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비례대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 개요[편집]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개표 결과. 제26회 참의원 선거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총 선출 의석은 50석이다.

아래 자료는 일본 총무성의 발표자료를 통해 작성되었습니다.[1] 득표수가 소수점인 경우 소수점은 버렸습니다.

2. 선거 방식[편집]


  • 일본 참의원 선거의 비례대표는 일본 전국을 하나의 선거구로 한다.
  • 투표는 지역구와 병립하여 1인2표제로 진행하며, 두번째 투표용지에 개별 비례대표 후보자의 이름 또는 정당명을 기재하는 방식으로 투표를 할 수 있다. 개별 후보자에게 투표한 경우 그 후보자에게 득표가 산입되며, 정당에 투표한 경우 그 정당의 표로 산입된다.
  • 각 정당의 득표수와 그 정당의 비례대표 후보자의 총 득표를 합한 정당 전체의 비례대표 총 득표수를 동트 방식으로 계산하여 각 정당이 배정받을 의석수를 정하고 각 정당의 비례대표 후보자의 득표 순위에 따라 순서대로 당선된다.
  • 단, 각 정당은 특정 비례대표 후보자를 우선적으로 당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그 후보자는 정당이 지정한 순위에 따라 우선적으로 당선된다.


3. 정당별 결과[편집]



3.1. 자유민주당[편집]


자유민주당
득표
18,256,245표 (34.43%, 18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후지이 가즈히로1번-당선
2가지하라 다이스케2번-당선
3아카마츠 켄-528,053표당선
4하세가와 히데하루-414,371표당선
5아오야마 시게하루-373,786표당선
6가타야마 사쓰키-298,091표당선
7아다치 도시유키-247,755표당선
8지미 하나코-213,369표당선
9후지키 신야-187,740표당선
10야마다 히로시-175,871표당선
11도모노우 리오-174,335표당선
12야마타니 에리코-172,640표당선
13이노우에 요시유키-165,062표당선
14신도 가네히코-150,759표당선
15이마이 에리코-148,630표당선
16아다치 마사시-138,994표당선
17가미야 마사유키-127,188표당선
18오치 도시유키-118,710표당선
19오가와 가쓰미-118,222표낙선
20기무라 요시오-113,873표낙선
21우토 다카시-101,840표낙선
22소노다 슈코-93,380표낙선
23미즈오치 도시에이-82,920표낙선
24후지스에 겐조-74,972표낙선
25이와키 미쓰히데-63,714표낙선
26가와무라 겐이치[2]-59,007표낙선
27요시오카 신타로-55,804표낙선
28에리 아르피야-54,646표낙선
29아다치 모토유키-24,576표낙선
30무코야마 준-20,638표낙선
31아리사토 마호-18,561표낙선
32다카하라 아키코-17,542표낙선
33엔도 나오코-7,762표낙선
정당명 득표수13,713,427표

3.2. 일본 유신회[편집]


일본 유신회
득표
7,845,995표 (14.80%, 8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이시이 아키라-123,279표당선
2이시이 미쓰코-74,118표당선
3마쓰노 아케미-55,608표당선
4나카조 기요시-47,420표당선
5이노세 나오키-44,211표당선
6가네코 미치히토-36,944표당선
7구시다 세이치-35,842표당선
8아오시마 겐타-33,553표당선
9우에노 호타루-29,095표낙선
10가미타니 유리-27,215표낙선
11고토 히토시-24,874표낙선
12모리구치 아유미-23,664표낙선
13기시구치 미노루-22,399표낙선
14마쓰우라 다이고-20,222표낙선
15이이다 사토시-17,408표낙선
16이노우에 가즈노리-18,370표낙선
17야마구치 가즈유키-18,164표낙선
18이시다 다카시-17,408표낙선
19나시카와 야스오-16,722표낙선
20나카가와 겐이치-14,986표낙선
21미즈노우에 나루아키-11,701표낙선
22기우치 다카다네-11,313표낙선
23고바야시 사토루-9,370표낙선
24사이고 류타로-8,637표낙선
25핫타 모리시게-8,346표낙선
26나카무라 유키-6,143표낙선
정당명 득표수7,086,854표

