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최근 편집일시 : 2023-05-30 00:11:24
1. 개요
2. 설명
3. 전염병
3.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속과 완전한 일상 회복
4. 정치
5. 경제
6. 날씨
7. 자연재해
8. 국제행사
9. 문화
10. 사회
11. 지리/교통
12. 사건
12.1. 실제
12.1.1. 1월
12.1.2. 2월
12.1.3. 3월
12.1.4. 4월
12.1.5. 5월
12.1.6. 6월
12.1.7. 7월
12.1.8. 8월
12.1.9. 9월
12.1.10. 10월
12.1.11. 11월
12.1.12. 12월
12.2. 예정
12.3. 기념
12.4. 가상
13. 탄생
14. 사망
15. 데뷔
16. 해체
16.1. 가수
17. 은퇴
18. 출시 상품
19. 히트작
20. 유행어/밈
21. 달력
21.1. 연휴
1. 개요[편집]
20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계묘년(癸卯年, 검은 토끼의 해)이다. 또,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23번째 해이자 2020년대의 4번째 해이며, 현재 우리 모두가 살아가고 있는 해이다.
2. 설명[편집]
주 5일 근무 제도를 기준으로, 주말 공휴일이 4일인 해로 새해 첫날이 일요일, 설날 전날과 부처님오신날, 추석 다음 날이 토요일로써 음력 공휴일이 모두 주말에 겹친다. 대신 설날은 당일이 1월 22일 일요일이라 1월 24일 화요일이 대체 휴일, 어린이날이 금요일, 한글날과 성탄절이 월요일이라 3일 연휴고, 추석은 다음 날이 토요일과 겹치지만, 10월 2일에 휴가를 내면 10월 3일 개천절까지 6일을 쉴 수 있고, 현충일과 광복절은 화요일이라 징검다리 연휴가 된다. 또한 종교계와 국민들의 요청으로 인해 이 해부터 부처님오신날과 성탄절에도 대체 휴일이 적용되면서 성탄절은 1960년에 딱 1번 적용된 이후 63년 만에, 처음으로 부처님오신날에 대체 휴일 제도가 적용된다. 근로자의 날에 쉴 수 있을 경우엔 3년 만에 근로자의 날이 주말과 안 겹친다.
이 해는 2004년 이후 19년 만에 윤이월이 돌아오기 때문에 소풍 철과 윤달이 겹친다. 또 1995년, 2006년, 2017년, 2028년[1] 과 같은 형태의 달력이 만들어진다.[2] 또한 이 해는 설날 당일이 대형 마트 의무휴업일이며, 이 해 크리스마스에 충주시, 논산시, 영주시는 대형 마트를 이용하지 못한다.
인도가 중국을 넘어 세계 최대의 인구 대국으로 올라섰다.
3. 전염병[편집]
3.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속과 완전한 일상 회복[편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풍토병 전환 여부 및 그로 인해 전 세계 각국이 거의 사실상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선 해이다. 다수 국가는 이미 풍토화가 진행되었다 볼 수 있다. 이는 2022년 상반기부터 병독성이 일반 감기보다 조금 더 강한 수준으로 약화된 오미크론 변이가 홍역 이상급의 전파력으로 전세계를 일찌감치 장악한 게 컸다. 이미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작년부터 일상으로 완전히 회복했다고 볼 수 있고, 중국과 같이 방역 조치에 보수적인 국가들만 아직 완전히 회복하지 못 했다고 볼 수 있다. OECD 가입국 중 유일하게 보수적인 방역 정책으로 실내 마스크를 끝까지 유지하고 있던 한국 역시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3월 20일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해제하고, 6월 1일 의원·약국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 자가격리 의무화까지 해제하면서 사실상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갔다고 볼 수 있다.
5월 7일 세계보건기구에서는 3년 4개월만에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엔데믹)를 선언하였다.
4. 정치[편집]
4.1. 세계 선거 일정[편집]
2020년~2022년[3] 사이에 전 세계의 주요 선거가 대거 몰려 있었고 2024년에 다시 대거 몰려 있기에 2023년은 세계적으로 숨고르기에 들어가는 해이나, 나름대로 중요한 선거도 존재한다. 특히 튀르키예 같은 경우 에르도안의 22년 독재가 끝날 지 여부를 가르는 튀르키예 현대사 최대의 분수령이다. 한국 역시 이 해엔 매년 치르는 재보궐선거만 2번 치를 뿐 전국 동시 선거는 안 한다.
