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어십 럭비/2021-22시즌

덤프버전 :

2021-22 Premiership Rugby
파일:English Premiership Rugby.png
기간2021.9.17 ~ 2022.6.18
팀 수13팀
대회 결과
우승레스터 타이거즈 (11회)
준우승사라센스 (4회)
리그 1위레스터 타이거즈 (11회)
강등없음
최우수 선수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얼 (사라센스)
최우수 유망주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헨리 아룬델 (런던 아이리시)
2020-212022-23

1. 개요
2. 상세
3. 참가 클럽
4. 선수 이적
5. 시즌 운영
6. 정규시즌
6.1. 하이라이트
7. 플레이오프
7.1. 4강전
7.2. 결승전
8. 통계
9. 관련 대회



1. 개요[편집]


프리미어십 럭비의 35번째 시즌. 지난 시즌 샐러리 캡 위반으로 중징계를 받아 강등된 사라센스가 다시 올라와 1992-93시즌 이후 29년만에 13개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2. 상세[편집]


코로나19의 영향이 끝날 무렵 유관중으로 경기가 재개되었다. 다만 위축된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샐러리 캡이 처음으로 하향되었는데, 2023-24시즌까지 640만 파운드에서[1] 무려 22%가량인 500만 파운드로[2] 일시 제한을 두기로 했다.

코로나19가 완전히 종식된 시기가 아니어서 중간중간 취소된 경기가 있는데, 취소된 경우 점수는 0:0처리가 되지만 양팀 모두 출전이 불가한 상황이면 무승부처럼 승점 2점씩 부여하고, 한 팀이 멀쩡하면 그 팀에 승리와 같은 4점을 부여한다. 다른 사유로 최소된 경우 점수는 20:0 처리가 되고 상대편 팀에게 4트라이 성공과 같은 승점 5점을 부여한다.


3. 참가 클럽[편집]


클럽경기장감독주장
바스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 (14,509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튜어트 후퍼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찰리 이웰스
브리스톨 베어스애쉬튼 게이트 스타디움 (27,000석)파일:사모아 국기.svg 패트 람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스티븐 루아투아
엑서터 치프스샌디 파크 (13,593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롭 박스터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잭 옌들
글로스터킹셤 스타디움 (16,115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지 스키빙턴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이스 러들로
글로스터트위크넘 스툽 (14,800석)파일:호주 국기.svg 빌리 밀러드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스테판 루이스
레스터 타이거즈웰포드 로드 스타디움 (25,849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보스윅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엘리스 겐지
런던 아이리시지테크 커뮤니티 스타디움 (17,250석)파일:IRFU 로고.png 디클랜 키드니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맷 로저슨
뉴캐슬 팰컨스킹스턴 파크 (10,200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린 리처즈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윌슨
노샘프턴 세인츠프랭클린스 가든스 (15,200석)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크리스 보이드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이스 러들럼
세일 샤크스AJ 벨 스타디움 (12,000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샌더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조노 로스
사라센스스톤X 스타디움 (8,500석)[3]파일:IRFU 로고.png 마크 맥컬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오웬 패럴
와스프스코번트리 빌딩 소사이어티 아레나 (32,609석)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 블랙키트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런치버리
우스터 워리어스식스웨이즈 스타디움 (11,499석)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앨런 솔로몬스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테드 힐


4. 선수 이적[편집]


2021-22시즌 구단별 이적 명단은 링크를 참고.


5. 시즌 운영[편집]


2021년 7월 13일 일정이 발표되었다. 지난 시즌 12팀에서 13팀으로 늘었기 때문에 기간이 40주로 늘어났다.


