈香】 가ᄇᆡ야온 籠애 니근 머지 곳답도다 - 두시언해 초간본(1481), 㮏 멋 내 - 훈몽자회(상)(1527), 柰 먿 내 - 신증유합(상)(1576), 奈 멋 내 - 석봉천자문(1583), 有丹柰結實이어늘 母ㅣ 命守之ᄒᆞᆫ대 블근 먿이 이셔 여ᄅᆞᆷ ᄆᆡ잣거ᄂᆞᆯ 어미 命ᄒᆞ야 딕희라 ᄒᆞᆫ대 - 소학언해(6)(1588), 柰子 먿 或云 농ᄇᆡ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메: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메 《참조》 메(샘)
  • 메꽃: 메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멧ᄭᅩᆺ 《출전》 旋花 멧ᄭᅩᆺ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메꽃(샘)
  • 메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모밇, 모밀 《참조》 메밀(샘)
  • 모밀: → 메밀. *《옛》 모밇, 모밀 《참조》 메밀(샘)
  • 모시: 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피륙.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모시 《출전》 【大丹瘡擣紵麻根모싯 불휘와 사ᇝ 불휘傅之】 큰 단독이어든 모싯 불휘와 사ᇝ 불휘와ᄅᆞᆯ 디허 브티라 - 구급간이방(3)(1489), 苧根 모싯 불휘 - 동의보감(1613)
  • 몰목: 상사화의 전남방언
  • 무: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무ᅀᅮ, 무우 《참조》 무(샘)
  • 물쑥: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믈ᄡᅮᆨ 《출전》 蔞 믈ᄡᅮᆨ 루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물쑥(샘)
  • 물푸레: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므프레, 무프레, 무푸레, 무풀에 《출전》 梤 므프레 ᄌᆞᆷ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물푸레(샘)
  •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무프레나모, 무푸레나무 《출전》 白蠟 무프레나못 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물푸레나무(샘)
  • 미나리: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미나리 《출전》 芹 미나리 - 시경언해(14)(1613) 《참고》 미나리(샘)
  • 밀: 볏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밇, 밀 《참조》 밀(샘)
  • 바꽃: 미나리아재빗과의 바꽃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바곳 《출전》 菫 바곳 - 시경언해(16)(1613) 《참조》 바꽃(샘)
  • 박: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박열매. *《옛》 박.
  • 밤: 밤나무의 열매. *《옛》 밤 《출전》 栗 밤 - 시경언해(3)(1613)
  • 밤나무: 참나뭇과의 약밤나무, 모밀잣밤나무, 산밤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밤나모, 밤나무 《참조》 밤나무(샘)
  • 배: 배나무의 열매. *《옛》 ᄇᆡ 《출전》 ᄇᆡᆺ곶為梨花 - 훈민정음 해례본(1446), 梨 ᄇᆡ 리 - 훈몽자회(상)(1527) 《참조》 배(샘)
  • 배꽃: 배나무의 꽃. *《옛》 ᄇᆡᆺ곶, ᄇᆡᄭᅩᆺㅊ 《출전》 ᄇᆡᆺ곶為梨花 - 훈민정음 해례본(종성해)(1446) 《참조》 배꽃(샘)
  • 배나드리: ‘나루’의 방언(경기, 경북). *《옛》 ᄇᆡ나드리 《출전》 渡 ᄇᆡ나드리 - 광재물보(1800?)
  • 배나무: 장미과 배나무속의 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ᄇᆡ나ᇚ, ᄇᆡ나모, ᄇᆡ나무 《참조》 배나무(샘)
  • 버드나무: 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버드나모, 버드나ᇚ, 버들나모, 버드나무 《참조》 버드나무(샘)
  • 버들: 버드나뭇과 버드나무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버들 《출전》 버들為柳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버들개야지: 버들개지. *《옛》 버듨가야지, 버듨개야지, 버들가야지, 버들개야지, 버들개아지 《참조》 버들개지(샘)
  • 버들개지: 버드나무의 꽃. *《옛》 버듨가야지, 버듨개야지, 버들가야지, 버들개야지, 버들개아지, 버들개지 《출전》 버들-개:지 名 버드나무의 꽃. - 수정증보조선어사전(1940) 《참조》 버들개지(샘)
  • 버찌: 벚나무의 열매. 체리.
