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 Pressure

덤프버전 :


Under Pressure 의 주요수상

[ 펼치기 · 접기 ]










Under Pressure



앨범 발매일
1982년 5월 21일
수록 앨범
싱글 발매일
1981년 10월 26일
싱글 B면
Soul Brother
작사/작곡
, 데이비드 보위
장르
팝 록
재생 시간
4:08
프로듀서
, 데이비드 보위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 EMI
파일:미국 국기.svg 엘렉트라 레코드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파일:R-369899-1143382548.jpeg.jpg


1. 개요
2. 라이브 공연
3. 가사
4. 기타



1. 개요[편집]





공식 뮤직비디오

1981년 10월 26일 발표된 데이비드 보위의 듀엣곡으로, The GameHot Space 사이의 공백기에 콜라보레이션 싱글로 발매되었다. 1981년 다음해에 발매된 Hot Space 앨범에도 수록되었다. 만들 때부터 앨범에 수록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던 데다, 듀엣 가수인 데이비드 보위의 음악색이 어느 정도 혼합되어 있어 Hot Space 수록곡들과는 이질적인 분위기를 띈다. 발표한 지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UK 싱글 차트 1위를 차지하여, 퀸에게는 Bohemian Rhapsody 이후로 6년 만의 1위를, 데이비드 보위에게는 Ashes to Ashes 이후 1년 만의 1위를 안겨줬다. 퀸은 이 곡의 1위 이후, 약 9년 3개월 뒤 발표한 Innuendo 전까지 한 번도 UK차트 1위를 석권하지 못했다. 즉, 80년대 퀸의 처음이자 마지막 영국 싱글 차트 1위 곡.[1] 빌보드 차트에서는 29위를 기록해 영국 및 유럽에 비해 순위가 다소 낮았다.

그 유명한 초반부 베이스 리프[2]는 데이비드 보위랑 스튜디오에서 놀다[3] 만들었다고 한다. 존 디콘이 베이스 리프를 치고 있었는데 여기에 이것저것 덧붙이다가 곡이 완성되었다고 한다.[4] 제목의 뜻은 "압박 아래서"이다.


2. 라이브 공연[편집]



1981년 몬트리올 라이브


1982년 밀턴 케인즈 라이브


198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라이브


1996년 TopPop 라이브


1981년 몬트리올 공연에서 처음으로 연주됐다.[5][6] 그때까지 옳게 된 라이브 영상이 없던 퀸에게 캐나다 "Mobile Vision"이 최고의 조건으로 제의를 걸자 퀸이 이를 받아들였고 그리하여 몬트리올에서 특별 공연을 펼쳤고, 웸블리 공연에서 불렀던 버전, 198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공연 실황이 라이브 앨범으로 발매되었다.[7]

프레디 머큐리 생전 퀸 공연에서는(1981~1986+) 반드시 선곡되었던 넘버이며, 1992년 프레디 머큐리 추모 콘서트 이후부터 현재까지도(1992~2021+) 한두곡만 할 수 있는 공연이 아니라면 이 곡이 빠지는 공연은 없다.

원곡에서는 데이비드 보위와 듀엣으로 불렀지만, 안타깝게도 라이브에서 이 둘이 같이 라이브로 부른 적은 없다.[8] 보위는 이 곡을 자신의 곡이 아닌 퀸의 곡이라고 생각했으며[9] 언젠가 퀸의 라이브에 게스트로 초대받아 같이 부를 일이 있으리라고 생각하여 자신의 투어에서 이 곡을 일절 부르지 않았는데, 프레디 머큐리가 1986년 이후 에이즈로 공연을 못하게 되는 바람에 1992년 프레디 사후에 추모 콘서트에서 애니 레녹스와 함께 라이브한 것이 첫 라이브가 되고 말았다. 그 후 NIN과 함께했던 1. Outside 투어에서부터 라이브 리스트에 올라오기 시작했다.[10] 이후 심장마비로 인해 중단되고 만 마지막 투어였던 Reality 투어(2003~2004)와, 퍼포머로서의 은퇴 직전 공연이었던 몇몇 2005년 공연에서까지 Outside 투어 이후 모든 투어에서 전부 연주되었다. Outside 투어에서부터는 애니 레녹스급의 거물을 매번 게스트로 부를 수 없었으므로, 여성 베이시스트 게일 앤 도르시[11]에게 프레디 머큐리 파트를 맡겨 같이 부르곤 했다. 그 외에도 게스트로 출연하여 다른 가수들과 듀엣으로 부른 라이브 버전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보위가 2005년 이후 투어를 돌지 않게 되었을 때, 당시 폴 로저스를 객원보컬로 맞이해 솔로 투어를 돌던 퀸이 이 곡을 가끔씩이나마 부르기 시작하면서 이 곡의 라이브 연주는 자연스럽게 다시 퀸이 넘겨받아 이어지고 있다.[12]

