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라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사산 왕가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르다시르 1세샤푸르 1세호르미즈드 1세바흐람 1세
사산 왕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바흐람 2세바흐람 3세나르세스 1세호르미즈드 2세
사산 왕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아두르 나르세샤푸르 2세아르다시르 2세샤푸르 3세
사산 왕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바흐람 4세야즈데게르드 1세샤푸르 4세호스로
사산 왕가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바흐람 5세야즈데게르드 2세호르미즈드 3세페로즈 1세
사산 왕가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발라시카바드 1세자마습카바드 1세
사산 왕가미흐란 왕가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호스로 1세호르미즈드 4세호스로 2세바흐람 추빈
사산 왕가이스파부단 왕가사산 왕가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호스로 2세비스탐카바드 2세아르다시르 3세
미흐란 왕가사산 왕가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샤흐르바라즈호스로 3세푸란도흐트샤푸르 샤흐르바라즈
사산 왕가이스파부단 왕가사산 왕가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페로즈 2세아자르미도흐트파루크 호르미즈드호르미즈드 6세
사산 왕가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호스로 4세파루카자드 호스로 5세푸란도흐트야즈데게르드 3세
사산 왕가
비정통비정통비정통비정통
페로즈 3세나르세바흐람 7세호스로 6세
페르시스: 아케메네스 · 페르시스

이란: 아케메네스 · 셀레우코스 · 파르티아



사산 제국 21대 샤한샤
𐭥𐭥𐭣𐭠𐭧𐭱𐭩 |발라시
파일:발라시.jpg
제호한국어발라시
중기 페르시아어𐭥𐭥𐭣𐭠𐭧𐭱𐭩
영어Balash
존호샤한샤
생몰 년도?~?
재위 기간484년~488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사산 왕조의 제21대 샤한샤.


2. 생애[편집]


발라시(Balāsh)는 중세 페르시아어인 왈루크쉬(Wardākhsh)의 신 페르시아어 용어이다. '힘(varāda)'과 gaš(잘생긴)의 합성어라는 설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불분명하다. 그리스어로는 블라시스(Βλάσης) 또는 발라스(Βάλας)로 번역된다. 그는 페로즈 1세의 동생으로, 483년 형이 에프탈 원정을 떠날 때 크테시폰에 남겨져 내정을 다스렸다. 484년 초 형이 에프탈과의 전투 도중 전사한 뒤, 에프탈은 사산 왕조의 영역 깊숙이 침투하여 약탈과 살육을 자행했다. 이때 수크라가 새 군대를 일으켜 메소포타미아까지 침투한 에프탈을 축출한 뒤, 샤푸르 미흐란 등과 함께 발라시를 샤한샤로 선출했다.

그 후 에프탈 왕 아흐순와르에게 사절을 보내 평화 협약을 맺자고 제안했고, 아흐순와르는 동의했다. 에프탈은 사산 왕조로부터 막대한 배상금을 받아내는 조건으로 전면 철수하기로 하였고, 일찍이 인질로 있던 페로즈 1세의 아들 카바드 1세를 크테시폰으로 돌려보냈다. 발라시는 카바드를 정적으로 여겨 처형하려 했지만, 수크라의 중재에 따라 감옥에 가뒀다. 하지만 카바드 1세는 기적적으로 탈출한 뒤 에프탈로 망명했다.

한편, 페루즈 1세의 명령으로 아르메니아에 투입되어 반란군을 진압하던 사산 왕조군은 샤한샤가 전사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철수하였다. 그 후 발라시는 반란군 지도자 바한과 화해하여, 그를 하자라펫(장관)으로, 나중에는 아르메니아의 마르즈반(총독)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샤한샤는 아르메니아인들을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하도록 강요할 권한이 박탈되었고, 아르메니아의 봉화 사원을 파괴하고 새로운 사원을 짓지 않기로 하였다. 사산 왕조의 사한사는 대리인을 보내지 않고 아르메니아인 중에서 통치자를 세우게 하였으며, 아르메니아 귀족들은 세습 영지 관할권을 회복하고 샤한샤의 가신으로서 가장 높은 지위를 얻었다. 얼마 후 페로즈 1세의 아들 자레가 반란을 일으켰지만, 발라시는 이를 진압하고 자레를 처형했다.

아랍 역사가 알 타바리에 따르면, 발라시는 황폐해진 마을을 복구하지 않은 우두머리의 책임을 물어 처벌했고, 에프탈의 침략으로 파괴된 일대를 복구하고자 노력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권세를 휘두르는 조로아스터교 사제들 및 귀족들과 마찰을 벌였다. 게다가 동로마 제국제노 황제는 사산 왕조가 눈에 띄게 쇠락한 걸 눈치채고 황금을 바치던 관행을 중단했다. 이로 인해 군대에게 지급할 급료를 마련할 길이 없어져서, 병사들의 지지도 잃어버렸다. 결국 488년 카바드 1세가 에프탈의 지원을 받으며 크테시폰으로 진격했을 때, 그는 속수무책으로 무너졌다. 그는 체포된 뒤 실명형에 처해졌으며,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이후 카바드 1세가 새 샤한샤로 등극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1:26:13에 나무위키 발라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