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치라이트 2/시스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토치라이트 2


1. 캐릭터
1.1. 능력치
1.2. 경험치
1.3. 명성
2. 전투 관련
2.1. 공격 관련
2.1.1. 실수
2.1.2. 치명타
2.1.3. 처형
2.2. 생존 관련
2.2.1. 투사체 반사
2.2.2. 회피
2.2.3. 방어력
2.2.4. 피해 흡수
2.2.5. 막기
2.3. 상태 이상
3. 기술
3.1. 피해량 표기법
3.1.1. 무기 피해량 기반
3.1.2. 플레이어 레벨 기반
3.1.3. 레벨에 따른 계수 일람



1. 캐릭터[편집]


캐릭터 성장은 레벨 업마다 5개의 스탯 포인트를 받아 4개의 능력치에 투자를 하는 방식이다. 포인트를 분배 시 능력치 창을 닫기 전까지는 자유롭게 포인트를 추가하거나 뺄 수 있다. 일단 5포인트를 다 투자한 뒤 능력치 창을 닫아버리면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다.

각 클래스는 3개의 기술 트리가 있으며, 각 트리에는 7개의 사용 기술과 3개의 지속 기술이 있다. 각 트리별로 사용 기술은 각각 1/7/14/21/28/42레벨에 해금되며, 지속 기술은 각각 1/7/14레벨에 해금된다. 기술 간에 별다른 의존관계가 없으므로 플레이어의 레벨만 충분하면 원하는 기술을 자유롭게 찍을 수 있다.

레벨업과 명성을 올려 얻는 기술 포인트를 사용해 기술의 등급(rank)을 올릴 수 있다. 처음 시작할 때 주어지는 1포인트를 포함해 레벨업으로는 총 100포인트, 명성으로는 총 32포인트를 얻어 최대 132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주력으로 쓸 스킬에 미리 투자를 해주는 것이 좋다. 각 마을의 기술 초기화 NPC에게 가면 가장 마지막에 투자한 기술 포인트 세 개까지는 골드를 지불해 되돌려받을 수 있어서 기술을 찍어보고 아니다 싶으면 포인트를 환불받을 수 있다. 특히 처음 시작할 때 자동으로 찍힌 기술은 공짜로 환불받을 수 있다.

사용 기술의 경우 5등급/10등급/15등급만큼 찍었을 때 특수한 보너스가 적용된다. 마나 소모값이 줄거나, 공격 범위가 늘거나, 지속 시간이 상승하는 등 특성은 스킬에 따라 모두 다르다. 이 때문에 기술을 찍을 때는 일부러 5포인트나 10포인트까지만 찍기도 한다.

마법부여(Enchanting)도 여전히 건재. 게다가 전작과는 달리 마법부여를 할수록 실패 확률이 높아지는 페널티가 없어지고 마을에서 하는 마법부여는 무조건 100% 성공한다. 그 중에는 장신구를 최대 2개까지 뚫어주는 마부가[1]도 있지만 마부가의 등장은 랜덤인지라 노리고 플레이하기는 어렵다.


1.1. 능력치[편집]


출처: 1, 2

레벨이 올라갈 때마다 스탯 포인트를 5개 얻으며, 아래의 주 능력치에 투자할 수 있다. 스킬과 달리 능력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초기화할 수 없으니 신중하게 찍자.

  • 힘(Strength): 무기 피해량과 치명타 피해량을 올려준다.
    • 무기 피해: 포인트당 0.5% 증가한다. 물리 피해가 아니라 무기 피해를 올려주기 때문에 지팡이와 마법봉의 DPS도 올려준다.
    • 치명타 피해량: 포인트당 0.4% 증가하며, 최대 400%(=1000 힘)를 얻을 수 있다.
  • 민첩(Dexterity): 회피율과 치명타 확률, 실수 만회량을 올려준다.
    • 회피율: 포인트당 약 0.2% 증가하나 효율이 점차 감소하며[2], 최대 50%(=500 민첩)를 얻을 수 있다.
    • 치명타 확률: 포인트당 약 0.2% 증가하나 효율이 점차 감소하며[3], 최대 50%(=500 민첩)를 얻을 수 있다.
    • 실수 만회량: 포인트당 약 0.3% 증가하나 효율이 점차 감소하며[4], 최대 75%(=475 민첩)를 얻을 수 있다.
  • 집중력(Focus): 마법 대미지와 마나, 처형 확률을 올려준다.
    • 마법 대미지: 포인트당 0.5% 증가한다. 마법 대미지 보너스는 무기와 기술에 붙은 속성 대미지를 올려주며, 지팡이와 마법봉은 속성 피해를 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DPS도 올려준다. 무기에 붙은 지속 피해 효과도 물리 피해, 속성 피해 관계없이 대미지가 증가한다.
    • 최대 마나: 포인트당 0.5만큼 증가한다.
    • 처형 확률: 포인트당 0.2% 증가하나 효율이 점차 감소하며[5], 최대 50%(=500 집중력)를 얻을 수 있다.
  • 생명력(Vitality): 막기 확률과 체력, 방어력을 올려준다.
    • 막기 확률: 포인트당 약 0.2% 증가하나 효율이 점차 감소하며[6], 최대 50%(=500 생명력)를 얻을 수 있다.
    • 체력: 포인트당 3.6만큼 증가한다.
    • 방어력: 포인트당 0.25% 증가한다.