- 1월 8일: 베냉 - 2023년 베냉 의회 선거
- 1월 13일 ~ 14일: 체코 - 2023년 체코 대통령 선거 (1차)
- 1월 18일: 앤티가 바부다 - 2023년 앤티가 바부다 의회 선거
- 1월 27일 ~ 1월 28일: 체코 - 2023년 체코 대통령 선거 (결선투표)
- 1월 29일: 튀니지 - 2022년 튀니지 의회 선거 (2차)
- 2월 5일: 키프로스 - 2023년 키프로스 대통령 선거 (1차) + 모나코 - 2023년 모나코 국민의회 선거
- 2월 12일: 독일 - 2023년 베를린 시의회 선거
- 2월 24일: 지부티 - 2023년 지부티 의회 선거
- 2월 25일: 나이지리아 - 2023년 나이지리아 대통령 선거 + 2023년 나이지리아 의회 선거
- 3월 5일: 에스토니아 - 2023년 에스토니아 리기코구 선거
- 3월 7일: 미크로네시아 연방 - 2023년 미크로네시아 연방 의회 선거
- 3월 19일: 카자흐스탄 - 2023년 카자흐스탄 하원 총선거 + 몬테네그로 - 2023년 몬테네그로 대통령 선거
- 4월 2일: 핀란드 - 2023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 + 불가리아 - 2023년 불가리아 국민의회 선거
- 4월 30일: 파라과이 - 2023년 파라과이 대통령 선거 + 2023년 파라과이 의회 선거
- 5월 4일: 영국 - 2023년 영국 지방선거(잉글랜드)
- 5월 7일: 칠레 - 2023년 칠레 제헌의회 선거
- 5월 13일: 모리타니 - 2023년 모리타니 의회 선거 (1차)
- 5월 14일: 튀르키예 - 2023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 + 2023년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선거
- 5월 14일: 태국 - 2023년 태국 총선거 + 독일 - 2023년 브레멘 주의회 선거
- 5월 18일: 영국 - 2023년 영국 지방선거(북아일랜드)
- 5월 21일: 그리스 - 2023년 5월 그리스 의회 총선거 + 동티모르 - 2023년 동티모르 의회 선거
- 5월 27일: 모리타니 - 2023년 모리타니 의회 선거 (2차)
- 6월 4일: 기니비사우 - 2023년 기니비사우 의회 선거
- 6월 11일: 몬테네그로 - 2023년 몬테네그로 의회 선거
- 6월 24일: 시에라리온 - 2023년 시에라리온 대통령 선거 + 2023년 시에라리온 의회 선거
- 6월 25일: 과테말라 - 2023년 과테말라 대통령 선거 + 그리스 - 2023년 6월 그리스 의회 총선거
- 7월 23일: 캄보디아 - 2023년 캄보디아 의회 선거
- 8월: 2023년 미얀마 의회 선거
- 9월 30일: 슬로바키아 - 2023년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선거
- 10월 8일: 독일 - 2023년 바이에른 주의회 선거 + 2023년 헤센 주의회 선거
- 10월 14일: 뉴질랜드 - 2023년 뉴질랜드 의회 선거
- 10월 22일: 스위스 - 2023년 스위스 연방 국가의회 선거
- 10월 29일: 아르헨티나 - 2023년 아르헨티나 대통령 선거 + 2023년 아르헨티나 의회 선거
- 10월: 룩셈부르크 - 2023년 룩셈부르크 의회 선거
- 11월: 홍콩 - 2023년 홍콩 구의회 선거
- 11월: 마셜 제도 - 2023년 마셜 제도 의회 선거
- 11월: 벨라루스 - 2023년 벨라루스 국민의회 선거
- 12월 20일: 콩고민주공화국 - 2023년 콩고민주공화국 대통령 선거 + 2023년 콩고민주공화국 의회 선거
- 우크라이나 - 2023년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선거
- 스페인 - 2023년 스페인 총선거
- 폴란드 - 2023년 폴란드 총선거
- 부탄 - 2023년 부탄 의회 선거
- 가봉 - 2023년 가봉 대통령 선거 + 2023년 가봉 의회 선거
- 라이베리아 - 2023년 라이베리아 대통령 선거 + 2023년 라이베리아 의회 선거
- 파키스탄 - 2023년 파키스탄 의회 선거
- 몰디브 - 2023년 몰디브 대통령 선거
- 싱가포르 - 2023년 싱가포르 대통령 선거
- 투르크메니스탄 - 2023년 투르크메니스탄 의회 선거
- 쿠바 - 2023년 쿠바 인민주권민족회의 총선거
- 르완다 - 2023년 르완다 의회 선거
- 투발루 - 2023년 투발루 의회 선거
- 솔로몬 제도 - 2023년 솔로몬 제도 의회 선거
- 짐바브웨 - 2023년 짐바브웨 대통령 선거 + 2023년 짐바브웨 의회 선거
4.2. 대한민국[편집]
4.2.1. 이재명 체포동의안 부결 사건[편집]

