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C4I 체계 구축 과정 (r26판)

편집일시 :



1. 개요
2. 특징
3. 육자 C4I 체계 구축 과정
3.1. 시스템 구성
3.2. 기술적 성능
3.3. 다중 정보 하위 시스템
3.4. 전장 지역 제어 하위 시스템
3.5. 서비스 지원 하위 시스템
4. 다청 C4I 체계 구축 과정
4.1. 해상 전투 부대의 자동 지휘 실현 과정
4.2. 완벽한 감시 정찰 시스템 구축 과정
5. 강망 C4I 체계 구축 과정
6. 대만의 C4I 체계 구축 성능



1. 개요[편집]


Hengshan Command Post의 지하 터널에 있는 국방부 지하 형산 시스템에 조립되었으며 건설은 1980년대 초에 시작되어 1992년 4월에 완료되었으며 형산 시스템은 대만 국방부의 전략적 지휘 센터이자 대만 군대의 전략적 자동화 지휘 및 통제 센터이며 주요 임무는 직원 본부가 지휘 결정을 내리도록 돕는 것이다.
여기서 하위 시스템이 호환이 되는 것은 육자 C4I 체계와 다청 C4I 체계 그리고 천망 C4I 체계가 연동이 되어 움직이며 전 중국의 탐지 및 공격 징후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2. 특징[편집]


국방부 및 형산 전쟁 상황 정보 관리 시스템이며 타이베이 국방부 지휘소 지하에 있어 대만군 C3I 시스템의 핵심이자 정보 수집 센터와 합동 작전 지휘 센터이며 다양한 서비스 및 무기, 극장 및 국방 본부의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하여 이 시스템은 1980년대 초에 구축되었고 1990년 7월에 실전 배치되어 사용하고 있다.
전투, 인원, 물류 및 다양한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특수 컴퓨터, 데이터 처리 및 디스플레이 장비를 통해 참모 본부는 다양한 서비스 및 무기 유닛, 다양한 극장 및 국방 본부와 연결되어 대만 군대 전체의 정보 전송 및 명령 조정의 자동화를 실현하고 있다.
정보전에서 컴퓨터 바이러스 소프트 킬의 마비와 물리적 파괴 하드 킬의 마비를 막기 위해 대만의 명령 메커니즘 대만 국방부는 바이러스 침입 기회를 줄이고 장거리 조기 경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시스템 장비 손상으로 인한 명령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 체계가 분산된 설계 방법을 사용하며 통제 능력은 해커나 바이러스가 인터넷을 통해 대만의 중요 정보 시설을 직접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대만의 군사 네트워크는 작전을 위해 물리적 격리를 채택했으며 국방부는 해커 공격 및 방어, 컴퓨터 바이러스 위기 대응 능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침입 탐지 메커니즘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Sina 뉴스 기사


3. 육자 C4I 체계 구축 과정[편집]



3.1. 시스템 구성[편집]


육자 시스템에는 2개의 네트워크 호스트, 30개의 컴퓨터 네트워크 워크스테이션, 3개의 중국어 및 영어 워크스테이션, 3개의 중국어 및 영어 워크스테이션이 있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1991년 6월 중간 규모의 네트워크 온라인 숙제는 개발 완료되어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육군 본부는 1998년에 정보 센터를 설립했으며 130개 이상의 하위 시스템이 있어 각 전장 사령부, 국방부, 육군 사단 및 여단 이상에 하위 시스템이 구축되어 향후 대대급 부대로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타이페이 형산 사령부 벙커에 있는 육군 본부에 위치한 육자 C3I 시스템의 일반적인 부분에 더해 타이완 동부 화동 제2사령부인 펑후 제1사령부에도 위치해 있고 세번째는 대만 북부 중리의 룽강 제3사령부, 대만 남부 가오슝의 치산 제4사령부, 타이중 중싱링 제5사령부, 진먼과 마츠 방위 사령부가 하위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Sina 뉴스 기사


