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조남철(정치인) 문서
조남철(정치인)번 문단을
조남철(정치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국수 조남철
大國手 趙南哲


파일:external/file.tygem.com/124947K-7.jpg

출생
1923년 11월 30일
전라북도 부안군
사망
2006년 7월 2일 (향년 82세)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입단
1941년
마지막 대국
1999년
단급
九단
칭호
대국수
1. 개요
2. 주요 약력
3. 생애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5. 일화들
5.1. 바둑 잘 두는 법
5.2. 바둑돌 부수기
5.3. 조훈현과의 만남
5.4. 저서와 별명
5.5. 조남철이 와도 안 돼
5.6. 이후락과의 지도대국



1. 개요[편집]


대한민국바둑기사. 호는 송원(松垣).
대한민국 바둑계의 개척자이자 최고 원로로 평가받는다. 조남철-김인-조훈현-이창호-이세돌-박정환-신진서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바둑계를 대표하는 계보의 시초이기도 하다.[1] 그를 대표하는 별칭은 '조국수'. 초창기부터 워낙 오랫동안 국내 바둑계의 정점을 차지하고 있었다 보니 아예 국수 칭호 자체가 조남철을 의미하는 것이나 다름없었기 때문. 이후 조국수 칭호는 세대교체를 통해 후배 바둑기사인 조훈현이 자연스레 물려받게 된다.


2. 주요 약력[편집]


1948년 제1회 전국위기선수권 우승 (이후 1955년 제5회까지 5연패)
1956년 제1기 국수 제1위전 우승 (이후 1964년 제9기까지 9연패)
1958년 제1기 왕좌전 우승
1959년 제1기 5강전 우승 (이후 1962년 제4기까지 4연패)
1960년 제1기 최고위전 우승 (이후 1967년 제7기까지 7연패)
1968년 제1기 명인전 우승
1969년 제3기 왕좌전 우승
1971년 제3기 명인전 우승
1973년 제1기 최강자전 우승
1983년 九단 승단 (특별승단)
1984년 한국기원 명예이사장
1989년 은관문화훈장[2]
1994년 제18기 국기전 최고령 본선진출(당시 나이 71세)
1997년 명지대학교 바둑지도학 교수
2000년 6월 1일 국가유공자 지정[3]
2006년 7월 2일 사망
2006년 7월 4일 금관문화훈장 추서
2006년 사후 대국수(大國手) 칭호 헌정
2019년 일본기원 제16회 바둑 명예의 전당(囲碁殿堂)에 헌액

3. 생애[편집]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에서 1923년 11월 30일 태어나 1937년 교동보통공립학교를 졸업했다.[4] 생년을 보면 알수있듯 일제강점기, 8.15 광복, 한국전쟁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질곡을 모두 겪었으며 이러한 사회적 급변에서도 바둑 외길을 걸어왔다. 한국전쟁 때는 피난보따리에 생필품이 아닌 기보를 챙겨 다녔다는 일화도 유명하다. 조국수가 없었다면 한국의 바둑이 지금과 같은 위상을 갖추기는 거의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파일:external/www.nongmin.com/20120318172515.jpg
조남철이 일본에서 유학하던 시절. 조남철(오른쪽 여성 대국자 뒤편의 소년)이 다른 원생들과 대국을 지켜보고 있다.

한성기원(現 한국기원) 설립자. 일본의 기타니 미노루 九단의 문하생 출신. 우리나라 세번째 九단. 참고로 우리나라 최초의 九단은 조훈현 九단이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승단은 과거 한중일 3국 중 가장 어렵다고 정평이 났었고 단의 권위 또한 가장 높았다.[5] 조훈현 九단이 최초의 九단이 된 것은, 조남철 九단이 八단으로 승단한 후(대략 1960년대 초중반) 승단 대회에 출전하지 않고 바둑 보급에 힘썼기 때문이다.[6] 그렇지 않고서야 당대 최강자가 八단에서 20여 년 동안 머무를 턱이 없었다.

조훈현 九단이 승단대회를 통해 九단 승단이 확실시되자 한국기원 일각에서는 이제라도 조남철 국수에게 특별승단을 통해 九단 승단을 했어야 한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었지만 이행되진 않았다. 1982년 조훈현이 九단에 오르고, 1983년 김인이 두번째로 九단에 오른 뒤, 그제서야 조남철도 특별 승단 형식으로 九단에 올랐다.[7]

조남철은 조치훈 九단과 같은 집안이며, 조치훈의 숙부이다. 참고로 이 집안은 프로기사를 여럿 배출했는데 조상연 七단, 최규병 九단, 이성재 九단, 최영찬 二단 등이 조남철 집안의 기사들이다. 관련기사

해방 당시까지 우리나라 바둑은 대부분 순장바둑[8]이었는데, 조남철 九단이 일본식 규칙을 강력하게 주장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물론 순장바둑에서도 최강자. 이것과 관련해 이승만과의 일화가 있다. 1954년 대만에서 열리는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준비를 했는데 당시 달러가 금보다 귀한 시절이라 환전을 하기 위해선 나라의 허락이 필요했다. 당시 자유당 서열 3위였던 장경근의 백으로 이승만 대통령 앞에서 조남철과 김봉선이 경무대 시범 대국을 했는데 첫판을 현대 바둑으로 두자 이승만 대통령이 "자네들은 왜 왜놈 바둑을 두나"하고 질책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조남철이 해명을 한 뒤 2국부터는 순장 바둑을 뒀다는 일화가 있다.