4.2.2.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편집]

4.2.3. 윤석열 UAE의 적은 이란 발언 논란[편집]

4.2.4. 한일정상회담[편집]

4.2.5. 미국 중앙정보국의 대한민국 정부 감청 의혹[편집]

4.2.6.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편집]

사건 자체는 2021년에 일어났으나, 의혹이 세간에 알려지게 된 시점은 2023년이다.
4.2.7. 한미정상회담[편집]

4.2.8. 태영호 녹취록 파문[편집]

4.2.9. 윤석열 일본 사죄 관련 외신 인터뷰 논란[편집]

4.3. 세계[편집]
4.3.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편집]

2023년에도 우크라이나 전쟁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꼽힌다. 우크라이나는 점령지역을 탈환하기 위해서 노력 중이고, 러시아는 돈바스 러시아 합병지역에 대한 자국 영토 영입을 추진 중이라 종전의 가능성은 아직 낮다. 2022년 말부터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에너지 시설을 타격함에 따라서 우크라이나가 추운 겨울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쟁으로 인해 원유, 가스 공급 문제가 지속되어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전 세계 경제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전쟁으로 인한 공사 현장의 레미콘 등 자재 수급 불안 및 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사 지연이 계속되고 있다.
4.3.2. 1월 브라질리아 폭동[편집]

4.3.3. 프랑스 연금개혁 시위[편집]

4.3.4. 이란 드론 공격[편집]

4.3.5. 중국 정찰풍선 사건[편집]

4.3.6.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편집]

4.3.7.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편집]

4.3.8. 수단 내전[편집]

4.3.9. 영국 찰스 3세 대관식[편집]

5. 경제[편집]
5.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30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된다. 청와대 정책브리핑 자료 정책브리핑 (특례업종 운송업, 보건업은 제외)
5.1.1.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편집]
2022년과 마찬가지로 이른바 3고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예정이다.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실물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율은 한때 1400원대 이상까지 올랐으니 현재는 1300원대에서 안착해있으나 여전히 평년에 비해서 높다. 연말이 되어서야 3고 시대의 끝이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5.1.2. 부동산 침체[편집]
2022년 하반기에 이어서 2023년도 전국의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다. 특히 2~3년간 많이 올랐던 세종, 서울이 많이 떨어졌으며 하락 속도가 매우 빠르다. 앞으로 고금리가 꽤 오래 지속될거라는 전망에 매수자는 가격이 더 내리길 기다리고 있고, 매도자는 높은 가격을 고수하면서 거래가 크게 줄었다.
5.1.3. 난방비 대란[편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2022년-2023년 가스비가 40% 이상 폭등한 사건.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5.1.4.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및 카카오 인수[편집]
2월 10일 HYBE는 SM엔터테인먼트의 창업자이자 최대주주인 이수만이 보유한 지분 중 14.8%를 4229억에 인수한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카카오도 지분 확보에 나서면서 경영권 분쟁이 발생했다. 3월 28일 결국 카카오가 목표 지분을 확보하면서 인수를 완료하였다.
5.1.5.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편집]

윤석열 정부는 용인시 반도체 클러스터 등 15곳의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발표했고, 삼성전자는 용인 클러스터에 20년 동안 300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삼성의 계획대로라면 용인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5.1.6. 빌라왕 전세 사기 사태[편집]