3.2. 기술적 성능[편집]


육군 정보 자동화 시스템으로도 알려진 육자 C3I 시스템은 다중 지능 및 자원 하위 시스템, 전장 제어 하위 시스템 및 서비스 지원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대규모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적의 상황, 준비 능력, 기지 배치, 무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장비, 전투 계획, 군수 지원, 전장 시설 등의 정보를 포함과 동시에 정보 전송, 다양한 계획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3.3. 다중 정보 하위 시스템[편집]


사단, 여단 및 대대 수준의 정보 장교가 사용하며 이 시스템은 해양 순찰 지뢰 상황, 형산 해상 상황, 형산 항공 상황, 전방 관측자 정보 데이터, 육군 정보 데이터 및 상상 된 적 군사 상황과 같은 다양한 정보 소스를 통합하였다.
다중 지능 정보 시스템에는 지능 센터 자동화 하위 시스템, 날씨 통합 하위 시스템 및 수치지도 지원 하위 시스템이 포함되며 그중 지능 센터 자동화 하위 시스템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었다.


3.4. 전장 지역 제어 하위 시스템[편집]


사단, 여단 및 대대 수준의 전투 사단 트레이너가 사용하며 이 시스템은 지휘관이 플랫폼의 각 매개 변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와 리소스를 통합하고, 전투 명령, 행군 일정, 검색 일정, 포병 위치 점령 일정, 공격 일정 및 방어 일정을 작성하고 운영 투명도 맵을 작성한다.
병력 이동 경로의 거리 측정, 전투 명령 및 투명도를 하위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위 유닛으로 다시 전송, GPS 및 GSM을 사용하여 지상군 역학 파악, 실시간 정보 요원 및 전투 피해 데이터, 실시간 물류 자원의 시간 조회가 가능하다.


3.5. 서비스 지원 하위 시스템[편집]


인사 기능, 물류 기능, 상태 조회 기능, 코드 입력 기능, 5단계 에이전트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기존 인원 및 전투 피해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 기존 연료 및 전투 피해 입력 인터페이스, 기존 탄약 전투 피해 입력 인터페이스인 기존 무기와 전투 피해 인터페이스는 효과적으로 임무를 완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신속하게 부대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부대의 임무를 관리할 수 있다.출처


4. 다청 C4I 체계 구축 과정[편집]



4.1. 해상 전투 부대의 자동 지휘 실현 과정[편집]


다청 지휘 센터는 타이페이의 해군 사령부 전투 센터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보 수집 및 처리 시스템, 명령 및 제어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세가지 시스템으로 나누고 있다.
중앙 제어 컴퓨터, 전투 상황 분석 콘솔과 전투 상황은 3개의 시스템으로 구분되며 디스플레이 콘솔 및 제어 콘솔과 같은 다청 시스템 명령 및 제어 장비로 구성하고 있어 지휘센터는 해군 사령부 작전 센터에서 전구작전센터, 해군 연락단, 중거리 레이더 스테이션, 기술 정찰 시스템, 해안 기반 미사일에 이르기까지 지휘, 통제, 통신 및 정보의 통합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전투함 또한 국방부의 형산 전반 시스템, 육군의 육자 지휘 시스템, 공군의 강망 시스템 및 다양한 전구 및 방위와 네트워크화하여 이 시스템을 통해 대만 해협과 연안 지역의 군사 역학을 파악하고 해협의 해상 및 공중 목표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지휘 참모부는 참모가 상황을 판단하고 대처하기로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레이더 스테이션 데이터, 미사일 기지 데이터, 주요 항구 기지의 접안 지도 및 방공 책임 군함, 파견대 및 함대 역학 및 임무 데이터와 같은 전략 데이터 및 지구 및 다양한 지역의 최신 기상 데이터를 통해 다청 시스템의 데이터 링크, 중국어 및 영어 명령 및 문자는 기밀로 신속하게 전송될 수
있으며 평시 선박의 무선 무음 구현을 지원할 수 있다.
동시에 무기 시스템을 연결하여 초수평선 표적에 대한 조기 경고를 제공하고 선박 대 해안 통신 상태를 표시 및 제어하여 다청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전투 상황에서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대만, 펑후, 진먼 및 말레이시아 해역의 목표 역학을 모니터링하고 해군 및 해안에 대한 전반적인 해군 전쟁의 지휘 및 통제를 구현할 수도 있다.


