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타우로스급 고속정

덤프버전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현대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경비정스카도브스크, PB-40, Po-2급, {마크 VI급}, 슬라뱐스크급
고속정켄타우로스급, 그리쟈-M급
미사일 고속정루한스크급, 프릴루키, {P-50U}
초계함볼로디미르 벨리키급, {헤트만 이반 마제파급}
호위함오타만 빌리R, 드니프로페트롭스크급 (크리박 I급)R, 세바스토폴 (크리박 II급)R, 헤트만 사하이다크니 (크리박 III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순양함우크라이나
소해함헤니체스크R, 체르니히우급CP, 체르카시급, {트라이파타이트급}
상륙정도네츠크급R, 스바토보급
상륙함LST코스티안틴 올샨스키급CP, 폴노시니급
항공모함바랴그
지휘함아무르급R
잠수함자포리자CP
USV/UUV시 베이비, 마구라-5, 마리치카, TLK-150, 소노봇-5
※ 윗첨자R: 퇴역/자침/격침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C: 노획된 함선
※ 윗첨자CP: 나포된 함선






파일:Centaur-class_landing_boats,_2018,_02.jpg
Броньовані 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катери проєкту 58503

1. 개요
2. 제원
3. 상세
4. 동형함 목록
5. 참고 링크



1. 개요[편집]


프로젝트 58503형 고속정(Броньовані 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катери проєкту 58503) 또는 켄타우로스급 고속정은 우크라이나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고속정이다.


2. 제원[편집]


구분돌격 고속정
만재배수량47톤
길이24.3m
4.8m
흘수선1m
추진체계해밀턴 워터제트 × 2
최대속력35노트
승무원5명
26~28명의 상륙 병력
무장기관총12.7mm HMG × 2
로켓40mm 로켓 발사기 × 2
80mm 로켓 발사기 × 2


3. 상세[편집]


켄타우로스급 고속정은 기존 선행 사업이었던 그리쟈-M급 경비정을 기반으로 하여 강 및 연안 초계 임무와 우크라이나 해병대의 상륙을 위한 함선으로 개발되었다. 최초 형식명칭 프로젝트 58181형 고속정(Броньовані 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катери проєкту 58181)으로 사업이 시작되었으나, 사업 변경 이후 형식명칭 프로젝트 58503형 고속정(Броньовані десантно-штурмові катери проєкту 58503)으로 변경되어 새롭게 본 함선이 탄생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도함이 2016년에 계약이 체결되어 본격적으로 건조가 시작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었지만 3월 기준으로 켄타우로스급은 아직 취역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동안 활약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2022년 5월 8일, 러시아군이 1번함 스타니슬라프가 즈미이니 섬 인근에서 격침되었다고 주장했다. 이후 격침 사실이 확인되었으며 우크라이나 해군 함정목록에서 제적되었다.


4. 동형함 목록[편집]


우크라이나 해군
함명함번선체 번호기공일진수일취역일퇴역일현황
1DSHK-1 스타니슬라프-010322016년 12월 28일2018년 9월 14일--2022년 5월 8일 즈미이니 섬 인근에서 격침
2DSHK-2 말린-010332016년 12월 28일2018년 9월 20일--활동 중
3DSHK-3-??2019년 2월 8일--해상 평가 대기 중
4DSHK-4------건조 예정
5-------
6-------
7-------
8-------

켄타우로스급 고속정은 총 8척 계획, 2척 보유 1척 건조 중, 5척 건조 예정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5. 참고 링크[편집]


wikipedia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4:10:00에 나무위키 켄타우로스급 고속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