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순이

덤프버전 :

코코순이 (2022)
KOKO SunYi
장르
다큐멘터리
감독
이석재
각본
이석재
제작
남기웅
투자
남기웅
촬영
김승욱, 이영재, 김대원, 한규석, 김희석
조명
장대전
편집
성동혁, 오태규, 김대영
음악
박정은
주제곡
이효리 - 날 잊지 말아요
동시녹음
한경혜
음향
조요셉
시각효과
하랑스튜디오
색보정
김현수
마케팅
임영주
애니메이션
유후용, 김다정, 이시호
자막
김수현, 이승협, 권미정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BS 미디어, 커넥트픽쳐스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커넥트픽쳐스, KT알파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8월 25일
상영 시간
125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415명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설정
6. 주제가
7. 평가
7.1. 평론가 평
8. 흥행
8.2. 기타 국가
9.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2022년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은 이석재[1]이다.


2. 예고편[편집]


티저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왜곡된 기록 감춰진 진실

모든 것을 알고 있는 그 이름 '코코순이'

1942년 5월, 조선군사령부의 제안으로 일명 파파상, 마마상 부부가 전국을 돌며 취업을 빌미로 부상 병사들을 돌볼 여성을 모집해 부산, 대만, 싱가포르를 거쳐 미얀마에 위치한 일본군'위안부' 수용소로 보낸다. 1944년 8월, 연합군과 중국군에 밀린 일본군과 붙잡힌 조선인 여성들은 연합국의 포로가 되어 통역도 없이 일어와 영어로 심문 받은 후 인도 각지로 흩어진다. 그리고 발견된 이들 조선인'위안부' 20명에 대해 기록한 미 전시정보국 49번 심문보고서에는 “조선인'위안부'는 돈 벌이에 나선 매춘부”라는 것. 20명 중 행적을 알 수 있는 단 한 명, '코코순이'라는 이름의 단서를 추적해 왜곡된 기록 속에 감춰진 진실을 밝힌다!

우리는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저들은 거짓을 말하고 있다!

출처: 다음 영화



4. 등장인물[편집]




5. 설정[편집]


파일:일본군 위안부로 끌려온 여성들.jpg

한국인에게 익숙한 위 사진의 출처가 된 미 전시정보국(OWI)의 49번 심문보고서의 주인공들인 미얀마 북부 미치나 지역의 조선인 위안부 20명 포로들 중 유일하게 행적을 알 수 있는 한 명인 '코코순이'의 행적을 추적하고, 보고서의 내용과 관련된 현장 답사, 증언 확보, 사료의 교차검증 등을 통해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며, 일본 극우측의 논리 소스가 된 존 마크 램지어나 유튜버 토니 마라노 등의 주장을 논파하는 과정을 담았다.


6. 주제가[편집]


주제가(엔딩곡): 이효리 - 날 잊지 말아요[2]


7.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IMDb|

파일:IMDb 로고.svg
]]
(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6.50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00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9.59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6.50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8.00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9.59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207524"
평점 8.00 / 10



























7.1. 평론가 평[편집]


감정에 기대지 않는 저널리즘 다큐의 한 정점

- 송형국 (★★★☆)


졸거나 헤매는 학생 없게 치밀하고 사려 깊은 수업준비

- 이유철 (★★★)



8.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842명미집계7,771,000원
1주차2022-08-25. 1일차(목)639명3,079명15위5,184,000원26,401,900원
2022-08-26. 2일차(금)355명18위2,992,500원
2022-08-27. 3일차(토)441명17위3,792,900원
2022-08-28. 4일차(일)502명16위4,393,800원
2022-08-29. 5일차(월)230명17위1,969,100원
2022-08-30. 6일차(화)454명17위4,313,600원
2022-08-31. 7일차(수)458명23위3,756,000원
2주차2022-09-01. 8일차(목)97명388명33위1,279,000원5,022,000원
2022-09-02. 9일차(금)40명47위425,000원
2022-09-03. 10일차(토)151명31위2,130,500원
2022-09-04. 11일차(일)67명44위833,000원
2022-09-05. 12일차(월)20명49위233,000원
2022-09-06. 13일차(화)11명64위108,000원
2022-09-07. 14일차(수)2명93위13,500원
3주차2022-09-08. 15일차(목)2명67명88위20,000원697,000원
2022-09-09. 16일차(금)4명90위55,000원
2022-09-10. 17일차(토)6명76위59,000원
2022-09-11. 18일차(일)15명68위161,500원
2022-09-12. 19일차(월)17명64위159,000원
2022-09-13. 20일차(화)23명52위242,500원
2022-09-14. 21일차(수)-명-위-원
4주차2022-09-15. 22일차(목)-명3명-위-원22,000원
2022-09-16. 23일차(금)-명-위-원
2022-09-17. 24일차(토)2명123위16,000원
2022-09-18. 25일차(일)-명-위-원
2022-09-19. 26일차(월)1명94위6,000원
2022-09-20. 27일차(화)-명-위-원
2022-09-21. 28일차(수)-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4,415명, 누적매출액 40,166,900원[3]


8.2. 기타 국가[편집]




9. 기타[편집]




[1] KBS의 기자이다.[2] 위 영상의 1분 24초까지.[3] ~ 2022/10/08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