4.2. 완벽한 감시 정찰 시스템 구축 과정[편집]


다청 정보 정찰 시스템은 해안 기반 관측 및 통신 시스템, 기술 정찰 시스템 및 선박 탑재 레이더 정보 탐지 시스템의 3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며 육상 관측 시스템의 주요 임무는 해상 표적에 대한 정찰, 수색, 감시, 입출항 및 선박의 항행이며 대만 해군의 해안 기반 통신 시스템 사령부는 41개의 레이더 스테이션과 6개의 레이더 중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21개의 레이더 스테이션은 대만 본토에 20개는 펑후 및 외부 섬에 배치한다.
대만 해군 관측 레이더 시스템은 주로 해상 및 저고도 표적에 경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경보의 초점은 대만 해협의 주요 수로와 해협 양측의 주요 항구에 있으며 따라서 관통 레이더 기지의 배치 원칙은 해협에 들어오고 나가는 해상 및 저고도 표적에 대한 적시 탐지 및 지속적인 추적 및 모니터링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대만 해군은 항상 중국 해군을 주 전투 목표물로 삼았기 때문에 관측 레이더를 배치하여 본토함과 저고도 목표물을 면밀히 감시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삼고 있어 이 시스템은 강력한 모니터링 기능을 갖추고 있어 본토 해군 함정의 입출항 및 항해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공군 관리 및 보고 부대에 파견된 원격 작전팀이 해상 및 항공 레이더 정보를 조정하는 책임이 있다.
공군 경보 수색 레이더를 사용하여 해상 표적을 탐지하는 주요 임무는 해상 표적의 역학을 검색 및 모니터링하고 해상에서 입항 및 항행선을 탐색하는 것이며 선박용 레이더 탐지 시스템은 대만 해상 및 방공 조기 경보 탐지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으로 연안 방어 레이더와 함께 대만 전역의 해상 방공 조기 경보 탐지를 실현하여 광활한 해역과 해협의 공중 목표물을 감시한다.
선상 레이더는 총 120여 대를 탑재하고 있으며 이중 약 50여 대의 대공 수색 레이더는 주력 구축함과 호위구축함 등에 탑재하고 있어 약 70여 대의 해상 수색 레이더는 구축함과 호위함에 주로 장착되고 일부는 상륙함과 소형 고속정에 장착된다.
대만 해군의 기술정찰체계는 북쪽의 동해에서 남쪽의 태평양에 이르는 대만 주변 해역의 무선 통신과 레이더 신호에 대한 감시 범위가 넓고 감시 능력이 강해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우리 군함의 입출항 및 항해를 제어하며 페리의 상태는 우리 해군 함정의 활동과 임무를 미리 알릴 수 있어 다청 지휘 체계는 기본적으로 육상, 선박, 항공기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과 해상 전투 정보의 정보 공유 및 통합 지휘 통제를 실현한다.출처


5. 강망 C4I 체계 구축 과정[편집]