1.2. 경험치[편집]


Experience.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퀘스트 보상으로 경험치를 얻어 레벨업할 수 있다.

자신의 레벨과 차이가 많이 나는 몬스터를 사냥했을 때는 받는 경험치에 페널티가 가해진다. 나보다 높은 레벨의 몬스터에 대해서는 페널티가 일정하지만, 나보다 낮은 레벨의 몬스터에 대해서는 급격한 페널티가 적용된다. 따라서 (자신의 레벨 - 2) ~ (레벨 + 6) 사이의 몬스터를 사냥하는 것이 좋다.

적의 레벨보정된 경험치
내 레벨 + 38 이상33%
내 레벨 + 5 ~ 37(99 - 2 × (레벨 차이 - 5))%
내 레벨 + 0 ~ 4100%
내 레벨 - 197%
내 레벨 - 292%
내 레벨 - 380%
내 레벨 - 453%
내 레벨 - 525%
내 레벨 - 613%
내 레벨 - 78%
내 레벨 - 86%
내 레벨 - 95%


1.3. 명성[편집]


Fame. 챔피언이나 보스급의 몬스터를 사냥하거나 퀘스트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명성을 얻을 때는 보라색 숫자로 표시된다. 명성을 일정량 얻을 때마다 기술 포인트를 1포인트 얻으며 호칭이 바뀐다.

호칭필요한 명성치
Unrecognized2000
Barely Known3000
Recognized4000
Tolerated5000
Acknowledged7000
Respected9000
Well-Known12000
Liked14000
Memorable16000
Honored18000
Prominent19000
Local Hero22000
Widely Known23000
Remarkable26000
Ascendant27000
Distinguished29000
Prestigious31000
Eminent34000
Folk Hero35000
Famous37000
Acclaimed40000
Local Legend41000
Illustrious44000
Renowned46000
Celebrated48000
Lionized50000
Glorious52000
Legendary55000
Exalted56000
Fabled59000
Mythic62000
Immortal63000
Demigod9005000


2. 전투 관련[편집]



2.1. 공격 관련[편집]



2.1.1. 실수[편집]


Fumble. 공격 시 일정 확률로 공격이 실패하여 대미지가 감소하며, 대미지 숫자가 보라색으로 표시된다. 실수에 의한 대미지 페널티는 75%이다(=대미지가 25%로 감소). 실수는 치명타보다 먼저 판정을 굴림하며, 실수한 공격에는 치명타가 발동하지 않는다.

실수할 확률은 21%로 고정이며 일부 아이템으로 줄일 수 있다.

실수 만회량(fumble recovery)은 실수 시의 대미지 페널티를 줄여준다. 실수 만회량은 민첩에서 최대 75%까지 끌어올 수 있으며, 이 경우 가하는 대미지는 실수 대미지 25% + 만회량 75% = 100%로, 실수 페널티가 완전히 사라지는 셈이다.


2.1.2. 치명타[편집]


대부분의 공격은 일정 확률로 치명타가 발동한다. 기본 공격이나 무기 대미지를 사용하는 기술에 치명타가 발동할 경우, 무기의 최대 대미지를 사용한다.

치명타 확률은 기본 0%이며, 민첩에서 최대 +50%까지 끌어올 수 있다. 아이템과 기술에서 얻는 보너스까지 포함했을 때의 최대값은 100%이다.

치명타의 추가 피해는 기본 50%이며, 힘에서 최대 +400%까지 끌어올 수 있다. 아이템과 기술에서 얻는 보너스까지 포함했을 때의 최대값은 500%이다.

속성 피해를 동반한 공격에 치명타가 발동할 경우, 가한 속성 피해에 따라 상태 이상 효과를 적용한다. 자세한 것은 상태 이상 문단을 참고하라.


