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덤프버전 :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ボールルームへようこそ
Welcome to the Ballroom
파일:BR_01.jpg
장르드라마
작가타케우치 토모
출판사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문화사
연재처월간 소년 매거진
레이블파일:일본 국기.svg 코단샤 코믹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산코믹스
연재 기간2011년 12월호 ~ 연재 중
단행본 권수파일:일본 국기.svg 12권 (2022. 11. 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권 (2022. 03. 04.)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4. 특징
6. 미디어 믹스
6.1. 애니메이션
6.1.1. 공개 정보
6.1.2. 음악
6.1.2.1. 주제가
6.1.2.2. 음반
6.1.3. 회차 목록
6.1.4. 평가
7. 수상
8. 기타
9.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일본의 드라마 만화. 작가는 타케우치 토모(竹内 友).


2. 줄거리[편집]


딱히 꿈도 없고 잘하는 것도 없는 평범한 학생 후지타 타타라가 프로 댄서 센고쿠 카나메를 만나 댄스스포츠를 시작하며 생기는 이야기.

댄스스포츠에서 의외의 먼치킨 재능을 발견한 타타라는 여러가지 사건을 겪으며 댄스스포츠의 매력에 빠져들게 되고, 동료 댄서들과 경쟁하고 도우며 점점 실력을 발전시켜 나간다.


3. 발매 현황[편집]


1권2권3권4권
파일:BR_01.jpg파일:BR_02.jpg파일:BR_03.jpg파일:BR_04.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5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6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07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7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2년 11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8월 28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4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09월 29일
5권6권7권8권
파일:BR_05.jpg파일:BR_06.jpg파일:BR_07.jpg파일:BR_08.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09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0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04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년 11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4년 11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년 02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10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03월 15일
9권10권11권12권
파일:볼룸9.jpg파일:볼룸10.jpg파일:볼룸11.jpg파일:볼룸12.jpg
파일:일본 국기.svg 2017년 06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2월 21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0년 01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10월 22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 04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03월 04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2년 11월 0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4월 25일

2011년 12월부터 월간 소년 매거진에서 연재를 시작했으며 단행본은 코단샤 코믹스 레이블로 발매되었다.

작가의 건강 사정으로 인하여 격월로 게재되거나 연재가 중단되는 일이 잦아서 공백 기간이 있다.


4. 특징[편집]


작화는 거칠면서도[1] 미려한 화풍의 그림체이며,[2] 작가의 뛰어난 표현력으로 춤에 대한 묘사가 박력이 넘치면서도 매우 화려하다. 또한 신체 근육 등에 대한 작가의 높은 이해력덕분에 이런 박력있는 모습이 한층 더 돋보인다.

이 만화의 특징중 하나는 춤출때의 감정을 과장한다는 것. 황홀감, 격정, 분노같은 감정들을 일반보다 강하게 표현하며, 큰 눈과 강한 선, 굵은 동세를 가진 그림체는 이런 감정을 더욱 더 강렬하게 전달한다.

한편 춤을 추는 상황을 연출할 때, 등장인물들의 주목도를 배분하는 연출도 재밌는 부분. 댄스스포츠라는 소재의 특성상 계속해서 한 컷에 2명을 같은 높이와 존재감으로 연출해야 하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특정인의 이야기를 풀어나가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불필요한 조연을 계속해서 넣어야한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고 한명의 존재감을 죽이고, 살리고를 반복하면 갑작스럽게 뛰쳐나오는 이미지만 나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작가는 조금씩 다른 동세와 환경요소, 시선의 이동, 자세와 구도, 표정과 대비등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커플들의 존재감을 유지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주목도를 전환시켜낸다.[3]

이외에도 두명의 동세가 겹치는 상황속에서 유려하게 컷간의 이동을, 리듬감을 잃지 않고 연출하는 부분도 주목해야 할 점.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미디어 믹스[편집]



6.1. 애니메이션[편집]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017)
ボールルームへようこそ
Welcome to the Ballroom
파일:볼룸 1쿨.jpg

2016년 말에 애니메이션화를 발표했다. 제작사는 Production I.G. 2017년 7월에 방영. 분량은 2쿨. 감독은 이타즈 요시미.


