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우/선수 경력/KIA 타이거즈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최형우/선수 경력

최형우의 수상 경력
[ 펼치기 · 접기 ]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2017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7 KBO 리그 4사구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7 KBO 리그 출루율왕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20 KBO 리그 타격왕

최형우의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fff [[KIA 타이거즈|KIA 타이거즈]] 등번호 34번}}}
이홍구
(2013~2016)
최형우
(2017~)
현역



1. 개요[편집]


최형우KIA 타이거즈에서의 활약상을 모아놓은 문서다.


2. 시즌[편집]



2.1. 2017 시즌[편집]



파일:17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17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2018 시즌[편집]


파일:18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18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2019 시즌[편집]


파일:19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19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2020 시즌[편집]



파일:20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2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후반기 맹타를 휘두르며 타격왕을 차지했다.

2.5. FA 2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FA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2021 시즌[편집]


파일:21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2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커리어 로우. 지금까지의 최형우답지 않게 부상에 신음하기도 했다.[1] 아마도 에이징 커브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릴 수도 있는 시즌.


2.7. 2022 시즌[편집]


파일:22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22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완전하진 않지만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시즌.

2.8. 2023 시즌[편집]


파일:23최형우.jp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최형우/선수 경력/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그야말로 나이를 거꾸로 먹고 있다. KBO 통산 최다 타점 1위 및 역대 최초 1500타점[2], KBO 통산 최다 2루타 1위 등 다수의 대기록을 세움과 동시에 작년의 이대호 그 이상의 모습[3]을 보이며 나성범 등 부상 선수가 많던 팀을 지탱하며 해결사 역할의 해주고, 베테랑으로 팀을 다독이고 있었지만.. 시즌을 20경기 정도 남기고 큰 부상을 당하며 아쉽게도 시즌아웃 되었다.

3. KIA에서의 기록[편집]


KIA에서의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 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2017KIA142514.34217636326120
(2위)
980107
(1위)
.576.450
(1위)
2018143528.339179
(4위)
3412510392373.549.414
(5위)
2019138456.300137311178665092
(2위)[4]
.485.413
(3위)
2020140522.354
(1위)
185
(4위)
37128115
(4위)
93075.590
(5위)
.433
(2위)
2021104373.23387151125552081.375.354
2022132454.264120271147155174.421.366
2023121431.302130271178164073.487
(5위)
.400
(3위)
KIA통산
(7시즌)
-------------
[1] 그게 골격의 부상이 아닌 눈의 부상이라 너무도 아쉬웠다.[2] 기존의 최다 타점 타이(1498타점) 달성 후 홈에서 투런 홈런으로 전입미답의 KBO 티그 통산 1500타점을 달성하였다.[3] 재밌게도 이대호의 은퇴 경기가 다가올 무렵에 이대호 같은 선수는 처음 봤다며 한 시대를 같이 뛴게 영광이라는 말과 함께 존경을 표하며, 본인은 '그런 성적을 내며 은퇴하진 못할 것 같다.'라는 말을 했었는데, 정작 이대호와 같은 연차인 올해 그 보다 뛰어난 활약을 하였다. 다만 9월의 부상과 손아섭의 분전으로 골든글러브를 수상하진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4] 볼넷 1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최형우 문서의 r24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최형우 문서의 r2417 (이전 역사)
최형우 문서의 r24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03:46:37에 나무위키 최형우/선수 경력/KIA 타이거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