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레이(2012년 태풍)

덤프버전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경과
3. 기록
4. 피해


1. 개요[편집]




2012년 태풍
제9호 사올라제10호 담레이 → 제11호 하이쿠이

2012년 제10호 태풍 담레이
위성 사자파일:1280px-Damrey_2012-08-02_0245Z.jpg
진로도파일:1210track.png
활동 기간2012년 7월 28일 21시 ~ 2012년 8월 3일 21시
영향 지역중국, 대한민국, 일본
태풍 등급1등급[JTWC]
10분 등급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중형(직경 850km)
최저 기압965 hPa
최대 풍속1분 평균41 m/s
10분 평균36 m/s

2012년 제10호 태풍 담레이는 7월 28일 21시경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동남쪽 부근 해상 (26.0N, 147.1E)에서 열대폭풍(TS)으로 발달하며 태풍으로 명명되었다. 이 태풍은 발생부터 소멸까지 북태평양 고기압의 남서쪽 주변부를 따라 계속 서북서진하는 진로를 보였다. 일본 가고시마현의 다네가 섬을 통과한 후 제주도 남해상을 지나면서 SSHS 기준 1등급 태풍으로 발달하여 전성기를 맞이하고, 중국 롄윈강 시 일대에 상륙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남해안과 제주도가 직접 영향권에 들어갔다.


2. 경과[편집]


발표 시각1분풍속10분풍속SSHS 등급JMA 등급
7월 28일 21시20kn35kn열대요란
7월 29일 3시20kn35kn
7월 29일 9시30kn40kn열대저기압
7월 29일 15시30kn40kn
7월 29일 21시35kn40kn열대폭풍
7월 30일 3시40kn40kn
7월 30일 9시40kn40kn
7월 30일 15시45kn40kn
7월 30일 21시45kn40kn
7월 31일 3시35kn55kn
7월 31일 9시35kn50kn
7월 31일 15시45kn55kn
7월 31일 21시45kn55kn
8월 1일 3시55kn55kn
8월 1일 9시60kn55kn
8월 1일 15시65kn55kn1등급
8월 1일 21시65kn55kn
8월 2일 3시70kn50kn
8월 2일 9시65kn50kn
8월 2일 15시75kn60kn
8월 2일 21시65kn70kn
8월 3일 3시55kn60kn열대폭풍
8월 3일 9시-50kn소멸
8월 3일 15시소멸 및 감시 종료


3. 기록[편집]


순간최대풍속(m/s)
공식제주고산 25.1 제주 19.6 서귀포 16.1 성산 16.0
경남 남해안창원 15.0
전남 서해안/내륙진도(첨찰산) 20.6 흑산도 18.5 목포 13.4 영광 12.0 해남 11.3 광주 10.3
전남 남해안장흥 17.3 완도 15.7 광양 15.4 여수 13.9 강진 13.7 순천 10.8 보성 10.2
비공식제주가파도 30.8 윗세오름 28.4 서광 25.6
경상매물도 23.8
전라고흥도화 21.5


4. 피해[편집]


한중일 3국에 피해가 발생했으며 1994년 태풍 엘리와 진로가 비슷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담레이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담레이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4:17:18에 나무위키 담레이(2012년 태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