2.1.3. 처형[편집]


양 손에 무기를 들었을 경우 일반적으로는 번갈아가며 때리지만, 양 손에 같은 종류(근접+근접, 원거리+원거리, 마법봉+마법봉)를 착용하면 일정 확률로 처형(execute)이 발동하여 두 무기로 동시에 공격한다. 처형은 온전히 평타에만 발동하며 각종 공격 기술에는 발동하지 않는다.

처형의 발동 확률은 기본 10%이며, 집중력에서 최대 +50%까지 끌어올 수 있다. 아이템과 기술에서 얻는 보너스까지 포함했을 때의 최대값은 100%이다.


2.2. 생존 관련[편집]


적의 공격에 맞았을 때 각 효과가 적용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투사체 반사
  2. 회피
  3. 방어력
  4. 피해 감소
  5. 피해 흡수
  6. 막기 (방패 착용 시)
  7. 체력


2.2.1. 투사체 반사[편집]


Missile reflection. 거의 모든 원거리 공격을 튕겨낼 수 있어서 생존에 유용하다. 반사한 공격의 피해량은 자신의 무기 DPS를 따르며 치명타도 적용된다.

투사체 반사 확률은 다른 효과와 달리 곱연산으로 적용된다. 가령 두 개의 아이템에서 각각 10%, 20%의 투사체 반사 확률을 받을 경우, 최종적인 투사체 반사 확률은 10% + 20% = 30%가 아니라 100% - (100% - 10%) × (100% - 20%) = 28%이다.

참고로 "X 피해 반사"나 "X% 피해 반사"와 같은 효과는 대미지를 막아주는 게 아니라 되돌려주기만 한다. 따라서 투사체 반사와 달리 생존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2.2.2. 회피[편집]


회피(dodge)는 적의 기본 공격을 피할 수 있게 해 준다. 예외적으로 대부분의 보스몹의 일반 공격은 회피가 불가능하며, 함정도 피할 수 없다.

회피율은 기본 0%이며, 민첩에서 최대 +50%까지 끌어올 수 있다. 아이템과 기술에서 얻는 보너스까지 포함했을 때의 최대값은 75%이다.


2.2.3. 방어력[편집]


각 속성(물리/화염/중독/감전/빙결)별로 방어력이 있다. 대부분의 방어구는 물리 방어력이 붙으며, 접사가 붙은 아이템을 착용하거나, 홈 아이템을 끼우거나, 일부 기술을 통해 속성 방어력을 얻을 수 있다.

각 속성의 방어력은 해당 속성의 대미지에만 적용되며, 매 공격 시마다 방어력의 50%-100% 사이의 값만큼 피해를 감소시킨다. 가령 화염 방어력이 28인 캐릭터가 몬스터에게 100의 화염 피해를 받으면, 14에서 28 사이의 값을 무작위로 골라 그만큼 피해를 줄인다.

이 때문에 작은 피해를 여러 번 주는 기술이 불리하다 느낄 수 있으나, 각 기술마다 적용되는 방어력의 비율이 다르다. 가령 무기 피해의 40%를 가하는 기술은 몬스터의 방어력 또한 40%만 적용된다.

(출처)


2.2.4. 피해 흡수[편집]


엔지니어의 포스필드와 이지스 오브 페이트가 제공하는 효과. 이 덕분에 엔지니어는 방패를 들지 않아도 뛰어난 생존력을 자랑한다.[7]


2.2.5. 막기[편집]


방패를 든 경우 막기(block)가 적용되어 대부분의 공격을 막을 수 있다. 게임 내 대부분의 공격을 막을 수 있어서 회피보다 훨씬 유용하다. 단, 상태 이상 효과를 동반하는 공격[8]의 경우 대미지만 막아주고 CC 효과는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일부 광역기나 칼날 함정은 막을 수 없다.

방패에는 15%~45%의 막기 확률이 붙어있으며, 생명력에서 최대 +50%까지 끌어올 수 있다. 아이템과 기술에서 얻는 보너스까지 포함했을 때의 최대값은 75%이다.


