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신기오로 윤스

덤프버전 :


청의 황자

[ 펼치기 · 접기 ]
더시쿠 · 러오단 · 소오창가 · 익황제 · 보올룽가 · 보오시
리둔 바투루 · 아르군 · 자이칸 · 선황제 · 타차 피양구
천명제 · 성의용장패륵 보올룽가 · 화석장친왕 · 통달군왕 야르하치 · 독의강과패륵 바야라
다라광락패륵 · 화석예열친왕 · 진국근민공 아배 · 삼등진국극결장군탕고대 · 이혁패륵 망고이태 · 화석요여민친왕 아파태 · 숭덕제(패륵) · 이혁패륵 덕격류 · 이혁진국장군 · 이혁영친왕 · 보국개직공 · 화석예충친왕 · 화석예통친왕 · 홍대자

화석숙무친왕 · 낙격 · 낙박회 · 보국공 엽포서 · 화석승택유친왕 석새 · 진국각후공 고새 · 보국공 상서 · 8황자 ·순치제(패자) · 보국공 도새 · 화석양소친왕 박목과이
승서 · 승호 · 승경 · 새음찰흔 · 고산패자 윤제 · 장화 · 화석이밀친왕 · 장생 · 만보 · 화석성은친왕 윤지 · 옹정제(화석옹친왕) · 화석항온친왕 윤기 · 윤조 · 화석순도친왕 윤우 · 화석염친왕 ·이혁패자 · 보국공 윤아 · 윤위 · 윤자 · 화석이의친왕 윤도 · 화석이현친왕 · 다라순근군왕 애신각라 윤제 · 윤기 · 다라유각군왕 윤우 · 화석장각친왕 · 화석과의친왕 윤례 · 윤개 · 윤직 · 다라간정패륵 윤의 · 다라신정군왕 윤희· 다라공근패륵 윤호 · 군왕품급성패륵 윤기 · 화석함각친왕 윤비 · 윤원
화석단친왕 홍휘 · 홍분 · 홍윤 · 홍시 · 건륭제(화석보친왕) · 화석화공친왕 · 복의 · 화석회친왕 복혜 · 복패 · 다라과공군왕 홍염 · 다라이각군왕 홍위 · 봉은보국공 홍환 · 보국공 영경

화석정안친왕· 단혜황태자 · 다라군왕 · 화석이단친왕 영성 · 화석영순친왕 · 화석질장친왕 · 화석철친왕 영종 · 화석의신친왕 · 영유 · 영모 · 화석성철친왕 영성 · 다라패륵 영기 · 영경 · 영로 · 가경제(화석가친왕) · 영선 · 화석경희친왕 영린

·다라은지군왕 혁위 · 다라혜질군왕 혁계 · 함풍제(황태자) · 화석돈근친왕· 화석공충친왕 · 화석순현친왕 · 다라종단군왕 혁합 · 다라부경군왕 혁혜

자녀 없음

역대 청 황제 · 역대 청 황태자 · 역대 청의 황녀
※ 기록이 있는 인물만 기재





愛新覺羅 允禩
애신각라 윤사


파일:애신각라 윤사.jpg

시호
화석염친왕(和碩廉親王)
별호
다라패륵(多羅貝勒) ⇒ 관작 삭제 ⇒ 다라패륵(多羅貝勒) ⇒ 화석염친왕(和碩廉親王) / 팔현왕(八賢王)
생몰년도
1681년 3월 29일 ~ 1726년 10월 5일(45세)
부친
청 성조 강희제
모친
양비 위씨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3.1. 부인
3.2. 자녀들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청나라 4대 황제 강희제의 서자이며, 5대 황제 옹정제의 이복동생이기도 하다. 강희제의 황9자 혁군왕 윤당과 함께 옹정제 즉위 후 가장 가혹하게 숙청당한 황자로 유명하다. 법명은 공명(空明)이며 비록 추탈당하긴 했지만 염친왕(廉親王)에 봉해졌다.

2. 생애[편집]


강희 20년 음력 2월 10일에 서비 위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생모인 위씨의 지위가 낮아 혜비 나라씨 슬하에서 자랐으며[1] 17세의 나이로 패륵에 책봉된다. 이는 작위를 받은 황자들 중에서 가장 어린 나이였다. 강희제 생전에 후계자 자리를 놓고 이복 형 옹정제와 대립하는 관계였다. 1722년에 옹정제가 즉위하자 불교 승려로 출가하였지만 뒤로는 이복동생인 혁군왕 윤당과 계속 내통하며 발호하였다. 결국 황실 법도로 징치되어 혁군왕과 나란히 사이좋게 작위를 추탈당해 서인으로 강등되었고, 자신은 만주어 아키나(阿其那)로 아들인 홍왕은 '보살보'로[2] 개명되는 수모를 겪는다.[3] 이후 윤당과 함께 종인부에 유폐되고 죄인 취급을 받으며 살다가, 윤당은 1726년 9월 22일에 훙서하였고 윤사도 같은 해 10월 5일에 훙서하였다.

3. 가족 관계[편집]



3.1. 부인[편집]


  • 적복진 곽락라씨(郭絡羅氏)[4]: 화석액부 명상(明尙)과 화석격격(和碩格格)의 딸 / 추탈[5]안화친왕 악락(岳樂 1625~1689)의 외손녀
윤사가 곽락라씨와 혼인할 무렵 생모 양비는 정식으로 후궁 봉작을 받지도 못했다. 한미한 궁녀 출신의 모친을 둔 윤사의 적복진이 만주족 최상류층 출신의 후궁들을 모친으로 둔 강희제의 다른 황자들이 맞이한 아내보다도 더 신분이 좋은 것이 상당한 의문이다.

  • 측복진 모씨(某氏 ?~?): 성씨 미상 / 옹정 연간에 졸함

  • 서복진 왕씨(王氏)

  • 첩 장씨(張氏): 장지벽(張之碧)의 딸

  • 첩 모씨(毛氏): 모이격(毛二格)의 딸

3.2. 자녀들[편집]


  • 1자 홍왕(弘旺 1708~1762): 첩 장씨 生 / 보살보(菩薩保)로 개명됨

  • 1녀 군군(郡君 1708~1775): 첩 모씨 生 / 손오복(孫五福)[6]에게 출가

4. 대중매체[편집]


파일:external/2.bp.blogspot.com/p1195822275.jpg

파일:궁쇄심옥8황자.jpg

파일:윤사.pn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4:35:04에 나무위키 아이신기오로 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청나라는 빈(嬪) 이상의 후궁들만 자녀를 직접 키울 수 있었다.[2] '보살의 자비'라는 뜻으로 보살같은 황제인 옹정제가 자비를 베풀어, 자신의 아들만은 살려주기를 바라는 윤사의 뜻이었다고 한다.[3] 아기나의 뜻에 대해선 현재에도 해석이 분분하다. 개새끼라는 해석이 많지만 개는 만주어로 인다훈이고, 만주족은 개를 매우 사랑하고 신성시하는 종족이어서 멸칭의 의미로 썼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도마 위의 물고기라는 해석이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4] 중드 보보경심의 등장인물인 곽락라 명혜의 실제 모티브다.[5] 윤사의 처외조부라는 이유만으로 옹정제에 의해 공적과 작위를 사후 추탈당했고 후손 또한 서인으로 전락했다.[6] 강희제의 14녀 화석각정공주와 화석부마 손승운의 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