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외래어 표기법



1. 개요
2. 규정
2.1.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2.2. 표기 세칙
3. 문제점
3.1. dj, tj에 대한 규정
3.2. 무성 자음 앞 k·p 표기 문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정한 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등)를 표기하는 방법.

1992년에 문화부고시 제1991-31호 '동구권 5개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이라는 이름으로 체코어, 폴란드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와 함께 공표되었다.


2. 규정[편집]



2.1.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편집]


규정에는 로마자 자모만 제시되어 있으며, 키릴 문자 자모는 편의를 위해 추가하였다.


로마자 자모
키릴 문자 자모
한글
보기
모음 앞
자음 앞ㆍ어말
자음
b
б


bog 보그, drobnjak 드로브냐크, pogreb 포그레브
c
ц


cigara 치가라, novac 노바츠
č
ч


čelik 첼리크, točka 토치카, kolač 콜라치
ć, tj
ћ


naći 나치, sestrić 세스트리치
d
д


desno 데스노, drvo 드르보, medved 메드베드

џ


džep 제프, narudžba 나루지바
đ, dj
ђ


Đurađ 주라지
f
ф


fasada 파사다, kifla 키플라, šaraf 샤라프
g
г


gost 고스트, dugme 두그메, krug 크루그
h
х


hitan 히탄, šah 샤흐
k
к

ㄱ, 크
korist 코리스트, krug 크루그, jastuk 야스투크
l
л
ㄹ, ㄹㄹ

levo 레보, balkon 발콘, šal 샬
lj
љ
리*, ㄹ리*

ljeto 레토, pasulj 파술
m
м

ㅁ, 므
malo 말로, mnogo 므노고, osam 오삼
n
н


nos 노스, banka 반카, loman 로만
nj
њ
니*

Njegoš 네고시, svibanj 스비반
p
п

ㅂ, 프
peta 페타, opština 옵슈티나, lep 레프
r
р


riba 리바, torba 토르바, mir 미르
s
с


sedam 세담, posle 포슬레, glas 글라스
š
ш
시*
슈, 시
šal 샬, vlasništvo 블라스니슈트보, broš 브로시
t
т


telo 텔로, ostrvo 오스트르보, put 푸트
v
в


vatra 바트라, olovka 올로브카, proliv 프롤리브
z
з


zavoj 자보이, pozno 포즈노, obraz 오브라즈
ž
ж


žena 제나, izložba 이즐로주바, muž 무주
반모음
j
ј
이*

pojas 포야스, zavoj 자보이, odjelo 오델로
모음
a
а


bakar 바카르
e
е


cev 체브
i
и


dim 딤
o
o


molim 몰림
u
у


zubar 주바르
  • lj, nj, š, j의 '리, 니, 시, 이'는 뒤따르는 모음과 결합할 때 합쳐서 1음절로 적는다.


2.2. 표기 세칙[편집]


  • 제1항: k, p
k, p는 어말과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으'를 붙여 적고, 무성 자음 앞에서는 받침으로 적는다.
jastuk 야스투크 opština 옵슈티나
  • 제2항: l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kula 쿨라
  • 제3항: m
어두의 m이 l, r, n 앞에 오거나 어중의 m이 r 앞에 올 때에는 '으'를 붙여 적는다.
mlad 믈라드 mnogo 므노고 smrt 스므르트
  • 제4항: š
š는 자음 앞에서는 '슈', 어말에서는 '시'로 적는다.
šljivovica 슐리보비차 Niš 니시
  • 제5항: 자음에 '예'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예' 대신에 '에'로 적는다. 다만, 자음이 'ㅅ'인 경우에는 '셰'로 적는다.
bjedro 베드로 sjedlo 셰들로


3. 문제점[편집]



3.1. dj, tj에 대한 규정[편집]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에서는 dj를 đ, tj를 ć와 같이 묶어서 표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세르보크로아트어 로마자에서 dj와 tj는 각각 đ와 ć의 대용 표기일 뿐만 아니라 tjedan이나 djedovina처럼 단순히 /d/와 /j/, /t/와 /j/의 조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두 경우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각각 đ, ć의 대용 표기로만 보고 있다. 또한 입력의 용이함을 이유로 đ를 dj로 옮기는 경우는 많으나, ć를 tj로 옮기는 경우는 listje – lisće – lišće, radostju – radosću – radošću와 같은 음운 변동을 나타낼 때에 주로 한정되므로 대용 표기라고 하더라도 그 쓰임새가 다르다.

이러한 규정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면 크로아티아어 인명인 Nedjeljko [nědjeːʎko]·Stjepan [stjêpaːn]을 구개음화되지 않은 형태의 네델코·스테판이 아닌 구개음화된 형태의 네젤코·스체판과 같이 적게 된다. 그러나 국제음성기호의 발음 표기를 참고하여 다른 세르보크로아트어 규정을 준용한다면 네델코·스테판이 더 타당한 표기라고 할 수 있다(표기세칙 제5항 참고). 유사점이 많은 슬로베니아어권 인명인 Sebastjan Cimirotič, Matjaž Kek를 세바스티안 치미로티치, 마티아시 케크로 적는 것을 참고할 수 있다(후자의 경우 마티아즈나 마탸즈의 관용 표기 존재).[1] dj와 tj에 대한 규정은 đ와 ć의 대용 표기일 때, /d/ + /j/ 및 /t/ + /j/일 때의 규정을 따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 내에서도 예시로 제시된 odjelo는 '오젤로'가 아닌 '오델로'로 표기를 제시하고 있어 서로 상충된다.


3.2. 무성 자음 앞 k·p 표기 문제[편집]


표기 세칙 1항과 관련된 표기 용례 가운데 지명인 스릅스카(Српска / Srpska)가 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폴란드어 표기 용례인 시에르프츠(Sierpc)를 보면 받침 표기에 있어서 불필요한 구분점을 두었음을 알 수 있다.

[1] 슬로베니아어는 별도의 외래어 표기법이 존재하지 않아 Mitja Gasparini와 같이 미차 가스파리니로 굳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8:31:49에 나무위키 외래어 표기법/세르보크로아트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