수백채 이상 부동산 매물을 사들인 후 전세 세입자를 들여 사기를 친 사건이다.
5.1.7. SG증권발 하한가 사태[편집]
SC증권에서 매도한 주식 6~8개가 연일 하한가를 기록하며 폭락한 사건이다. 주가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당국에서 수사중이다. 연예인 및 기업인들까지 다수가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피해자는 최대 천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5.1.8. 간호법·중범죄 의료인 면허 취소법 반대 총파업[편집]
5.2. 해외[편집]
5.2.1. Microsoft의 Internet Explorer 지원 종료[편집]
1월 10일 데스크탑용 Internet Explorer 11 버전의 지원이 종료되면서 오랫동안 인터넷 브라우저 왕좌의 자리에 있었던 그 역사가 끝을 맺었다.
5.2.2. 그림 인공지능과 LLMs 대화형 인공지능 돌풍[편집]
NovelAI랑 Stable Diffusion이 대중적으로 유명하면서 이전에 없었던 그림 인공지능에 대한 여러 논쟁들과 부정적인 반응들이 생겨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논란이 대표적인 게 그림을 무단 학습을 한다거나 일부 게임이나 웹툰과 웹소설 일러스트들이 AI로 사용하는 의혹이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대화형 인공지능에서도 역시 채팅형 AI ChatGPT가 돌풍을 일으켰다.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글을 만들어내는 능력은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었다. 논문, 소설, 시, 코딩 만들기 등은 물론 변호사 시험 합격, 수능 영어시험 정답률 71%를 나타내었고, 콜롬비아 판사는 판결문 작성에, 미국 하원의원은 연설문 작성에 도움을 받았다고 털어놓으면서 전문 분야까지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기존 검색엔진을 대체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관련 업계는 비상에 걸렸다.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가입자는 3개월만에 1억명을 돌파했다. MS, 구글, 네이버 등도 채팅형 AI에 대거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3월 14일에 ChatGPT의 새로운 버전인 GPT-4가 출시되었다. 언어 능력의 대폭 향상은 물론, 전문지식 답변 정확도 상승, 이미지까지 인식하여 답변하는 능력이 추가되어 일각에서는 스마트폰 혁명 이후 최대의 사건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New Bing 인공지능 검색 엔진으로 네세웠고 구글은 바드를 180개국 중에서 영어, 한국어, 일본어까지 지원하여 LaMDA, PaLM 2 모델기반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5.2.3. 영국 경제 침체[편집]
2022년부터 침체에 들어섰던 영국은 2023년에는 침체가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2023년 영국의 경제성장률이 -0.6%로 전쟁 중인 러시아(0.3%)보다도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영국은 작년부터 10%가 넘는 살인적인 물가 폭등까지 더해져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고 있다. 영국 전역에서는 각종 시위와 파업이 심해지고 있다. 굶는 아이들까지 갈수록 늘어 유니세프에서 지원을 받는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영국의 이러한 경제위기 원인으로는 EU를 탈퇴한 브렉시트가 꼽힌다. 브렉시트 탈퇴에 대해 후회하는 여론이 늘고 있다.
5.2.4. 은행 위기[편집]
5.2.4.1.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편집]