6. 정규시즌[편집]


정규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으로 26라운드까지 진행된다.
클럽득실승점비고
레스터 타이거즈20승4패726/452 (+274)94점플레이오프 진출
2022-23 챔피언스 컵 진출
사라센스17승1무6패769/509 (+260)87점
할리퀸스15승9패947/554 (+93)80점
노샘프턴 세인츠14승10패764/639 (+125)75점
글로스터13승1무10패685/525 (+160)73점2022-23 챔피언스 컵 진출
세일 샤크스12승3무9패559/495 (+64)70점
엑서터 치프스13승11패584/534 (+50)69점
런던 아이리시9승5무10패660/666 (-6)63점
와스프스11승1무12패614/600 (+14)60점2022-23 챌린지 컵 진출
브리스톨 베어스8승16패573/718 (-145)48점
우스터 워리어스6승1무17패451/814 (-363)35점
뉴캐슬 팰컨스6승1무17패436/660 (-224)34점
바스5승1무18패461/763 (-302)34점


6.1. 하이라이트[편집]


  • 빅 게임 13
11라운드 마지막 경기 할리퀸스 vs 노샘프턴 세인츠 경기가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2022년 12월 27일 열렸다. 이날 결승전보다 불과 13명 적은 72,735명이 모여들었다.
  • 더 쇼다운 파트 2
21라운드의 사라센스 vs 브리스톨 베어스 경기가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2022년 3월 26일 열렸다. 49,376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 빅 써머 킥오프
25라운드 중 할리퀸스 vs 글로스터 경기는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2022년 5월 21일 치러졌으며 47,421명이 관람했다.


7. 플레이오프[편집]


리그 상위 4개팀이 4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대진은 1위vs4위, 2위vs3위이며 순위가 높은 팀이 홈 이점을 가진다.


7.1. 4강전[편집]


1위레스터 타이거즈27레스터 타이거즈

사라센스
4위노샘프턴 세인츠14
2위사라센스34
3위할리퀸스17


7.2. 결승전[편집]


킥오프22.6.18.(토) 15:00경기장/관중트위크넘 스타디움 (72,748명)주심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인 반스

레스터 타이거즈15 : 12 사라센스
MOM은 남아공 출신 레스터의 No.8 야스퍼 비서가 수훈했다.


전체 경기 영상


8. 통계[편집]


소속이름득점
레스터 타이거즈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지 포드220점
런던 아이리시파일:IRFU 로고.png 패디 잭슨200점
사라센스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로조스키178점
  • 트라이
소속이름횟수
사라센스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맥스 멜린스16회
할리퀸스
뉴캐슬 팰컨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이단 멀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지 맥기건
15회
런던 아이리시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구스틴 크레비[4]14회
  • 구단별 홈 관중 (평균을 기준으로 정렬)
클럽누적 관중수용 능력평균최고최저평균 매진율
할리퀸스258.381명14,800명[5]21,532명72,735명12,173명82.8%
레스터264,613명25,849명20,354명24,202명17,333명78.7%
브리스톨214,977명27,000명17,915명23,438명15,873명66.4%
바스167,184명14,509명13,932명14,509명12,569명96.0%
노샘프턴163,436명15,200명13,619명15,153명9,222명89.0%
엑서터146,389명15,593명12,199명14,876명9,843명84.8%
글로스터140,703명16,115명12,791명16,115명10,429명79.8%
사라센스150,058명8,500명[6]11,542명49,376명7,031명78.2%
와스프스119,173명32,609명9,931명13,463명7,236명30.5%
런던103,079명17,250명9,370명15,085명6,720명54.3%
우스터83,817명11,499명6,984명8,570명6,154명60.6%
세일71,383명12,000명5,948명8,214명3,697명49.7%
뉴캐슬64,246명10,200명5,840명6,746명3,376명57.3%
최저 관중에도 경기장이 거의 가득 차는 할리퀸스바스 럭비 팬들의 충성도가 대단하다. 와스프스는 쓸데없이 큰 경기장을 갖고 있다. 가장 많은 관중이 찾는 팀은 레스터 타이거즈고, 바스는 더 큰 경기장이 있어도 될 것 같다.


9. 관련 대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20:54:21에 나무위키 프리미어십 럭비/2021-22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화 약 100억 원[2] 한화 약 80억 원[3] 10,000석 규모의 경기장이지만 2021년 공사가 진행되어 일시적으로 감소[4] 후커다(...)[5] 트위크넘 스타디움에서 개최한 두 경기가 평균을 오지게 올려버렸다[6] 확장 공사, 그리고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개최한 경기 때문에 평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