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산악여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산악전 전문부대 일반에 대한 내용은 산악부대 문서
산악부대번 문단을
산악부대# 부분을
, 상징명칭이 산악인 부대에 대한 내용은 제3군단 문서
제3군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제3군단#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1산악여단
第一山岳旅團
The 1st Mountain Brigade
파일:제1산악여단마크.png

창설일
2021년 12월 1일
상징명칭
태백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3군단
규모
여단
역할
산악지역 특수전 수행
여단장
대령 이해수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1. 개요
2. 복무환경
3. 훈련
4. 편제
4.1. 여단 직할대
4.2. 제1산악대대
4.3. 제2산악대대
4.4. 제3산악대대
5. 출신 인물
6. 부대 영상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산악특수임무부대. 제3군단 소속이다.

국방개혁 2.0에 따라 2021년 12월 1일 창설되었다. 2021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베일에 싸여있던 부대기 수여식이 열렸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23년 5월 1일 8군단이 해체함으로써 이에 따라 3군단에 흡수되었다.

8특공대대, 23사단 수색대대와 1개 보병대대가 개편되었다. 주요 임무는 기습 침투 및 국지도발을 수행하는 북한 특수전부대를 차단 및 격멸하는 것이다. 산악지형에서의 원활한 작전임무 수행을 위해 기동사격, 저격, 수색, 정찰, 침투, 매복, 기습, 정보수집 등의 다양한 훈련도 진행한다. 2021년부터 특전사와 일반 보병부대의 부사관을 대상으로 지원자를 받았고 특임보병으로의 병과전환을 진행했다.

창설되기 전 일각에서는 제23보병사단이 해안경계를 전담하는 제23경비여단으로 감편되면서 생긴 내륙 지역의 공백을 메꿀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창설 후 산악여단의 임무는 명백히 동부전선(동부 산악지형)으로 침투하는 적 기습 침투 및 국지도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1]

2. 복무환경[편집]


국방부 지침으로 여름에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오후 체력단련을 생략할 때도 많았는데 오히려 이 온도보다 아슬하게 아래로 내려가면 날씨는 더운데다가 체력단련은 체력단련대로 실시해야 돼서 정말 끔찍한 상황이 되기도 한다.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각종 강도 높은 훈련을 해낼 수 있기에 체력적인 부분을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크다. 실제로 약 2~3시간 체력 단련 시간을 매일 갖는다. 구보는 보통 매일 10km 정도로 뛰고 다 뛰고나면 타이어 끌기, 턱걸이, 외줄 오르기와 같은 순환식 체력단련도 하고 이후 근력운동, 서킷 트레이닝, 전장순환 운동과 같은 체력단련을 실시한다. 이렇게 계속 하다보면 어느 시점에서부터 본인 스스로 체력적으로 많이 성장하는 느낌을 받는다. 새로 전입 온 신병들은 3개월이면 특급 수준의 기초체력을 갖게 되는 진귀한 경험을 할 수 있다.

특수임무부대인지라 각종 개인장구와 총기 악세사리 등의 최신 장비들이 최전방 수준 이상으로 우선 지급된다. K2C1 소총을 쓰는 것은 물론 모든 총기에 레일이 있어 손잡이와 광학장비를 달 수 있다. 2021년 후반부로 용사들도 간부와 같이 워리어 플랫폼을 지급 받아서 장착 밎 운용 중이다

708특공대(불사조특공대)가 배속되어 산악여단의 특임대형태로 운영되고 특공대라 대대구성이 본부중대와 지역대로 되어 있고 각 지역대에서는 팀과 저격반, 박격포반을 운용하고 있다.

3. 훈련[편집]



4. 편제[편집]



4.1. 여단 직할대[편집]



4.2. 제1산악대대[편집]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에 위치. 구)제8특공대대

4.3. 제2산악대대[편집]


강원특별자치도도 삼척시에 위치 구)제23보병사단 수색대대

4.4. 제3산악대대[편집]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에 위치 구)제57보병여단 3대대

5. 출신 인물[편집]



5.1. 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1산악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최종범
대령
육사 54기



6. 부대 영상[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15:01에 나무위키 제1산악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뜩이나 험준한 지형이라서 기존의 3각편제로 운영했을 때도 즉각적인 조치가 힘들었는데, 국방개혁 이후 군단 예하 보병사단의 3각편제가 깨지고 예하 여단의 작전범위가 더 넓어지면서 국지도발이 발생하면 초동초치가 그만큼 더 힘들다. 그렇기에 험준한 지형일수록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이동수단 및 공중수송 전력이 매우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