  • 벚: ‘버찌’의 준말. *《옛》 《출전》 山桃 벗 或云烏櫻桃 - 역어유해(상)(1690)
  • 벚꽃: 벚나무의 꽃.
  • 벚나무: 장미과의 가는잎벚나무, 개벚나무, 잔털벚나무, 털벚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벼: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벼 《출전》 벼為稻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벼꽃: 벼에 피는 꽃. *《옛》 볏곶
  • 보리: 볏과의 두해살이풀. *《옛》 보리 《출전》 大麥 보리 - 동문유해(1748) 《참조》 보리(샘)
  • 봇: 자작나무의 껍질. *《옛》 봇
  • 봇나무: 자작나무의 북한어. *《옛》 봇나모 《출전》 樺皮木 봇나모 - 역어유해(하)(1690)
  • : 자작나무. *《옛》 《출전》 【樺皮剉濃煮汁飮】 보ᄎᆞᆯ 싸ᄒᆞ라 딛게 달혀 머기라 - 언해두창집요(상)(1608)
  • 부들: 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부들 《출전》 【敗蒲席一握細剉】 헌 부들 지즑 ᄒᆞᆫ 우후믈 ᄀᆞᄂᆞ리 사ᄒᆞ라 - 구급방언해(상)(1466), 蒲 부들 - 시경언해(7)(1613)
  • 부루: ‘상추’의 방언(강원, 경기, 경북, 제주, 충청). *《옛》 부루 《출전》 萵苣 부루 - 사성통해(1517), 萵 부루 와 苣 부루 거 - 훈몽자회(상)(1527)
  • 비름: 비름과의 개비름, 색비름, 털비름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비름 《출전》 【獨野莧靑靑】 ᄒᆞ올로 ᄆᆡ햇 비르미 퍼러 나니 - 두시언해 초간본(16)(1481), 莧菜 비름 - 역어유해(하)(1690)
  • 뽕: *《옛》 ᄲᅩᆼ 《출전》 桑 ᄲᅩᆼ - 시경언해(3)(1613)
  • 뽕나무: 뽕나뭇과 뽕나무속의 낙엽 교목. *《옛》 ᄲᅩᇰ나모, ᄲᅩᇰ나무, ᄲᅩᇰ남오, ᄲᅩᇰᄂᆞ모 《출전》 桑 ᄲᅩᇰ나무 - 시경언해(4)(1613) 《참조》 뽕나무(샘)
  • 살사리: 코스모스
  • 삼: 거칠고 긴 마섬유가 채취되는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삼 《출전》 麻 삼 마 - 훈몽자회(상)(1527)
  • 새박: 박과의 한해살이풀. *《옛》 새박 《출전》 芄 새박 환 - 훈몽자회(1527), 芄蘭 새박 - 시경언해(3)(1613)
  • 새삼: 메꽃과의 한해살이 기생 식물. *《옛》 새ᅀᅡᆷ, 새삼, 새ᄉᆞᆷ, ᄉᆡ삼 《출전》 唐 새삼 - 시경언해(3)(1613) 《참조》 새삼(샘)
  • 소나무: *《옛》 소나모
  • 솔: 소나뭇과의 모든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솔 《출전》 【種種앳 松直ᄒᆞ며 棘曲ᄒᆞ며】 現前ᄒᆞᆫ 種種앳 소ᄅᆞᆫ 고ᄃᆞ며 가ᄉᆡᄂᆞᆫ 구브며 - 능엄경언해(5)(1461), 【松風이 吹ᄒᆞ니】 소랫 ᄇᆞᄅᆞ미 부니 - 남명집언해(상)(1482), 松 솔 - 시경언해(3)(1613)
  • 수박: 수박열매. 한자어가 아니다.
