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판)

편집일시 :



꾸짖을 갈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2획



미배정





[1]


일본어 음독


カツ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hē, hè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1. 개요[편집]


'꾸짖을 갈'이라는 한자로, '꾸짖다'를 뜻한다.

과거 만화 등에서 할아버지 캐릭터가 아이들을 꾸짖을 때 쓰이는 표현이었으며, 무협 소설 등지에서 사자후를 외칠 때 쓰는 멘트로 유명했다. 사실 2020년대 이전에는 무협소설이나 사극 같은 장르를 제외하면 찾아보기 어려운, 대중적이지 않은 사어화된 표현이었으나, 2020년대에 근데 이제 뭐함?과 같은 걸출한 드립 짤방으로 인해 웹상에서 다시금 유행하고 있다.

2. 상세[편집]


뜻을 나타내는 (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찌 갈)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59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APV(口日心女)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공갈(喝)
  • 갈채(喝)
  • 갈취(喝)
  • 일갈(喝)
  • 전갈(喝) - 동물 전갈(全蠍)이 아니라 전언을 뜻한다.


3.2. 인명[편집]




3.3. 지명[편집]




3.4. 창작물[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꾸짖을 가)
  • (꾸짖을 견)
  • (꾸짖을 매)
  • (꾸짖을 질)
  • (꾸짖을 책)
  • (꾸짖을 타)
  • (꾸짖을 핵)
  • (꾸짖을 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갈색/굵은베 갈)
  • (다할 갈)
  • (더위먹을 갈)
  • 𩏌(말갈 갈)
  • (목마를 갈)
  • (벼이삭 갈, 벼이삭팰 알/걸)
  • (북 갈)
  • (불깐양 갈)
  • (비석 갈)
  • (비석/높을 갈)
  • (빠를 갈)
  • (수레소리 갈)
  • (오랑캐이름 갈)
  • (전갈 갈)
  • (푯말 갈, 산이름 흡)
  • 𥻉(흰쌀 갈)
  • (갈장 개)
  • (불친소 걸/건, 소이름 할)
  • (높이들/걸 게)
  • (불시 게)
  • (쉴 게, 탐할 개)
  • (더위먹을 알)
  • (보 알, 먼지 애)
  • (뵐 알)
  • (콧대 알)
  • (밥쉴 애)
  • (향기 애)
  • 𪑦(색바랠 얼)
  • 𦝲(가슴밑 예)
  • (급할 예, 비단찢을 알, 작은마음 열)
  • (어그러질 예)
  • 𩩲(뼈솟을 할, 어깨뼈 갈)
  • 𪘹(씹는소리 할)
  • 𥈎(애꾸눈 할)[2]
  • (흰빛 할)
  • 𩹄(오징어 해)
  • 𦩥(큰배 헐)
  • (개 호/갈/할, 으를 겁)
  • 𣎅(사흉의하나 환)
  • 𨉪(갈)
  • 𫕈
  • 𣨵
  • 𤣨
  • 𨃃


6. 여담[편집]


  • 일각에서는 "허!"라고 호통을 치는 것을 중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한 것이 이 한자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통시언어학적인 요소를 무시한 채 현대 관화 발음만을 기준으로 해석한 것으로서, 이 한자가 처음 쓰였을 상고 한어 시기의 음가는 /qʰaːd(꽈드)/로 재구되므로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호통과는 거리가 멀다. 물론 이 또한 당대 사람들이 호통치는 소리를 음차한 것으로 볼 수는 있겠으나, 현재로서는 명확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 중국어에선 "마시다"라는 동사로 쓰인다.


  • 무협 소설에서 사자후를 내뱉을 때 주로 쓰는 단어이다. 때문에 웹소설을 비롯한 장르문학계에서도 상당히 자주 사용되는데, 무협소설에서 한자병기를 많이 쓰기 때문에 갈이라는 발음 옆에 한자병기를 쓰는 것이 거의 클리셰화되었다.

  • 넨마스터의 스킬 중 하나인 사자후[3] 시전시 나오는 한자가 바로 이 한자다. 던파 유저 출신인 레바의 레바툰에서도 많이 나오는 한자다.

  • 불교 용어로 사용될 때는 이라고 읽는다. 문서 참조.
[1] (어찌 갈) 자의 아랫부분이 匃의 형태가 아닌 匂의 형태이다.[2] (애꾸눈 할)의 동자[3] 여성 한정으로 태사자후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