3.3. 입헌민주당[편집]


입헌민주당
득표
6,771,945표 (12.77%, 7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쓰지모토 기요미-428,859표당선
2오니키 마코토-171,619표당선
3고가 치카게-144,344표당선
4시바 신이치-127,382표당선
5무라타 교코-125,340표당선
6아오키 아이-123,742표당선
7이시바시 미치히로-111,703표당선
8하쿠 신쿤-84,242표낙선
9이시카와 마사토시-48,702표낙선
10아리타 요시후-46,715표낙선
11호리코시 게닌-39,631표낙선
12구리시타 젠코-39,555표낙선
13하타 도모코-18,208표낙선
14가나메 유키코-17,529표낙선
15모리나가 미키-10,055표낙선
16가와노 아사미-7,941표낙선
17사와무라 게이코-7,602표낙선
18기무라 마사히로-7,101표낙선
19다나카 쇼이치-4,503표낙선
20스가하라 미카-2,773표낙선
정당명 득표수5,204,394표

3.4. 공명당[편집]


공명당
득표
6,181,431표 (11.66%, 6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다케우치 신지-437,228표당선
2요코야마 신이치-415,178표당선
3다니아이 마사아키-351,413표당선
4구보타 데쓰야-349,359표당선
5구마노 세이시-269,048표사퇴
6우에다 이사무-268,403표당선
7미야자키 마사루-9,695표당선[3]
8나카키타 교코-9,640표낙선
9미즈시마 하루카-9,058표낙선
10가와이 아야-5,417표낙선
11나카시마 겐지-2,786표낙선
12시오노 마사타카-1,717표낙선
13후카자와 아쓰시-1,212표낙선
14이오치 고이치-797표낙선
15나라 나오키-738표낙선
16요도야 노부오-730표낙선
17미쓰노부 야스하루-426표낙선
정당명 득표수4,048,585표

3.5. 일본 공산당[편집]


일본 공산당
득표
3,618,342표 (6.32%, 3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다무라 도모코-112,132표당선
2니히 소헤이-36,098표당선
3이와부치 도모-35,392표당선
4다이몬 미키시-31,570표낙선
5다케다 료스케-23,370표낙선
6야마모토 노리코-11,736표낙선
7고야마 사키-6,618표낙선
8이마무라 아유미-5,768표낙선
9가타야마 가즈코-4,646표낙선
10사사키 도시코-4,635표낙선
11요시다 쿄코-4,174표낙선
12니시다 사에코-3,674표낙선
13마루모토 유미코-2,654표낙선
14와타나베 기요코-2,199표낙선
15우에자토 기요미-2,141표낙선
16하나키 노리아키-1,488표낙선
17가타오카 로-1,453표낙선
18다카하시 마키코-1,416표낙선
19아카다 가쓰노리-1,258표낙선
20도미타 나오키-1,164표낙선
21니시자와 히로시-968표낙선
22호소노 마리-872표낙선
23호리카와 아키코-736표낙선
24후카다 히데미-583표낙선
25기타 도키코-495표낙선
정당명 득표수3,321,097표

3.6. 국민민주당[편집]


국민민주당
득표
3,159,625표 (5.96%, 3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가와이 다카노리-238,956표당선
2다케즈메 히토시-234,744표당선
3하마구치 마코토-211,783표당선
4야타 와카코-159,929표낙선
5야마시타 요코-22,311표낙선
6우에마쓰 마사카즈-20,790표낙선
7다루이 요시카즈-16,373표낙선
8기도 가오리-16,078표낙선
9가와베 요시로-3,822표낙선
정당명 득표수2,234,837표

