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忌}}}꺼릴 기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7획
고등학교
-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い-む, い-まわしい
-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忌는 '꺼릴 기'라는 한자로, '꺼리다', '미워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훈을 나타내는 (마음 심)과 음을 나타내는 (몸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FC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山心(SUP)으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입산기호() : 산에 들어가 놓고 호랑이를 잡기를 꺼림. 자신이 있었지만, 목적한 바를 당하면 뒤로 내뺀다는 의미.
  • 호질기의() : 병을 의원에게 드러내기를 꺼리며 숨긴다는 의미로, 결점을 계속해서 보여주지 않으며 충고를 듣지 않는다는 의미. 휘질기의(疾忌醫)라고도 함.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꺼릴 탄)


5. 상대자[편집]


  • (신령 령)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1:44:3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일에 지내는 제사를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