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 알리기에리(전함)

덤프버전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왕립 해군 군함
[ 펼치기 · 접기 ]
고속 어뢰정M,A,S 어뢰정
구축함 호위 어뢰정스피카급, 오르샤급, 아리에테급, 치클로네급
구축함알렉산드르 포에리오급, 카를로 밀레발로급, 팔레스트로급, 제네랄리급, 쿠르타토네급, 레오네급, 퀸티노 셀라급, 나자리오 사우로급, 투르비네급, 나비가토리급, 다르도급(프레치아급), 폴고레급, 마에스트랄레급, 알프레도 오리아니급, 솔다티급(*), 코만단티 메달리에 도로급(*)
잠수함발릴라급, 아르고나우타급, 아르키메데급, 시레나급, 페를라급, 아두아급, 브린급, 아르고급, 아차이오급, 마르첼로급, 로몰로급(*)
장갑순양함산 조르지오급
방호순양함니노 빅시오급(**)
경순양함콘도티에리급, 코스탄조 치아노급, 카피타니 로마니급(*), 타란토급, 에트나급E
중순양함프로젝트 1923년형, 트렌토급, 차라급, 볼차노, 프로젝트 안살도E, 프로젝트 안살도 초중순양함E
항공모함전함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 재건조 계획, 전함 임페로 재건조 계획, 아퀼라(*), 스파르비에로(*)
수상기모함주세페 미라글리아
순양전함1928년형(**), 1930년형(**), 1933년형(**)
전함쿠니베르티 17,000톤 노급(**), 단테 알리기에리(**), 프로젝트 페라티(**), 콘테 디 카보우르급, 카이오 두일리오급,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급(**), 리토리오급(*), 프로젝트 UP.41형E(*)
노획함순양함: 카타로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11파일:프랑스 국기.svg, FR12파일:프랑스 국기.svg
구축함: 프레무다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시베니코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류비야나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21파일:프랑스 국기.svg, FR22파일:프랑스 국기.svg, FR23파일:프랑스 국기.svg, FR24파일:프랑스 국기.svg, FR31파일:프랑스 국기.svg, FR32파일:프랑스 국기.svg, FR33파일:프랑스 국기.svg, FR34파일:프랑스 국기.svg, FR35파일:프랑스 국기.svg, FR36파일:프랑스 국기.svg, FR37파일:프랑스 국기.svg
잠수함: 프란체스코 리스몬도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안토니오 바자몬티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FR118파일:프랑스 국기.svg
기타 2차대전기 이탈리아 포획 함선
포함에리트레아 포함, 디아나 포함
(*) 표기: 해당 함급의 일부 또는 전부가 건조 중단된 함급
(**) 표기: 1차 세계 대전 전후 2차 세계 대전 이전 해체 및 계획 취소되었지만 편의상 틀에 넣은 함급
윗첨차E 표기: 수출용 함급, 취소선 표기: 계획만 및 취소된 함급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전함의 계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전함
12인치 주포 탑재
레지나 마르게리타급>



 

중간포 폐지/3연장 포탑 및 증기터빈 채용
단테 알리기에리



 

연장 및 3연장 주포탑 혼용 배치/속력 강화
콘테 디 카보우르급



 

부포 구경 강화
카이오 두일리오급



 

주포 구경, 방어력 및 속력 강화
프로젝트 페라티



 

방어력 및 속력 강화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급



 

신형 주포, 복합장갑 및 신형 방뢰구조 도입/속력 강화
리토리오급

순양전함
15인치 연장 주포탑 3기 탑재
OTO Livorno 1928>



 

주포탑 1기 및 부포 수량 증가/속력 강화
OTO Livorno 1930



 
기타
안살도 설계의 소련 수출용 전함
프로젝트 21>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리토리오급 기반 소련 수출용 전함
프로젝트 UP.4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talian_battleship_Dante_Alighieri_port_view.jpg
Classe Dante Alighieri

1. 개요
2. 제원
3. 활동
4. 특징
5. 매체에서의 등장
6. 모형화
7. 관련 링크



1. 개요[편집]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 전함은 1913년에 준공된 이탈리아 해군 최초의 드레드노트급 전함이다. 이탈리아 해군의 주적이던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해군에 대항하기 위해 건조하였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명칭의 유래는 시성 단테 알리기에리이다.