초대 국수위에 올라 국수위를 9연패하는 등 한국바둑의 초장기에는 그야말로 적수가 없던 최강자였다. 일본 유학을 다녀온 김인이 등장하며 최강자에서 물러났으며, 신인 서봉수에게 패하며 '서봉수가 3단만 되었어도...'라고 말했던 일화도 유명하다.

2006년 7월 2일 노환으로 임종했다. 향년 82세. 돌아가셨을 때 국가로부터 금관문화훈장과 한국기원/동아일보로부터 대국수(大國手) 칭호를 받았다. 대한민국의 유일무이한 대국수인 셈.

4.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편집]


김인 九단 38:69 1무
서봉수 九단 3:16
유창혁 九단 0:3
윤기현 九단 21:32 2무
조훈현 九단 4:15
하찬석 九단 6:12


5. 일화들[편집]


바둑에 관한 여러가지 일화가 있다.

5.1. 바둑 잘 두는 법[편집]


어느날, 어떤 기자가 "선생님, 바둑을 잘 두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물었더니, "바둑 잘 두는 방법? 그런 거 있으면 나 좀 가르쳐 주게"라고 되물었다고 한다.


5.2. 바둑돌 부수기[편집]


전성기시절에는 한참 수읽기를 하다가 "!"이라고 외치며 바둑돌을 바둑판에 소위 두드렸는데 심심치 않게 바둑돌이 부서졌다고 한다.


5.3. 조훈현과의 만남[편집]


한국기원이 아직 생기기 전에 명동에서 송원기원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조훈현과 그의 아버지인 조규상 씨가 방문했다. 목포에서 온 어린아이와 3시간 동안 바둑을 두어 이겼더니 그 꼬마가 우는 것을 보고 다시 한번 두었다고 한다.[9]

이렇게 두 판을 두고 조훈현의 기력을 강한 8급으로 인정해 주었다고.

여담으로 상대전적은 조남철 九단 기준으로 4승 15패이다.


5.4. 저서와 별명[편집]


국내 최초 바둑 입문서인 위기개론, 바둑첫걸음, 바둑에 살다 등 26권을 비롯하여 행마의 기초, 행마의 급소 등 이론서를 내놓았다. 일본어 일색이던 바둑용어를 단수, 빵때림, 끝내기 등 우리 말로 바꾼 것으로도 유명. 나중에 걸어다니는 바둑법전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5.5. 조남철이 와도 안 돼[편집]


1960년대부터 70년대까지 상황이 다 끝나서 도저히 역전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자조적으로 던지는 말로 쓰던 표현이다. 이후에 이것이 '조훈현이 와도 안 돼', '이창호가 와도 안 돼', '이세돌이 와도 안 돼', '알파고가 와도 안 돼'로 발전.

쉽게 말해서 바둑의 신이 와도 안 된다는 표현.


5.6. 이후락과의 지도대국[편집]


바둑 애호가였던 이후락은 조남철을 종종 불러 바둑을 두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이후락이 대국료를 주지 않기 시작했다. 조남철은 어느날 “낼 것은 내고 바둑을 배우라”고 따끔한 일침을 가했다. 조남철에 따르면 “무소불위의 권력자였던 그의 손이 부들부들 떨리는 것을 보고 속으로 ‘조금 심했나’ 싶었지만 어차피 엎지러진 물이라 그냥 있었다”고 한다. 훗날 이후락은 관철동 한국기원 회관 건설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으로 '대국료'를 대신하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26:04에 나무위키 조남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남철과 김인은 완벽한 독주체제였고, 조훈현에게는 서봉수라는 반발짝 뒤에서 쫓아오는 경쟁자가 있었다. 이창호 역시 유창혁이라는 경쟁자가 있었고 전성기가 지났음에도 노익장을 불태우는 스승 조훈현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었다. 이세돌은 1인자라 부르기에 부족함은 없었지만 최철한, 박영훈 등을 상대로 압도적 우위를 점하지는 못했다. 이는 한국바둑의 저변이 활성화되고 발전하면서 선수층 역시도 두터워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다.[2] 당시 조훈현 九단이 예상을 뒤엎고 1회 응씨배에서 우승하면서 대대적인 바둑열풍이 일어나자 정부에서 조훈현 九단에게 은관문화훈장을 주려고 했는데 조훈현 九단이 대한민국 바둑의 개척자인 조남철 九단이 먼저 받아야 한다는 의견을 강하게 어필했고 결국 두 사람이 같이 받게 되었다.[3] 6.25 전쟁 참전 중 부상[4] 고향의 전북 줄포국민학교를 다녔다는 기사도 있다.[5] 일반대국이 아닌 승단대국에서는 프로끼리 단에 따라서 돌을 접어두고 대국을 했고 신문기전의 1차예선은 저단자들끼리두고 고단자들은 2차예선부터 출전하였다.[6] 다른 프로기사들과 단수 차이가 너무 많이 난 것에 부담을 느낀 것도 있다.[7] 참고로, 이 두 분의 조국수 이전에 이승만 재임시절 그에 대한 아첨으로, 이승만이 九단을 받은 흑역사가 있긴 하다. 1950년대 중반 대만과의 교류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승만이 배려해 준 적이 있는데, 그에 대한 보답 차원에서 나온 일이다. 자유당 3인자였던 장경근이 바둑광이라 한국기원 이사장을 지내기도 했는데 이 연줄로 이루어진 일.[8] 17수까지 고정된 포석을 두고 시작하는 전통 바둑. 현재는 사장되었다.[9] 별일 아닌 것 같지만, 당시부터 조국수로 불리던 한국 바둑계의 거성이 어린이와 바둑을 3시간이나 둔 것도 모자라 한 번 더 두는건 놀라운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