6.1.1. 공개 정보[편집]


하이큐!! 애니메이션 제작진이 만들어서인지[4] 그림체, 작화가 상당히 비슷하다.
애니메이션 오프닝 테마는 1, 2쿨 모두 TIGER & BUNNY, 벚꽃사중주 애니메이션, 혈계전선 애니메이션에 곡을 제공한 바가 있는 UNISON SQUARE GARDEN이 담당했다. 엔딩 테마는 역시 1, 2쿨 모두 성우이자 가수코마츠 미카코가 맡았다.

작가의 건강 악화로 인한 휴재로 인해 애니메이션이 원작보다 앞서 도민 대회 후반을 진행한다고 한다.
원작자에게 플롯을 전해받아 진행될 예정이며, 원작과 애니메이션이 다른 부분도 있다고 한다. 출저


6.1.1.1. PV[편집]

PV 제1탄

PV 제2탄

PV 제3탄

PV 제4탄

PV 제5탄


6.1.2. 음악[편집]



6.1.2.1. 주제가[편집]


6.1.2.1.1. OP1[편집]

OP1
10% roll, 10% romance
TV ver.
Full ver.
노래UNISON SQUARE GARDEN
작사타부치 토모야(田淵智也)
작곡
편곡UNISON SQUARE GARDEN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1.2.1.2. ED1[편집]

ED1
Maybe the next waltz
TV ver.
Full ver.
노래코마츠 미카코
작사Q-MHz
작곡
편곡Q-MHz
이토 츠바사(伊藤 翼)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사토 마사코
연출
작화타케나카 신고(竹中真吾)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1.2.1.3. OP2[편집]

OP2
Invisible Sensation
TV ver.
Full ver.
노래UNISON SQUARE GARDEN
작사타부치 토모야(田淵智也)
작곡
편곡UNISON SQUARE GARDEN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노무라 카즈야
이타즈 요시미
연출에조에 히토미(江副仁美)
작화감독치바 타카히로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1.2.1.4. ED2[편집]

ED2
Swing heart direction
TV ver.
Full ver.
노래코마츠 미카코
작사Q-MHz
작곡
편곡Q-MHz
스에미츠 아츠시(末光 篤)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사토 마사코
연출
작화타케나카 신고(竹中真吾)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6.1.2.2. 음반[편집]

10% roll, 10% romance
카탈로그 넘버TFCC-89623
발매일2017.08.09
발매사TOY'S FACTORY
노래UNISON SQUARE GARDEN
작사타부치 토모야[5]
작곡타부치 토모야
편곡UNISON SQUARE GARDEN
트랙곡명비고
110% roll, 10% romanceTV 애니메이션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쿨 오프닝 테마, 타이틀 곡
2RUNNERS HIGH REPRISEthe pillows의 곡을 커버
3flat song

Maybe the next waltz
카탈로그 넘버TFCC-89629
발매일2017.08.09
발매사TOY'S FACTORY
노래코마츠 미카코
작사Q-MHz[6]
작곡Q-MHz
편곡Q-MHz, 이토 츠바사[7]
트랙곡명비고
1Maybe the next waltzTV 애니메이션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쿨 엔딩 테마, 타이틀 곡
2Tornado voice
3한 여름 밤의 퍼레이드 (真夏の夜のパレード)
4Maybe the next waltz -Instrumental-
5Tornado voice -Instrumental-
6真夏の夜のパレード -Instrumental-

Invisible Sensation
카탈로그 넘버TFCC-89639
발매일2017.11.08[8]
발매사TOY'S FACTORY
노래UNISON SQUARE GARDEN
작사타부치 토모야
작곡타부치 토모야
편곡UNISON SQUARE GARDEN
트랙곡명비고
1Invisible SensationTV 애니메이션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쿨 오프닝 테마, 타이틀 곡
2스노우 루프(スノウループ)
3산타클로스는 정체중(サンタクロースは渋滞中)

