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응우옌둑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태종 성종인종영종명종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헌종유종전폐제예종藝宗예종睿宗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제15대
후폐제순종소제간정제중광제
제16대
천경제
추존
영무왕 | 목조 | 영조 | 원조 | 태조 | 충무왕 | 흥도왕 | 황태백
비정통
쩐다이아이 | 쩐익딱



묘호없음
시호공숙황(恭肅皇)
쩐(Trần, 陳/진)
응우옌 둑(Nguyên Dục, 元昱/원욱)
부황명종(明宗)
모후헌자황후(憲慈皇后) 쩐씨(陳氏)
양자즈엉냣레
생몰기간1328년 ~ 1364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베트남 쩐 왕조황족으로 제5대 명종의 6남이자, 폐위된 황제 즈엉냣레의 양부이다.

사후 양자 즈엉냣레에 의해 황태백(皇太伯)으로 추존되었으나 황태백이란 칭호는 현 황제의 백부를 뜻하는 대명사로 세대가 지나면 유지될 수 없는 호칭이다. 따라서 도황고의 예처럼 기존의 호칭을 활용해 황으로 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생애[편집]


생전 작위는 공숙왕(恭肅王)으로 사치스러운 생활로 인해 부황 명종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황제의 자질이 없다고 간주되어 형 헌종(제6대)이 붕어한 이후에도 계승권을 얻지 못했다.

찐응우옌둑은 사치 뿐만 아니라 여자를 밝혀 양강(楊姜)[1]의 첩을 취하기도 했다. 또한 양강이 첩 사이에서 낳은 양아들 즈엉냣레에겐 황성인 쩐씨를 하사하고, 친자처럼 키웠으며 이후 1370년, 양자 즈엉냣레가 즉위하자 시호를 황태백(皇太伯)으로 추존했다. 묘호는 올리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43:32에 나무위키 쩐응우옌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우령(優伶, 연극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