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발(1874)

덤프버전 :

파일:김해시로고6.png
김해시의 독립운동가

[ 펼치기 · 접기 ]
성명
운동계열
생몰년도
훈격
강원석
의열단
? ~ ?

고영건
3.1운동
1887 ~ 1941
애족장
김두갑
일본방면
1922 ~ 1944
애족장
김만수
3.1운동
? ~ ?

김석암
3.1운동
1891 ~ 1959
대통령표창
김선오
3.1운동
1865 ~ 1919
애국장
김성득
일본방면
1923 ~ 1983
애족장
김승래
3.1운동
? ~ ?

김승태
3.1운동
1878 ~ 1940
애족장
김양산
3.1운동
? ~ ?

김원수
3.1운동
? ~ ?

김용이
3.1운동
1891 ~ 1919
애국장
김용주
3.1운동
? ~ ?

김정태
3.1운동
1890 ~ 1958
애족장
김종훤
3.1운동
1893 ~ 1948
애족장
김헌규
의병
? ~ 1916
애족장
노백용
국내항일
1885 ~ 1961
건국포장
노상익
만주방면
1849 ~ 1941
대통령표창
노상직
파리서명
1855 ~ 1931
건국포장
노석호
국내비밀
결사조직

1916 ~ 1944
애족장
류진옥
파리서명
1871 ~ 1928
건국포장
문위동
국내항일
1903 ~ 1976
애족장
반양환
광복군
1924 ~ ?

박도백
3.1운동
1892 ~ 1939
애족장
박재홍
국내항일
1903 ~ 1979
애족장
박정수
광복군
? ~ ?
애족장
배덕수
국내항일
1895 ~ 1970
대통령표창
배동석
3.1운동
1889 ~ 1924
애족장
배종철
국내항일
1895 ~ ?
대통령표창
배치문

1890 ~ 1942
애국장
서석재
3.1운동
? ~ ?

서진령
3.1운동
1899 ~ 1971
대통령표창
손명조
3.1운동
1884 ~ 1919
애국장
송기송
대한통의부


송상진

1887 ~ 1967
대통령표창
송세탁
3.1운동
1884 ~ 1939
대통령표창
신수명
일본방면
1924 ~ 2007
대통령표창
안무술
3.1운동
? ~ ?

안효구
3.1운동


안효진
3.1운동
1874 ~ 1946
건국포장
이강석
3.1운동
1879 ~ 1923
애족장
이윤재
조선어학회
1888 ~ 1943
독립장
이윤희
노동운동


이진석
3.1운동
1896 ~ 1970
애족장
이차수
3.1운동
? ~ ?

임학찬
국내항일
1890 ~ 1952
건국포장
조영우
3.1운동
1887 ~ 1923
애족장
조정환
대한독립단
1875 ~ 1926
애족장
전용헌
국내항일
1890 ~ 1934
건국포장
정적윤
3.1운동
? ~ ?

조동출
3.1운동
? ~ ?

조용명
3.1운동
? ~ ?

조항래
3.1운동
1884 ~ 1949
애족장
최여봉
국내항일
1899 ~ 1970
애족장
최현호
3.1운동
1890 ~ 1974
애족장
한임길
의병.미상
? ~ ?
애국장
허 발
자금지원
1874 ~ 1931

허윤송
광복군
1919 ~ 1985
애족장
허 평
파리서명
1882 ~ 1968

황찬숙
국내항일
1905 ~ 1970
애족장
김해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들과
김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을 포함함.

파일:건국훈장애족장약장.jpg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파일:건국훈장독립장약장.jpg





파일:허발.jpg}}}
출생
1874년 1월 26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활천면 마마동
(現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사망
1931년 6월 12일 오전 7시 (향년 56세)
활천고개
본관
김해 허씨

달중(達中)

춘전(春田)
부모
아버지 허관
형제자매
남동생 허문[1], 허환[2]
친인척
손녀 허해옥
학력
식년시 진사시 (급제)
서울측량학교 (졸업)
서훈
미서훈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관련자료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학자.

