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 전사 (r2판)

편집일시 :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1. 설명[편집]



1.1. 원작[편집]


파일:RocketWarrior-JP-Manga-DM.png
한글판 명칭로켓 전사
일어판 명칭ロケット戦士(せんし
영어판 명칭Rocket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전사족15001300
로켓으로 변형하여 적에게 데미지를 준다.

원작 배틀 시티 편부터 죠노우치 카츠야가 사용.

공격시에는 '무적 모드'라 불리는 미사일 형태로 변형되는데, 이 상태에서 공격하면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지속적으로 1500 감소시키는 능력이 있다. 약체화의 변동폭이 꽤 큰 편이라 제거 카드가 얼마 없는 원작에서는[1] 전투 보조로 애용될 만한 카드. 원작의 전투에서는 '몬스터에게 데미지가 발생하면 그 공격력 또는 수비력이 줄어들어 0이 될 경우 파괴된다'는 처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무적 모드가 된 이 카드는 데미지를 받지 않으므로,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는 것으로 취급되었다. OCG 효과로 등장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 효과를 재현하기 위해 소모전이라는 오리지널 카드를 사용했다.

첫 등장은 카지키 료타와의 듀얼에서지만 단순히 벽 몬스터로 나서서 파괴되는 것이 끝이었으며, 마리크 이슈타르에 의해 세뇌된 후 무토우 유우기와 치룬 듀얼에서부터 본격적으로 효과가 활용되었다. 유우기가 꺼낸 붉은 눈의 흑룡공격력을 900으로 만들었다. 이후 배틀 시티 결선에서 어둠의 마리크와의 듀얼 중에도 사용되어 지옥시인 헬포에머의 공격력을 깎아내렸다. 다만 그 뒤로는 다시 효과가 별로 사용될 기회도 없이 그냥 벽 몬스터로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배틀 시티 결선 편 후일담 편에서는 공원에서 듀얼하던 꼬마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이후 릴리스되어 마찬가지로 원작에서 죠노우치가 사용한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소환했다. 또한 도마 편에서는 바론전에서 죠노우치 카츠야가 발동한 헤르모스의 발톱과 합체하여 로켓 헤르모스 캐논이 되기도 했다.

그 유명한 폭☆살의 희생양이 된 몬스터이기도 하다.

1.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편집]



한글판 명칭로켓 전사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ロケット戦士(せんし
영어판 명칭Rocket Warrior
일반 몬스터
효과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
레벨소환마족종족공격력수비력
5[2]흙마족전사족15001300
로켓의 스피드로 다가와 검을 휘둘러 두동강 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
적의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워다운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1.3. OCG[편집]


파일:card100024664_1.jpg
>
한글판 명칭로켓 전사
일어판 명칭ロケット戦士(せんし
영어판 명칭Rocket Warrior
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전사족15001300
①: 자신 배틀 페이즈 중,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에 공격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한다. 공격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내린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플레이버 텍스트

자신 턴에만 발휘되는 전투 파괴 내성 및 컨트롤러의 데미지를 0으로 하는 지속 효과와 자신의 공격 대상을 데미지 계산 후 약체화시키는 유발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물론 현 환경에서 이런 카드 쓸 바에는 그냥 제거카드로 날리는게 이득이라 아무도 안쓴다.

원작에서는 공격시에 로켓 형태로 변형했던 것과는 달리,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의 인게임 모델링에서는 수비 표시로 변경될 때 변형되는 것으로 나온다.


2. 관련 카드[편집]



2.1. 로켓 헤르모스 캐논[편집]


헤르모스의 발톱과 융합한 형태.


2.2. 로켓 파일더[편집]


이 카드의 원작 효과를 부여하는 장착 마법.


[1] 배틀 시티 룰상 상대 플레이어나 몬스터에게 직접 데미지를 주거나 파괴하는 마법 카드는 금지되어 있다고 언급된다.[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