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천선

덤프버전 :

1. 개요
2.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함북선 신학포역중봉역을 잇는 노선. 길이 14.4km.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철도 노선의 이름은,
  • 분기역의 이름을 따라서 짓는 경우나
  • 종착역의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다. 그게 아니라면
  • 두 지역을 이을 경우 지역명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짓는다던가,
  • 노선이 통과하는 해당 지역의 이름을 따서 짓는다던가...
  • 대표적인 케이스로 첫 번째는 강계선, 두 번째는 무산선, 세 번째는 백무선, 네 번째는 장진선이 있다.

하지만 세천선의 경우 이 모든 케이스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 노선의 특성을 생각해 보았을 때 한 가지 분명한 이유를 들 수 있다. 바로 중봉역흑역사화를 노리는 것.

국외에 제시하는 자료가 극히 적은 북한의 경우 내부의 상세한 사정을 제대로 알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데, 이 중봉역이 위치한 곳이 바로 회령 수용소 내부이고 북한에서는 이 수용소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있기 때문에 세천선이라는 이름으로 세천역이 종착역인 것처럼 자료를 속이려 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구글 어스가 등장한 건 불과 5년밖에 안 됐다. 실제로 대부분의 자료는 세천역까지는 기록하고 있지만 중봉역의 존재를 기록하는 자료는 거의 없다.

여하간 이름으로는 본의 아니게 상당히 특이한 케이스가 된 셈.

전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궤간 여부는 불명이지만 함북선에서 갈라져나가는 것을 볼 때 1435mm 표준궤로 추정해 볼 수 있다.


2. 역 목록[편집]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세천선 역 목록
역 명역간거리기점거리종점거리분기노선비고소재지
신학포新鶴浦기점0.014.4함북선함북 회령시
세 천細 川8.68.65.8
중 봉仲 峰5.814.4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5:29:23에 나무위키 세천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