  • 수세: 수세미외. *《옛》 수세 《출전》 苴 수세 져 - 신증유합(하)(1576)
  • 수세미: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 수세미외: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 수세외: 수세미외. *《옛》 수세외
  • 수수꽃다리: 라일락
  • 시무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스믜나무 《출전》 樞 스믜나무 - 시경언해(6)(1613)
  • : *《옛》 싣 《출전》 싣為楓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신나무: 단풍나무. *《옛》 싣나모, 신나무 《출전》 楓 신나무 풍 - 속수한문훈몽(1922)
  • 심: 삼(蔘)
  • 쑥: 국화과에 속하는 쑥, 산쑥, 덤불쑥, 참쑥, 물쑥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ᄡᅮᆨ 《출전》 艾 ᄡᅮᆨ - 시경언해(4)(1613)
  • 쑥갓: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옛》 ᄡᅮᆨ갓
  • 아가위: 산사자. 산사나무의 열매. *《옛》 아가외 《출전》 山楂子 아가외 - 동의보감 탕액편(1613), 杜 아가외 - 시경언해(6)(1613)
  • 아까시: 회화나무
  • 아욱: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옛》 아혹, 아옥, 아욱 《출전》 葵 아옥 규 - 훈몽자회(상)(1527), 아욱 薁菜 - 국한회어(1895) 《참조》 아욱(샘)
  • 암눈비앗: 꿀풀과의 두해살이풀. *《옛》 암눈비앚, 암눈비얏 《출전》 茺蔚子 암눈비얏 ᄡᅵ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암크령: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 애기풀: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아기플, 아기풀 《출전》 遠志 아기플 불휘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애기풀(샘)
  • 어어리나무: 개나리. *《옛》 어어리나모 《출전》 連翹 어어리나모 여름 - 동의보감 탕액편(1613)
  • 어저귀: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옛》 어저귀 《출전》 檾 어저귀 겨ᇰ - 훈몽자회(상)(1527) 《참조》 어저귀(샘)
  • 엉겅퀴
  • 여뀌: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엿괴 《출전》 蓼 엿괴 - 시경언해(19)(1613) 《참조》 여뀌(샘)
  • 여우오줌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여ᇫ의오좀플 《어원》 여ᅀᆞ+-의+오좀+플 《출전》 【蟲心痛 鶴蝨여ᇫ의오좀플一兩爲末以溫酢一盞和空腹服之蟲當吐出】 벌엣 긔운으로 가ᄉᆞᆷ 알ᄑᆞ거든 여ᇫ의오좀플 ᄒᆞᆫ 랴ᇰ을 ᄀᆞ라 다ᄉᆞᆫ 초 ᄒᆞᆫ 되예 프러 고ᇰ심에 머그면 벌에 토ᄒᆞ야 나리라 - 구급간이방(2)(1489)
  • : ‘삼’의 방언(경상). *《옛》
  • 오얏: → 자두. *《옛》 오얏, 오얒, 외앗 《출전》 李 외앗 - 시경언해(4)(1613)
  • 오얏나무: → 자두나무. *《옛》 오얏나모
  • 옻: 옻나무에서 나는 진. *《옛》 옷 《출전》 漆 옷 - 시경언해(3)(1613)
  • 옻나무: 옻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옷나모, 옷나무 《출전》 漆 옷나무 - 시경언해(6)(1613)
  • 외: ‘오이’의 준말. *《옛》 외 《출전》 【生苽少許和油食之】 ᄂᆞᆯ외ᄅᆞᆯ 져기 기르메 섯거 머그라 - 구급방언해(하)(1466), 瓜 외 과 - 역대천자문(1911)
  • 으름1: 으름덩굴의 열매. *《옛》 으흐름
  • 으름2: 으름덩굴. *《옛》 으흐름
  • 으름너출: 으름덩굴. *《옛》 이흐름너출
  • 이스라지: 장미과의 관목.
  • 이스랏나무: 진달랫과의 낙엽 활엽 관목.
