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환공(통일왕조)

덤프버전 : r20210301

진(秦) 군주
[ 펼치기 · 접기 ]
>
---초대 국군
비자진후공백진중
제1대 국군제2대 국군제3대 국군제4대 국군
장공양공문공헌공
제5대 국군제6대 국군제7대 국군제8대 국군
출자무공덕공선공
제9대 국군제10대 국군제11대 국군제12대 국군
성공목공강공공공
제13대 국군제14대 국군제15대 국군제16대 국군
환공경공애공혜공
제17대 국군제18대 국군제19대 국군제20대 국군
도공여공공조공회공
제21대 국군제22대 국군제23대 국군제24대 국군
영공간공후혜공출공
제25대 국군제26대 국군제27대 국군
초대 왕
제28대 국군
제2대 왕
헌공효공혜문왕무왕
제29대 국군
제3대 왕
제30대 국군
제4대 왕
제31대 국군
제5대 왕
제32대 국군
제6대 왕
초대 황제
소양왕효문왕장양왕시황제
제33대 국군
제7대 왕
제2대 황제
제34대 국군
제8대 왕
제3대 황제
이세황제진왕 자영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진(秦)나라 13대 국군
환공
桓公
영(嬴)
조(趙)
영(榮)[1]
아버지진공공(秦共公) 영도(嬴稻)[2]
생몰 기간음력기원전 ???년 ~ 기원전 577년
재위 기간음력기원전 603년 ~ 기원전 577년

1. 개요
2.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




1. 개요[편집]


진(秦)나라의 제13대 군주. 진공공의 아들. 진경공(秦景公)의 아버지.


2. 재위 기간에 일어난 일[편집]


진환공 3년(기원전 601년), 진(晉)나라가 백적과 함께 진(秦)나라의 첩자를 잡아갔다.

진환공 10년(기원전 594년), 7월 환공이 진(晉)나라를 쳤다. 양군이 보씨에서 교전했다. 진(晉)나라의 장수 위과가 진(秦)나라 장수인 두회와 싸워 두회를 사로잡았는데, 그것은 그 아버지의 첩을 아버지의 유언대로 순장시키지 않아 그 첩의 아버지가 풀을 묶어 도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것이 바로 결초보은의 고사다.

진환공 15년(기원전 589년), 노성공, 초나라의 공자 영제, 송나라의 화원, 진(陳)나라 공손녕, 위나라의 공자 량부, 정나라의 공자 거질, 제나라의 대부, 조(曹)나라, 주(邾)나라, 설나라, 증(鄫)나라와 촉 땅에서 회맹했다.

진환공 21년(기원전 583년), 진경공(晉景公)은 진환공(秦桓公)과 황하에서 회맹했다.

진환공 22년(기원전 582년), 진환공이 맹약을 저버리고 적과 함께 진(晉)나라를 쳤다.

진환공 23년(기원전 581년), 진경공이 죽자 다시 진(晉)나라를 쳤다. 진여공이 영호에서 회맹해 당장은 넘겼다.

진환공 24년(기원전 580년), 진환공이 맹약을 파기했다.

진환공 25년(기원전 579년), 백적과 함게 진(晉)나라를 쳤다. 그러나 같이 온 백적이 패해 결국 일은 실패했다.

진환공 26년(기원전 578년), 낙읍에서 회맹했다.

진환공 27년(기워전 577년), 진환공이 죽고 아들인 영석(嬴石)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진경공(秦景公)이다.

[1] 춘추분기(春秋分紀)에서 기록된 이름.[2] 기록마다 이름이 다르다.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