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도봉02, 도봉03, 도봉04 (r1판)

편집일시 :

파일:도봉구 CI.svg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을버스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14px;"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 펼치기 · 접기 ]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파일:도봉02.jpg파일:도봉03.jpg
도봉02번.도봉03번.
파일:둘리버스.jpg
도봉04번.[1]
[1] 일부 차량은 둘리뮤지엄 광고가 붙어 있다.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공통
4.2. 도봉02번
4.3. 도봉03번
4.4. 도봉04번
4.5.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2번
기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종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강북구청)
종점
첫차06:00기점
첫차06:00
막차23:50막차00:08
평일배차3~10분주말배차6~10분
운수사명청록운수인가대수10대(예비 1대)
노선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우이성당 - 덕성여대후문·효문중고교 - 쌍문1치안센터 - 쌍문초등학교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수유역 → 수유중앙시장 → 광산사거리 → 이후 역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3번
기점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꽃동네)종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 강북구청)
종점
첫차05:30(평일) / 06:00(공휴일)기점
첫차05:38(평일) / 06:08(공휴일)
막차23:52막차00:08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5~25분
운수사명청록운수인가대수4대(예비 0대)
노선꽃동네 - 쌍문1동현대아파트 - 쌍문초등학교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수유역 → 수유중앙시장 → 광산사거리 → 이후 역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4번
기점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동익아파트)종점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강북구청)
종점
첫차06:00기점
첫차06:07
막차23:56막차00:08
평일배차10~15분주말배차15~25분
운수사명청록운수인가대수3대(예비 0대)
노선동익아파트 - 사거리슈퍼 - 쌍문1동주민센터 - 광산사거리 → 강북구청 → 수유역 → 수유중앙시장 → 광산사거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청록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km(도봉02번), 3.5km(도봉03번), 3.4km(도봉04번)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도봉02번, 도봉03번, 도봉04번)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4.1. 공통[편집]



  • 배차간격이 잘 지켜지지 않는 편이다. 3대씩 몰려서 오는 경우도 있다. 7~9시에는 예비차까지 투입되는지라 그나마 나은 편.

  • 예비차가 부족한지,[1] 차가 고장나면 그냥 없는대로 운행한다.

  • 주말 12~14시에는 운행사원 식사, 버스 가스충전 시간대이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길어진다.[2]


4.2. 도봉02번[편집]


  • 청록운수 소속 노선들 중 가장 수요가 많다. 그 중에서 덕성여대 통학 수요가 가장 많다. 그래서 배차간격이 청록운수 노선들 중에서 가장 좋다.

  • 2016~2018년식 디젤 그린시티, 2018~2019년식 CNG 그린시티[3]까지 다양한 차량으로 운행 중이다.

  • 불친절과 난폭운전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실제로 버스가 멈추고 나중에 타려고 하면 문을 열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 카트라이더 실사판. 물론 기사에 따라 다르지만 심할때는 손잡이 를 잡아도 소용없으니 되도록이면 자리에 앉도록 하자.

  • 인도봉 노선이다. 기점과 회차지가 모두 강북구이고, 중간 경유지가 대부분 도봉구이기 때문이다.


4.3. 도봉03번[편집]


  • 꽃동네 쪽에 눈이 오면 환승장까지만 운행한다. 고각이라 올라가기도 힘들다. 택배기사들도 올라가기 꺼려한다.


4.4. 도봉04번[편집]


  • 동익아파트 주변 주민들을 위한 노선이다.

  • 청록운수 노선들 중 신차의 비중이 가장 높다. 2016년 기준으로, 가장 오래된 차가 14년식 그린시티다.

  • 청록운수 노선들 중 유일하게 현대차만 운행되는 노선. 반대로 대우차만 운행되는 노선은 동사 도봉01번이다. 현재는 도봉01번에 현대 그린시티가 들어갔다. 디젤차는 1대 있다.


4.5.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2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8,375명-
2014년8,127명▽ 248
2015년8,065명▽ 62
2016년7,867명▽ 198
2017년7,239명▽ 628
2018년6,313명▽ 926
2019년6,316명△ 3
2020년4,032명▽ 2,284
※ 하차 인원 미포함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3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3,201명-
2014년3,123명▽ 78
2015년3,170명△ 47
2016년3,075명▽ 95
2017년3,086명△ 11
2018년2,974명▽ 112
2019년2,949명▽ 25
2020년2,433명▽ 516
※ 하차 인원 미포함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도봉0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2,567명-
2014년2,518명▽ 49
2015년2,496명▽ 22
2016년2,433명▽ 63
2017년2,339명▽ 94
2018년2,247명▽ 92
2019년2,222명▽ 25
2020년1,762명▽ 46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유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11:18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도봉0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 3161호가 청록운수 공동예비다. 이거 딱 1대.[2] 도봉02번을 예로 들면 우이동 내부까지 타는 승객이 없으면 공차로 빠르게 운행후 앞에 가스충전차량 종이를 끼우고 충전소로 원정을 간다.[3] 18년식은 청록운수가 3년만에 다시 뽑은 CNG차량이다.[4] 도봉02번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