  • 이스랒: 앵두. *《옛》 이스랒 《출전》 【炎方每續朱櫻獻 玉座應悲白露團】 더운 ᄯᅡ해셔 ᄆᆡ야ᇰ 이스라ᄌᆞᆯ 니ᅀᅥ 進獻ᄒᆞ더니 玉座애셔 다ᇰ다ᇰ이 ᄒᆡᆫ 이스ᄅᆡ 도려오ᄆᆞᆯ 슬흐시니라 - 두시언해 초간본(15)(1481)
  • 1: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니ᅀᅵ
  • 2: 이끼. *《옛》 《출전》 【階面靑苔先自生】 이 階砌 面엣 프른 이슨 ᄇᆞᆯ셔 절로 냇도다 - 두시언해 초간본(6)(1481)
  • 잇꽃: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옛》 니ᅀᅵᆺ곳, 닛곳 《출전》 紅花 닛곳 - 방언유석(1778)
  • 잔디: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옛》 젼ᄠᅬ, 쟘ᄠᅱ, 쟌ᄠᅱ, 쟘ᄯᅱ, 잔듸, 잔디 《참조》 잔디(샘)
  • 잣: 잣나무의 열매. *《옛》 잣 《출전》 잣為海松 - 훈민정음 해례본(1446)
  • 잣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옛》 잣나모, 잣나무 《참조》 잣나무(샘)
  • 전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젓나무.
  • : 전나무. 젓나무. *《옛》 젓 《출전》 檜 젓 - 시경언해(3)(1613)
  • 젓나무: 소나뭇과의 상록 교목. *《옛》 젓나모
  • 조: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 조팝나무: 장미과의 갈기조팝나무, 둥근잎조팝나무, 인가목조팝나무, 참조팝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옛》 조팝나모
  • 쪽: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 ᄶᅩᆨ, ᄶᅭᆨ, 쪽 《출전》 藍 족 남 - 광주천자문(1575), 藍 족 - 시경언해(15)(1613) 《참조》 쪽(샘)
  • 찔레: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옛》 딜위, 질늬 《출전》 營實 딜위 여ᄅᆞᆷ - 동의보감 탕액편(1613) 《참조》 찔레(샘)
  • 찔레나무: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 차조기: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옛》 ᄎᆞ소기, ᄎᆞ조기, ᄎᆞ죠기, ᄎᆞ죽이 《출전》 蘇 ᄎᆞ조기 - 시경언해(4)(1613) 《참조》 차조기(샘)
  • 참꽃: 진달래. 철쭉이 개꽃인 것과 대조를 이룬다.
  • 참나무: 참나뭇과의 낙엽 교목. *《옛》 ᄎᆞᆷ나모, ᄎᆞᆷ나무 《출전》 栲 ᄎᆞᆷ나무 - 시경언해(6)(1613)
  • 참제비고깔: 델피니움
  • 촉: 난초를 세는 단위.
  • 칡: 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 *《옛》 《출전》 葛 츩 - 시경언해(4)(1613)
  • 토끼풀
  • 퉁퉁마디
  • 팥: 콩과의 한해살이풀. *《옛》 ᄑᆞᇧ, ᄑᆞᆾ, ᄑᆞᆺ, ᄑᆞᆺㅊ, ᄑᆞᆺㅌ, 팟, 팟ㅊ 《참조》 팥(샘)
  • 팥꽃: 팥의 꽃. *《옛》 ᄑᆞᆺᄭᅩᆺ
  • 피: 볏과의 한해살이풀. *《옛》 피 《출전》 피為稷 - 훈민정음 해례본(용자례)(1446)
  • 피나무: 피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옛》 피나모 《출전》 椵 피나모 가 - 훈몽자회(상)(1527)
  • 하눌타리: 박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옛》 하ᄂᆞᆳᄃᆞ래, 하ᄂᆞ타리, 하ᄂᆞᆯ타리, 하ᄂᆞᆯᄐᆞ리, 하늘타리, 하날타리 《출전》 果臝 하ᄂᆞᆯ타리 - 시경언해(7)(1613) 《참조》 하눌타리(샘)
  • 하루살이꽃: 채송화
  • 함박꽃: 작약
  • 해바라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2:18:30에 나무위키 순우리말/목록/테마별/식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