Swing heart direction
카탈로그 넘버TFCC-89637
발매일2017.11.8
발매사TOY'S FACTORY
노래코마츠 미카코
작사Q-MHz
작곡Q-MHz
편곡Q-MHz, 이토 츠바사
트랙곡명비고
1Swing heart directionTV 애니메이션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쿨 엔딩 테마, 타이틀 곡
2Pina colada & Caipirinha
3Piece of Peace
4Swing heart direction -Instrumental-
5Pina colada & Caipirinha -Instrumental-
6Piece of Peace -Instrumental-


6.1.3. 회차 목록[편집]


  • 전화 각본: 스에미츠 켄이치(末満健一)
회차제목콘티연출작화감독액션
작화감독
총작화감독방영일
Heat.1小笠原ダンススタジオへようこそ
오가사와라 댄스 스튜디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타즈 요시미이타즈 요시미치바 타카히로
나구라 사토시
(名倉智史)
무코다 타카시
(向田 隆)
치바 타카히로2017.07.09.
Heat.2兵藤清春
효도 키요하루
시라카와 오구라
(白川巨椋)
무라타 마사히코
마모루 타이스케
(守 泰佑)
토미타 메구미
(富田恵美)
치바 타카히로
혼다 마사유키
(本田真之)
2017.07.16.
Heat.3ワルツを踊れ
왈츠를 추어라
노무라 카즈야
이타즈 요시미
에조에 히토미
(江副仁美)
타카하시 히데키
(高橋英樹)
이시카와 마리코
(石川真理子)
리앙 보야
(梁博雅)
혼다 타카유키2017.07.23.
Heat.4ダンサーズ・ハイ
댄서즈 하이
사토 마사코오리이 카즈마사
(折井一雅)
시모츠마 히사코
(下妻日紗子)
치바 타카히로
혼다 마사유키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07.30.
Heat.5パートナー
파트너
하라 케이이치이토가 신타로
(いとがしんたろー)
나구라 사토시
Heat.6ライン・オブ・ダンス
라인 오브 댄스
하라 케이이치
이타즈 요시미
이노카와 신타로
(井之川慎太郎)
이카이 카즈유키
사이토 마사카즈
(斎藤雅和)
츠쿠마 타케노리
(津熊建徳)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08.13.
Heat.7天平杯
텐페이 배
노무라 카즈야카마타 유스케
(鎌田祐輔)
우에다 미노루
(植田 実)
후쿠하라 마이
(福原麻衣)
오오시마 사다오
(大島貞生)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08.20.
Heat.8現実
현실
오쿠노 하루오
(奥野治男)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08.27.
Heat.9花と額縁
꽃과 액자
요시다 타이조
(吉田泰三)
이토가 신타로이시카와 마리코
오리이 카즈마사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09.03.
Heat.10ボルテージ
볼티지
키세 카즈치카리앙 보야-2017.09.10.
Heat.11評価
평가
이타즈 요시미
하라 케이이치
에조에 히토미나구라 사토시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09.17.
Heat.12出会い
만남
노무라 카즈야사토 마사코우에다 미노루
오리이 마사카즈
이시카와 마리코
치바 타카히로
혼다 마사유키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09.24.
Heat.13お見合い
맞선
하라 케이이치이토가 신타로우에다 미노루
오오시마 사다오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0.01.
Heat.14結成
결성
요시다 타이조무라타 나오키
(村田尚樹)
야마무라 토시유키
(山村俊了)
오오타카 유타
(大髙雄太)
이카이 카즈유키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10.08.
Heat.15じゃじゃ馬ならし
말괄량이 길들이기
사토 마사코에조에 히토미카타기리 타카히사
(片桐貴悠)
시미즈 나츠코
(清水奈津子)
치바 타카히로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0.15.
Heat.16四本足
네 발로
카마타 유스케
이타즈 요시미
카마타 유스케오리이 카즈마사
이시카와 마리코
요네카와 마이
(米川麻衣)
오쿠노 하루오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10.22.
Heat.17表現者
표현자
사토 마사코나구라 사토시
오오시마 사다오
우에다 미노루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0.29.
Heat.18背番号13
등번호 13
요시다 타이조이토가 신타로카타기리 타카히사
오가와 에리
(小川エリ)
아라키 미오
(荒木弥緒)
치바 타카히로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11.05.
Heat.19(ライバル
(라이벌
오쿠노 하루오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1.12.
Heat.20友達
친구
미츠나카 스스무이토가 신타로이시카와 마리코
오리이 카즈마사
요네카와 마이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11.19.
Heat.21(ドア
(도어
나카자와 신타로
(仲澤慎太郎)
나구라 사토시
우에다 미노루
오오시마 사다오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1.26.
Heat.22リーダーパートナー
리더 파트너
타나카 유이치에조에 히토미혼다 마사유키
오쿠노 하루오
요네카와 마이
아라키 미오
오오시마 사다오
리앙 보야혼다 마사유키2017.12.03.
Heat.23伝統と進化
전통과 진화
사토 마사코오리이 카즈마사
우에다 미노루
이시카와 마리코
치바 타카히로
시미즈 나츠코
무코다 타카시치바 타카히로2017.12.10.
Heat.24ボールルームへようこそ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타즈 요시미나구라 사토시
오쿠노 하루오
오리이 카즈마사
치바 타카히로
혼다 마사유키
무코다 타카시
리앙 보야
치바 타카히로
혼다 마사유키
2017.12.17.