2. 제원[편집]


파일:p81lha1ak8r51.jpg
이전 함급레지나 엘레나급 전함
쿠니베르티 17,000톤 노급 전함
다음 함급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
기준 배수량19,500t
만제 배수량21,600t
전장168.1m
전폭26.6m
흘수선8.8m
보일러4축추진 파슨스 기어식 터빈, 보일러 23기
(7기는 중유 연소관, 16기는 혼소관)
출력32,190 마력
속도22 노트
항속거리10 노트로 약 4,800 해리 (8,900 km)
승무원970명
주포12인치(305mm) 46구경장 3연장 주포탑 4기(총 12문)
부포4.7인치(120mm) 50구경장 포 20문(2연장 포탑 4기, 포곽 12문)
76mm 40구정장 포 16문
어뢰450 mm 어뢰관 3기
측면장갑254 mm
주포탑장갑254 mm
부포탑장갑98 mm
갑판장갑38 mm
함교장갑305 mm


3. 활동[편집]


1909년에 기공된 단테 알리기에리는 1907년부터 설계가 시작되었던 바, 세계 최초로 3연장 포탑 단일배치함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건조 중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이 이에 맞불을 놓아 테게토프급 전함의 건조를 시작했기에, 이탈리아 해군은 본함의 동급함을 건조하지 않고, 대신 후속 전함급인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을 건조하게 된다.

파일:Italian_battleship_Dante_Alighieri.jpg
일종의 실험함이 되어버린 이 전함은 1차 대전중 이탈리아 해군이 별반 큰 전투를 시도하지 않은 점과 적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의 소극적인 대전략 탓에 별다른 전과를 거두지 못한체 종전을 맞이했고 전쟁이 끝난후 이탈리아의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는 1922년에 열린 제네바 경제 및 금융 회담 참석을 위해 그리고 1924년에 이탈리아의 두체 베니토 무솔리니가 팔레르모로 갈때 단테 알리기에리함을 타고 갔다.

하지만 1차 대전이 끝나고 이탈리아의 경제가 악화되었고 이탈리아 해군이 대규모 함대를 운용할 수 없게 되자 이탈리아 해군 제독 조반니 세치는 해군 예산을 맞추기 위해 1928년에 유지비 절약을 위해 전함 단테 알리기에리를 최종적으로 제적, 7월 1일에 해체된다.


4. 특징[편집]


무엇보다도 세계 최초로 3연장 포탑 4기를 탑재했다는 것이다. 이런 중무장은 본함의 전급이라고 할 수 있는 레지나 엘레나급이 당시 전함의 기준으로 봐도 약소한 무장인 12인치 단장포탑 2기(....)를 장비했던 데 대한 반동으로도 여겨진다. 실용적인 3연장 포탑을 세계최초로 보유했다는 것은 세계 전함사에서 무시못할 의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역시 기술력의 문제였는지, 신뢰도가 떨어졌던 것인지는 몰라도, 이탈리아 해군은 이후 함급인 콘테 데 카보우르급부터는 3연장 포탑과 2연장 포탑을 혼용해서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함급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비적층식 포탑 배치를 하였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전방과 후방으로 전개 가능한 포문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함의 주포인 1909년식 12인치 포는 나폴리에 지사를 두고 있던 영국 암스트롱사의 지원으로 개발 가능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는 열강치고 공업력이 꽤 떨어졌던지라, 꽤 오랜 시간을 들여 간신히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한다.


파일:BB-1-1.jpg
개장된 후의 단테 알리기에리
1차 대전이 끝나고 1923년에 삼각 마스트와 3번 포탑에 항공기 이륙용 갑판을 장착했으며, 선교와의 연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앞쪽 굴뚝을 더 높게 만들었고 1924년에 최대 26,000미터의 범위를 가진 새로운 사격 통제 장치를 시험했다. 새로운 삼각 마스트는 무게에 비해 충분히 견고하지 않았지만, 사격 통제 장치 자체는 성공적인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 장치는 콘테 디 카보우르급 전함에 설치되었다


5.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월드 오브 워쉽에서 이탈리아 정규 트리 4티어 전함으로 등장한다.

워 썬더에서는 이탈리아 대양해군 트리 5랭크로 등장한다. 성능은 무난한 편이지만 제일 큰 문제는 이탈리아에 전함이 이놈밖에 없다는 것. 따라서 덱을 짤 수 없는 관계로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어거지로 순양함들과 묶어 쓴다면 몰라도.

전함소녀에서 등장한다

6. 모형화[편집]


  • 1/700
    • Armo
2018년 출시된 제품이다. 1913년 사양을 재현하고 있다.


7. 관련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20:10:16에 나무위키 단테 알리기에리(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