2.3. 상태 이상[편집]


파일:torchlight2-statuseffect-burning.webp타오름 (Burning)화염 공격을 맞히면 걸 수 있다. 지속 시간 동안 방어력을 무시하고 지속 피해를 준다.
파일:torchlight2-statuseffect-poisoned.webp중독 (Poisoned)독 공격을 맞히면 걸 수 있다. 지속 시간 동안 공격력과 방어력이 33% 감소한다.
파일:torchlight2-statuseffect-shocked.webp감전 (Shocked)전기 공격을 맞히면 걸 수 있다. 지속 시간 동안 공격당하면 전기 덩어리를 뿜어 주위에 피해를 준다.
파일:torchlight2-statuseffect-frozen.webp빙결 (Frozen)냉기 공격을 맞히면 걸 수 있다. 지속 시간 동안 이동 속도, 기술 시전 속도, 공격 속도가 33% 감소한다.

속성 공격(화염, 독, 전기, 냉기)은 일정 확률로 적에게 상태 이상을 건다. 단, 치명타가 발동할 경우 항상 상태 이상을 건다.

  • 기본 공격 또는 무기 DPS 기반의 공격: 치명타 발동 시 속성별 상태 이상을 항상 적용한다. 여러 속성의 대미지가 섞여 있다면 한 가지 상태 이상 효과만 적용하며, 타오름 > 빙결 > 감전 > 중독 순서로 우선순위를 갖는다.
  • 기술 자체 피해를 가하는 공격: 치명타가 발동해도 속성별 상태 이상을 적용하지 않는다. 직접 상태 이상을 거는 경우도 있으며(예: 엠버메이지의 프리즈마틱 볼트), 이 경우 동시에 여러 종류의 상태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출처)


3. 기술[편집]



3.1. 피해량 표기법[편집]


나무위키의 각 클래스 문서에서는 다음의 대미지 표기법을 사용한다.


3.1.1. 무기 피해량 기반[편집]


무기의 피해량이나 초당 피해량(DPS)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의 경우, 대미지를 A(+B)%와 같이 표기한다. 이는 해당 기술이 1등급일 때 무기 DPS의 A%만큼 대미지를 가하며, 이후 1등급을 올릴 때마다 B%씩 증가한다는 뜻이다.

  • ex) 버서커의 에비서레이트는 "무기의 초당 공격력의 88(+3)%를 가함"로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에비서레이트가 1등급일 땐 무기 DPS의 88%만큼의 대미지를 가하고, 15등급일 때는 무기 DPS의 130%만큼의 대미지를 가한다.


3.1.2. 플레이어 레벨 기반[편집]


기술의 대미지가 무기 기반이 아닐 경우, 대개 플레이어 레벨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대부분의 기술은 몬스터 대미지(Monster Damage, MD)라는 계수를 따른다. 이 계수는 몬스터의 레벨에 따라 대미지가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만든다.[9]

플레이어의 경우 사용자의 현재 레벨에 해당하는 계수의 값을 찾아 곱하면 된다. 단, 이 방식은 직관적이지 않으므로 기술 설명에는 [A ~ B]와 같이 이론상 최소 피해량과 최대 피해량을 함께 표기한다.

  • ex) 엠버메이지의 헤일스톰은 40(+2)% ~ 100(+5)% MD의 냉기 피해를 가한다. 헤일스톰이 1등급일 때는 40% ~ 100% MD의 대미지를 가하고, 15등급일 때는 68% ~ 170% MD의 대미지를 가한다.
  • 헤일스톰 1등급을 찍을 시점의 플레이어 레벨은 최소 7이며 이 때의 MD 계수값은 40.2이다(아래 표 참고). 따라서 1등급일 때의 최소 대미지는 40% × 40.2 = 16.08, 최대 대미지는 100% × 40.2 = 40.2이다.
  • 한편 최대 레벨인 100을 찍었을 때의 MD값은 3163이다. 따라서 이때의 최소 대미지는 68% × 3163 = 2150.84, 최대 대미지는 170% × 3163 = 5377.1이다.
  • 최종적으로 표기하는 대미지는 (소숫점을 올림하여) [17-41 ~ 2151-5378]이다.

각 기술의 계수를 알면 대미지를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다. 가령 엠버메이지의 블레이징 필라는 1등급일 때 틱당 75% ~ 100% MD의 화염 피해를 주고, 인퍼널 콜랩스는 1등급일 때 180% ~ 240% MD의 화염 피해를 준다. 따라서 인퍼널 콜랩스는 블레이징 필라보다 대미지가 2.4배 높음을 알 수 있다.[10]

토치라이트 2는 MD 계수 외에도 여러 계수를 사용한다.