강망 C3I 체계는 타이베이 공관산 지하 사령부에 위치해 있으며 펑후, 화롄, 핑둥, 가오슝 등에 5 개의 군단급 사령부와 대만, 펑후, 진먼, 말레이시아에 강망 시스템이 장착한 레이더는 1980년대 중반의 고급 수준을 가지고 있다.
주요 모델에는 미국산 AN/FPS-117, HADR 및 기타 레이더가 포함하며 또한 통신 측면에서 대만 군은 5개의 유선 통신 허브 스테이션, 3개의 마이크로파 통신 네트워크, 2개의 총 마이크로파 통신 네트워크 및 4개의 위성 지상국을 보유하고 있다.
강망 시스템은 대만 공군의 전투통제센터이자 대만의 방공 및 공군 우월성의 중추이며 홍콩의 Asia Weekly는 Taiwan Air Force Nerve Center Revealed를 발간하여 내부 정보를 공개합니다.
강망 시스템은 대만 공군 작전 통제 센터에 속하면 강력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지휘 센터는 공군 작전 통제 센터인 타이베이시 맨션의 벙커에 존재하고 있으며 강망 시스템에는 항공 감시, 표적 식별 및 무기 제어의 세 가지 작업이 있으며 항공 감시 측면에서 강망은 대만 방어 구역과 중국 본토 해안에서 250해리 이내에 있는 항공 표적의 감시 및 정찰을 담당한다.
이 시스템은 3대의 주요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56개의 통제 지휘관을 통해 15개의 공군 레이더 위치, 참모 본부 전투 상황 센터, 해군 작전 센터에 연결하며 육군 미사일 위치, 공군 포병 전투 센터, 민간 항공 통제 센터 및 공군 비행 기지는 지휘, 통제, 통신 및 정보를 위한 지휘, 통제, 통신 및 정보 작전 시스템을 형성한다.
방공전투지휘관제소가 24시간 1초간 지속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주로 대형 컴퓨터 화면에 수동 간판이 추가되어 표시하고 대만 공군은 현재 대만의 미래 방공을 위한 2세대 부대를 구축하는 주요 임무와 함께 강망 계획의 2단계를 수행하고 있다고 한다.
천궁 지대공 미사일 위치와 PAC-3 미사일 위치, IDF 전투기, F-16V 및 프랑스 Mirage-2000 전투기, 방공 임무 역할을 하는 모든 전투기 및 미사일 기지도 시스템에 포함하였다.
강망에는 15개의 방공 레이더가 있으며 그중 Dahanshan Radar Station과 Leshan Radar Station은 해발 수천 미터 높은 산에 있으며 지상 정찰 범위의 범위는 지형에 의해 쉽게 제한되고 초저고도에서 바다를 지나가는 항공기를 감지하기가 쉽지 않아 여전히 레이더 사각 지대가 있다.
미국에서 구입 한 E-2T 항공 조기 경보기 4대는 방공 정찰 능력을 강화하고 사각 지대를 피하며 방공 조기 경보와 시간을 위해 노력할 수 있게 하였으며 현재 이 조기 경보기는 강망 C3I 시스템에 연결되어 대만의 방공 조기 경보 시간을 늘렸으며 정찰기 및 수색기의 활동도 기존 250해리에서 몇 배로 확대되었다.Sina 뉴스 기사


6. 대만의 C4I 체계 구축 성능[편집]


대만의 C4I 체계의 구축 성능을 보자면 상당히 1990년대 치고는 상당히 성능이 좋으며 다만 스텔스 전투기가 아니라는 점에서 상당부분 떨어지는 면이 많으나 사실 현재 미국에서 지원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미국에서 기술권을 사들인 베라 레이더나 혹은 동일한 성능을 가진 레이더를 중산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현재 대만은 J-20 전투기에 대항할 목적으로 상당부분을 펑후섬이나 혹은 대만 본토의 공군 기지에 배치되고 있다는 팩트이며 이것이 보도에 나가자 미국은 크게 심기가 불편하였으며 추궈정 국방부장은 상당히 노하여 대부분의 관련자들을 문책하였다는 보도가 있었다.기사
이것을 바탕으로 중국이 침공하여 온다면 대부분 5분안에 반응이 나올 것이며 특히 러산 기지에 있는 미국 기술자와 이에 관련된 미군들이 상당부분 도와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천궁-3ER 지대공 미사일과 천궁-3 지대공 미사일, PAC-3 ERINT 지대공 미사일 등 상당부분이 DF-17이나 혹은 DF-21을 향하여 요격에 들어갈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 사전에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