3.7. 레이와 신센구미[편집]


레이와 신센구미
득표
2,319,156표 (4.37%, 2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덴바타 다이스케1번-당선
2스이도바시 하카세-117,779표사퇴[4]
3오시마 구스오-28,120표당선
4하세가와 우이코-21,827표낙선
5츠지 메구무-18,393표낙선
6하스이케 토루-17,681표낙선
7요다 카렌-14,837표낙선
8다카이 다카시-13,330표낙선
9기무 테욘-13,041표낙선[5]
정당명 득표수2,074,146표

3.8. 참정당[편집]


참정당
득표
1,768,385표 (3.33%, 1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가미야 소헤이-159,433표당선
2다케다 구니히코-128,257표낙선
3마쓰다 마나부-73,672표낙선
4요시노 도시아키-25,463표낙선
5아카오 유미-11,344표낙선
정당명 득표수1,370,215표

3.9. 사회민주당[편집]


사회민주당
득표
1,258,501표 (2.37%, 1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후쿠시마 미즈호-216,984표당선
2미야기 이치로-22,309표낙선
3오카자키 사이코-17,466표낙선
4야마구치 와카코-13,791표낙선
5오쓰바키 유코-10,390표낙선
6아키바 다다토시-6,623표낙선
7구보 고키-4,518표낙선
8무라타 슌이치-2,519표낙선
정당명 득표수963,899표

3.10. NHK당[편집]


NHK당
득표
1,253,872표 (2.36%, 1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히가시타니 요시카즈-287,714표당선
2야마모토 다로-53,351표낙선
3구로카와 아쓰히코-22,595표낙선
4사이토 겐이치로-22,429표낙선
5구보타 마나부-17,947표낙선
6니시무라 사토시-6,564표낙선
7소에다 신야-4,555표낙선
8다카하시 리요-2,905표낙선
9고우즈마 게이지-817표낙선
정당명 득표수834,995표

3.11. 우엉의당[편집]


우엉의 당
득표
193,724표 (0.37%, 0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오쿠노 다카시1번-낙선
2가와무라 다쿠지2번-낙선
3이마요시 요시야스3번-낙선
4이마니시 고타4번-낙선
5사키무라 미네노리5번-낙선
6슛토 마사히로6번-낙선
7다카사키 게이고7번-낙선
8사이토 가즈토시8번-낙선
9가모다 고지-4,131표낙선
10다치바나 에리코-3,130표낙선
11사토 레노-2,176표낙선
정당명 득표수184,285표

3.12. 행복실현당[편집]


행복실현당
득표
148,020표 (0.28%, 0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샤쿠 료코-18,358표낙선
정당명 득표수129,662표

3.13. 일본제일당[편집]


일본제일당
득표
109,045표 (0.21%, 0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사쿠라이 마코토-24,047표낙선
2나카무라 가즈히로-8,055표낙선
정당명 득표수76,912표

3.14. 신당 구니모리[편집]


신당 구니모리
득표
77,861표 (0.15%, 0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혼마 나나-13,563표낙선
2미와 가즈오-2,391표낙선
정당명 득표수61,907표

3.15. 유신정당·신풍[편집]


유신정당·신풍
득표
65,107표 (0.12%, 0석)
순위후보특정
여부
득표비고
1우오타니 데쓰오-8,158표낙선
정당명 득표수56,949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5:08에 나무위키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비례대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부 후보자나 정당의 득표에 있어 NHK나 기타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득표수와 총무성에서 제공하는 득표수가 차이가 있습니다.[2] 가와무라 다케오의 장남[3] 2022.10.06 당선. 구마노 세이시의 여성에게 성적괴롭힘으로 인한 범죄로 인한 사퇴로 인한 승계[4] 2023.01.16 컨디션 불량으로 인한 사퇴[5] 재일 한국인 출신 토요대학 교수 '김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