2016년 1월 10일 데이비드 보위의 타계로 인해 이 노래는 더 이상 원곡자들의 목소리로 들을 수 없게 되었다. 한편 이 싱글이 인기를 끌던 1982년은 포클랜드 전쟁이 발생한 해였는데, 아르헨티나가 이 전쟁에서 영국에게 패배하자 빡친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당시 국내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던 Under Pressure를 금지곡으로 지정해버렸다.

미국의 유명 래퍼 바닐라 아이스가 초반부의 베이스 리프를 Ice Ice Baby에 무단으로 샘플링한 사건도 유명하다. 브라이언 메이는 처음엔 가볍게 넘어갔지만 차트 1위를 달성하자 가볍게 넘어갈 일이 아니라 생각했는지, 특급 변호인들을 대응해 법적 소송을 걸었단 이야기가 있다. 결과는 막대한 합의금을 물었고 크레딧에 퀸 멤버들과 보위가 같이 올라가게 되었다.

그런데 2017년 바닐라 아이스가 새로운 썰을 풀었는데 이는 Under Pressure의 권리를 자신이 구매했다는 것. 이렇게 한 이유는 퀸+보위의 소송을 감당하는것보다 곡을 사는게 훨씬 쌀거라 판단해서(...). 다만 퀸의 대리인은 해당 주장은 부정확하며 편곡에 관한 권리를 나눠가진거라고 코멘트했다.

이곡은 프레디 머큐리가 잘 소화하는 노래 중 하나이기도 하다. 프레디 머큐리 라이브 스타일대로 가성부분을 진성으로 처리해 부르는데[13] 컨디션이 안좋은 공연에서도 나쁘지 않게 불러낸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저조한 목상태인 웸블리 둘째날 공연에서도 이 곡은 잘 부른 편. 심지어 컨디션이 완전 최악이었던 84년 런던 라이브에서 가성을 사용해 4옥타브를 찍기도 했다.


3. 가사[편집]




Under Pressure

압박감

파일:Queen logo.png파일:bowie_logo.png

4. 기타[편집]



해피 피트 2에서 P!nk가 커버한 버전이 사용되었다. 해피 피트 2 자체는 명작이었던 1편에 비해 평가가 매우 나쁘지만 이 장면만큼은 명장면으로 회자되고 있다.


위 해피 피트판은 현대증권 able 광고에서도 사용됐었다. 단, 초반부 베이스를 대체하는 펭귄 목소리는 다른 사람이 따로 냈다. 이후 후속편에서는 Somebody To Love와 I Was Born To Love You를 사용했다. 위 노래가 국내 최초로 CF 광고에 쓰인 것이 위 현대증권 광고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으나, 실제로는 그 전에 OCN 광고에 이미 쓰인 적이 있다.


아메리칸 갓 텔런트에서 유명한 Puddles Pity Party 도 불렀다.

영화 배틀트립 투 그리스에서 경비행기를 훔쳐서 달아나는 장면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영화 에서는 극장이 붕괴되어 공연이 취소된 절망적인 상황에서 다시 심기일전해서 공연을 준비하는 버스터 문과 가수들의 모습과 함께 나온다. 압박감이 모두를 좌절시키지만 다시 일어나려는 극의 상황과 매칭이 되는 선곡.

영화 아토믹 블론드에서는 주인공의 진짜 정체가 밝혀지는 마지막 장면에서 흘러나온다. 스포일러 주의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는 라이브 에이드 이전에 프레디가 매니저 폴을 쫓아내고 빗속을 걸어가는 장면에서 나온다. 실제로 폴이 나간건 라이브 에이드하고도 한참 후지만 가사와 상황의 매칭이 굉장히 잘 된 영화적 각색이라 평가받는다.