6.1.4. 평가[편집]


회전과 인체묘사가 필수적이라 어려운 댄스 작화를 이타즈 요시미 감독과 치바 타카히로, 이가라시 유키, 키세 카즈치카, 노무라 카즈야, 미츠나카 스스무, 스기타 슈 같은 실력파 연출가와 애니메이터가 잘 살려서 댄스 애니메이션으로서 좋은 평을 받았다. 다만 화풍이 일반적으로 인기있는 스타일이 아니라 어려운 작화를 소화했음에도 좀 저평가 받는 경향이 있다.

애니메이션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가 잡지 '애니메 스타일 013'에서 호평했다.

유명한 에피소드로는 하라 케이이치 연출의 5화가 있다.


7. 수상[편집]


년도수상 내역순위비고
2013년일본 만화대상공동 2위신부 이야기와 동위
이 만화가 굉장해!남성 9위
2015년일본 만화대상6위


8. 기타[편집]


  • 2015년 12월호 42화 연재 이후로 장기간 휴재가 시작되었다.[9]

  • 2017년 2월호부터 연재가 재개된다고 했으나, 동년 여름 작가의 건강이 악화되어 몇 컷 연재하지 못 하고 사과문 개재가 떴다.




9.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2:10:44에 나무위키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연출 방법인지 특히 강조하는 장면에서 잔선이 많다. 20화 중반을 넘기면서 이 점이 좀 더 부각되는데, 초반엔 지금보다 좀 더 깔끔했다. 진행 흐름상 아직 초반이고 앞으로 더 많이 남았으니, 어떻게 변할지는 모르는 일.[2] 뭔가 비슷한 부류인지, 사람들이 신부 이야기모리 카오루 작가의 작품으로 착각하기도 한다.[3] 예를들어 heat42에서 치나츠가 팔로우를 시작할 때, 그 전까진 치나츠가 흰색-회색조의 등으로만 나타나며 의도적으로 검은색옷을 입은 타타라에게 시선을 유도, 자신은 시선에서 한걸음 물러나다가, 조금씩 타타라에게 흰색의 잔선을, 자신에겐 검은색의 잔선을 부여하더니 2컷가량의 단순간에 회색-검은색으로 연출된 뒤, 화면의 전면으로 드러나며 지금까지 물러났던 주목도를 자연스럽게 자신에게로 끌어올린다.[4] 캐릭터 디자인인 키시다 타카히로, 작화감독 치바 타카히로, 음악을 맡은 하야시 유키, 제작사인 Production I.G 모두 동일[5] 본 그룹 베이스[6] 타부치 토모야, 하타 아키, 쿠로스 카츠히코, 타시로 토모카즈라는 히트곡 제조기만 모인 괴물 같은 라인업을 자랑하는 프로듀싱 팀이다.[7] 코마츠 미카코의 싱글작업을 담당한 적이 있다.[8] 동 분기 또 다른 담당곡인 혈계전선 & 비욘드의 OP 싱글은 1주일 후인 11/15일에 발매한다.[9] 3권 작가 코멘터리에 "1화를 다 그리고 보니 자기가 생각하던 몸무게에 13kg가 빠져있었다"고 언급한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