재산의 대부분을 가난한 국민들에게 나누고 독립운동 자금으로 전달했다. 김해합성초등학교를 설립하고, 김해의 발전을 위해 다방면에서 힘쓴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편집]


1874년 경상도 김해도호부 활천면 마마동(현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인 허관[3]은 가난했던 집안을 일으켰고, 일가친척은 물론 이웃까지 돌보았다. 전체적으로 보았을때 허발의 인생은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허발은 집현재에서 한학을 배우고 18941월 26일 조선 최후의 식년시 진사시에 3등 912위로 급제하였다.# 이후 허발은 급변하는 시대의 신학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에 서울 측량학교에 입학했다.

측량학교 졸업 후 허발은 고향인 김해로 내려와 직접 농사를 지었다. 1909년 조선민족 자본을 형성을 목적으로 김해금융조합을 설립하였고, 나아가 1919년 김해은행 설립자본금 50만원을 준비하였으나 일본의 방해로 끝내 허가를 득하지 못하였다.

허발은 1918년 곡식 100석을 매입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반값으로 판매했다. 이 일은 매일신보(1918년 10월 24일)에 기사로 실렸다.

1918년부터 진영에서 곡물상을 시작했는데, 이 곡물상을 통해 서울과 인천 등지로 엄청난 쌀이 실려 나갔다. 그러나 허발은 한 푼의 돈도 받지 않았다. 표면상으로 곡물상이었지만 곡물상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고 있었던 것이다.

허발의 손녀 허해옥씨가 이 일에 대해 자신의 할머니에게 들은 이야기에 따르면 허발은 할머니에게만 독립운동가인 '김 씨'를 만나고 왔다고 이야기 했는데, 그 '김 씨'는 다름아닌 김구 였다.

허발은 또한 백산 안희제 선생이 설립한 '경남인쇄'의 대주주였다. 백산은 백산상회·백산무역·경남인쇄 등을 운영하며 독립운동자금을 모았는데, 허발 역시 백산과 함께 활동한 것이다.

1919년 서상동에 김해사립합성학교를 설립했고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1920년 7월 29일 낙동강 최하류 김해에 큰 홍수가 났다. 이때 박석권 백미 150승(되), 허발 150승, 장석호 씨 150승을 구호물품으로 지급했다고 동아일보가 보도했다. #이후에도 낙동강에서는 수 차례 홍수가 일어났고, 이때마다 허발은 이재등 민을 돕는 데 앞장섰다.

허발은 1929년 7월에 합성학교에서 '김해 한글 강좌'를 열었다. 한글 수업이 끝나면 가락국의 고대역사와 고적을 소개하는 시간도 따로 가졌다. 1928년 4월 15일에는 김해군민 대운동회가 합성학교에서 열렸다.

구포와 강서구 대저동을 연결하는 구포다리를 놓을 때 가교지점을 구포로 할지, 사상으로 할지 의견이 둘로 갈리었다. 허발은 낙동장교의 가교지점을 김해와 가까운 구포에 세우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허발은 1931년 6월 12일 말을 타고 활천고개를 넘어 퇴근하던 도중 일본경찰의 습격에 의해 살해되었다. 당시의 언론은 허발이 뜻밖의 병으로 별세했다고 보도했으나, 훗날 부인의 증언에 의해 살해됐음이 밝혀졌다.

장례식에는 김해 뿐만이 아니라 전국에서 문상객이 모여들어 허발의 죽음을 애도했다. 손녀 허해옥 씨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5만여명 이상이 몰려들어 상갓집에서 장유의 장지까지 가는 동안 500m마다 상을 놓아 문상객을 접대했다고한다.


3. 여담[편집]


  • 김해합성초등학교 본관 입구 왼편에 1967년 '허발 박석권 선생 공적기념비'가 세워졌다. 비에 새겨진 글은 대한민국 초대 문교부장관을 지낸 철학박사 안호상 선생이 지었다.


4. 관련자료[편집]


선각자의 발자취를 남긴 '김해의 은인' 허발
허발-가야문화축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0:29:42에 나무위키 허발(187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許文[2] 許瓛[3] 사마방목에는 허염(許炎)이라고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