영화감독 안드레아 아놀드가 무명시절 탑 오브 더 팝스에서 이 곡을 연주했을 당시 무대에서 백댄서로 선 적이 있다고 한다.


2023년에 개봉한 영화 애프터썬에서 마지막 부분에 사용된다.

[1] 차트1위에 가장 근접했던 노래들을 뽑자면 Radio Ga Ga(2위), I Want To Break Free, A Kind Of Magic, I Want It All (이상 3위)가 있다.[2] 흔히 입으로 소리를 내보면 "당.당.당. 다다, 다당"으로 표현하기도 한다.[3] 'Cool Cat'을 피처링 하기 위해 놀러왔다. 그런데 정작 피처링 버전은 앨범에 실리지 않았고 미국 프로모션 싱글로만 들을 수 있다.[4] 여기서 재미있는 일화가 하나 있는데, 존이 베이스 리프를 치다가 피자를 먹었는데 그 후에 까먹어서 시무룩해하고 있던 걸 로저가 기억해서 노래가 완성됐다고 한다.[5] Eagle Rock 때문에 퀸의 1981년 몬트리올 콘서트 영상이 대부분 재생이 불가능하다.[6] 정확히는 11월 24일 공연에서 먼저 연주되었다. 해당 영상은 11월 25일자 공연. 참고로 11월 24일 공연에서는 2절의 가성을 완벽히 소화하고 2분 33초 부분에서 3옥타브 레(D5)를 찍는다(!). 사족이지만 같은 24일자 공연에서 Somebody to love가 끝난 후 프레디가 관중들과 대화하던 중 디콘이 Under Pressure의 도입부 베이스 리프를 짧게 연주한다. 프레디의 "fxxx off"는 덤. [7] 참고로 Higher 부분은 Live Magic 버전의 오버더빙이다. 본래 영상에서는 Higher 부분을 높게 치지 않는다.[8] 그래서 아쉬운 대로 팬들이 웸블리 공연 영상과 보위가 프레디 머큐리의 추모공연에서 불렀던 영상을 짜깁기 한 것에 원본 음원을 합친 것들도 있다. 같이 라이브 할 기회는 있었는데 라이브 에이드에서 퀸 다음 순서가 보위였기 때문. 이때 보위는 미국 필라델피아 존 F. 케네디 스타디움에서 공연하는 믹 재거와 함께 녹음한 싱글 수록곡 'Dancing In The Street'를 부르려는 합동 공연을 위성으로 동시송출할 계획이였으나 당시의 기술 문제로 불가능해지며 서로 각자 공연했다.[9] 보위 자신이 작곡했기 때문에 Pin Up에 넣고 라이브 투어에서 자주 불렀던 모트 더 후플의 히트싱글 All the Young Dudes와는 대조적.[10] Outside 투어는 보위의 가장 실험적인 투어로, 1990년 이후 히트곡을 일절 부르지 않겠다는 보위 본인의 다짐에 따라 커버곡 히트곡은 물론 지기 스타더스트 시절의 곡들, 빌보드 1위 곡들까지 ("Heroes" 를 제외하고) 셋리스트에서 싹 없어지고 B사이드 곡들과 정규앨범에서도 숨은 곡들로만 공연한 곡이다. 그런 와중에 Under Pressure만은 프레디를 기리기 위해 연주한 것.[11] 솔로로 활동하는 뮤지션이며, 보위의 몇몇 곡들 라이브에서는 더블 보컬에 준하는 역량과 비중을 보여준다. 또한 보위 사후, 생전 한 번도 라이브에서 연주되지 못한 The Next Day와 Blackstar의 수록곡들을 솔로 라이브에서 이따금씩 라이브한다.[12] 퀸 + 폴 로저스 시절에는 가끔씩 부르다가, 아담 램버트가 객원 보컬로 가입하고 나서 모든 공연에서 이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13] 몬트리올 같은 일부 라이브에서는 몇몇 가사를 원곡 가성대로 부르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1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9:09:11에 나무위키 Under Pressur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