  • MN (MiNion damage): 각종 소환수의 대미지가 플레이어의 레벨에 따라 자연스럽게 증가하게 만든다.
  • GMP (Generic Mana Points): 마나를 회복시키는 효과에 적용된다.
  • GHP (Generic Health Points): 체력을 회복시키는 효과에 적용된다.
  • PAR (Player ARmor): 버서커의 슈레드 아머 (방어력 증가 효과만), 아웃랜더의 래피드 파이어가 사용한다.
  • MAR (Monster ARmor): 버서커의 래비지, 슈레드 아머(방어력 감소 효과만)가 사용한다.


3.1.3. 레벨에 따른 계수 일람[편집]



레벨MDMNGMPGHPPARMAR
1102447.520084
2143048.5240107
3193749.5280128
423.94450.53201411
5295151.53601714
634.55852.54002018
740.26653.54402221
846.37454.54802525
952.68355.55202828
1059.39256.55603132
1166.410157.56003437
1273.811058.56403741
1381.512059.56804046
1489.613160.57204350
1598.114261.57604655
16106.915362.58005061
17116.116463.58405366
18125.717764.58805672
19135.718965.59206077
20146.120266.59606383
2115721567.510006790
22168.222968.510407096
23179.924369.5108074102
2419225870.5112077109
25204.627371.5116081116
26217.728872.5120085123
27231.230473.5124088131
28245.232174.5128092138
29259.633875.5132096146
30274.635576.51360100154
31290.137377.51400103162
32306.139278.51440107170
33322.641179.51480111179
34339.643080.51520115188
35357.245081.51560119196
36375.347182.51600123206
3739449283.51640127215
38413.351484.51680131224
39433.153685.51720135234
40453.655886.51760139244
41474.658287.51800143254
42496.260588.51840147264
43518.563089.51880151275
44541.465590.51920155286
45564.968091.51960159296
46589.170692.52000163307
47613.973393.52040167319
48639.476094.52080171330
49665.678895.52120176342
50692.581796.52160180354
5172084697.52200184366
52748.387698.52240188378
53777.390699.52280192390
54807937100.52320197403
55837.5968101.52360201416
56868.71001102.52400205429
57900.71034103.52440209442
58933.51067104.52480214456
599671101105.52520218469
601001.41136106.52560222483
611036.51172107.52600226497
621072.51208108.52640231511
631109.31245109.52680235526
6411471283110.52720239540
651185.51321111.52760244555
661224.81360112.52800248570
671265.11400113.52840253585
681306.21440114.52880257601
691348.21481115.52920261616
701391.11523116.52960266632
7114351566117.53000270648
721479.81609118.53040274664
731525.51653119.53080279680
741572.21698120.53120283697
751619.91744121.53160288714
761668.51790122.53200292731
771718.11837123.53240297748
781768.81885124.53280301765
791820.41934125.53320305783
801873.11984126.53360310800
811926.92034127.53400314818
821981.72085128.53440319836
832037.52137129.53480323855
842094.52190130.53520328873
852152.52243131.53560332892
862211.62297132.53600337911
872271.92353133.53640341930
882333.32409134.53680346949
892395.82466135.53720350969
902459.52523136.53760355988
912524.32582137.538003591008
922590.42641138.538403641028
932657.62701139.538803681049
942726.12763140.539203731069
952795.82825141.539603771090
962866.72888142.540003821111
972938.82951143.540403861132
983012.33016144.540803911153
9930873082145.541203951175
10031633148146.541604001196
레벨MDMNGMPGHPPARMAR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21:31:28에 나무위키 토치라이트 2/시스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OD 중에 장신구 마부가가 최대 5개까지 장신구를 뚫어주는 MOD가 있으나 구하기 힘들다.[2] 정확한 공식은 (회피율 보너스) = 0.2% × 민첩 × (1 - 민첩 / 1000)이다.[3] 정확한 공식은 (치명타 확률 보너스) = 0.2% × 민첩 × (1 - 민첩 / 1000)이다.[4] 정확한 공식은 (실수 만회량 보너스) = 0.3% × 민첩 × (1 - 민첩 / 1000)이다.[5] 정확한 공식은 (처형 확률 보너스) = 0.2% × 집중력 × (1 - 집중력 / 1000)이다.[6] 정확한 공식은 (막기 확률 보너스) = 0.2% × 생명력 × (1 - 생명력 / 1000)이다.[7] 적의 공격을 받으면 피해 흡수가 있어도 "막힘(blocked)"라는 메시지가 뜨지만, 실제로는 피해 흡수가 먼저 적용된 다음 막기 판정이 적용된다.[8] 냉기 숨결, 끌어오기 공격 등[9] 출처: Monster damage graph - Torchlight Wiki[10] 물론 실제로 기술을 비교할 땐 대미지를 주는 방식이나 재사용 대기시간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