3월 10일 미국에서 16번째 규모의 은행인 실리콘밸리 은행(SVB)이 파산했다. 역사상 2번째 규모의 파산이다. SVB는 기업들이 맡겨놓은 돈을 미국 국채에 투자하였으나, 금리가 올라가면서 손실이 발생, 그 상황에서 고금리에 자금이 부족한 기업들이 출금을 요구하자 뱅크런이 발생하면서 순식간에 파산이 되고 말았다. 실리콘벨리의 수많은 벤처기업들이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연쇄적으로 위기가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 당일 미국 증시는 1.5% 이상 하락하였고, 금융권은 그 이상 폭락했다. 3월 12일에는 여파로 시그니처 은행이 파산을 하면서 역사상 3번째 규모의 파산을 기록했다.
5.2.5. 미국작가조합 파업[편집]
6. 날씨[편집]
[순별 기온/펼치기·접기] - 단위:(°C)
평년대비 편차는 순별 평년으로 비교함-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6.1. 1~3월[편집]
상당한 추위를 보였던 직전의 2022년 12월을 뒤로 하고, 2023년 1월의 상순-중순에 걸쳐서는 오히려 고온 경향을 보이고 잦은 비와 잦은 눈을 보였다. 월초는 대체로 평범했고 2~3일에는 낮은 편이었으나 1월 6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눈/비가 온 이후 고온이 나타났다. 이런 고온의 원인은 지난해 12월 동안 크게 낮았던 북극진동이 상승하며 0에 가까워졌고, 그로 인해 북반구 전체가 잠시 북극 한기의 영향권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동시기 유럽 대륙 전역에서 1월 역대 최고 기온을 동시다발적으로 갱신하는 초이상 고온이 나타나는 현상과도 연관이 깊다. 3년 전인 2020년에도 이상 고온 현상이 겨우내 일어나면서 한국에서도, 유럽 지역에서도 이상 고온을 보인 전적이 있다.[4]
이후 중순 들어 12~14일에 이상 고온이 절정에 달하면서[5] 이 기간에 전국에 때아닌 많은 비가 내렸다가[6] 15일경부터 평년 기온을 되찾았다. 이후에는 20일까지 비교적 무난한 날씨를 보였으며, 중순은 앞부분의 이상 고온으로 인해 서울이 평균기온 영상을 기록하는 등 대체로 평년보다 따뜻했다.
설 연휴가 시작되는 21일에 반짝 추위가 찾아온 후 무난한 날씨를 보이다가 23일 밤부터 더 강한 한기가 내려오면서[7] 설 연휴 마지막 날이자 대체공휴일인 24일부터는 22/23 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를 기록했다. 서울은 24일 오전에 -16.7°C를 기록하고 낮에도 기온이 오르지 않아 낮 기온이 최고 -12.3°C에 머물렀다.[8] 한파는 25일 아침 절정에 달하여 대관령 -25.2°C, 서울 -17.3°C, 전주 -15.0°C, 부산도 -12.0°C로 한파일 수를 기록하였다.[9]
이후 한기가 약해지면서 이전보단 기온이 올라갔지만 26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눈이 왔으며, 평년 기온은 29일경에야 되찾았다. 다만 1월 마지막 날인 31일에는 서울이 7.8°C까지 오르는 등, 다시 한번 예상보다 포근한 날씨를 보였다.
1월은 하순에 강한 한파가 나타나며 1927년, 1941년, 1998년, 2000년, 2004년[10] 1월 등과 유사해지며, 2년 전인 2021년 1월을 반대로 뒤집은 것과 유사한 날씨를 보였다. 다만 한두 차례의 한파와 이상고온을 제외하면 그때보다는 체감상 무난한[11] 날씨를 보였다. 1월 평균 기온은 서울 -1.5°C, 전국 -0.6°C로 전 해 12월보다 높게 기록되었다. 인천 등 일부 지역은 미세하게 낮았다.
2월 초, 중순에는 1월 말에 이어 큰 추위 없이, 꾸준한 고온으로 평년보다 높은 2월 말~3월 초 수준의 날씨를 계속 보였다. 다만 남부 지방보다 중부 지방[12] 의 고온이 강하여, 평소보다 지역 간 기온 차이가 비교적 덜했다. 특히 고온이 가장 심한 서울은 2월 19일까지 저온이 없었다가[13] 19일 비가 그치고 20일에 첫 저온에 나타났다. 코로나19도 차츰 끝나가고 포근한 날씨가 길게 이어지면서 미세먼지도 나쁜 날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만 긴 고온에도 불구하고 초고온은 없다는 것이 위안.[14] 북극이 양의 진동으로 한기가 내려오지도 않고, 그렇다고 남쪽 기단도 강하긴커녕 오히려 약한 편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하순 들어서는 남부 지방에서 기온이 오르면서 오히려 남부 지방의 편차가 중부 지방보다 높은 편이다. 2월 27~28일에는 이상 고온이 나타났다.
현재로써는 트렌드대로 따뜻한 2월이 나타났는데, 2월이 고온이었던 해들 중에서 2002년과 유사[15] 하다. 특이하게도 2월이 전반적으로 상당한 고온을 보였음에도, 초고온은 전혀 없어[16] 26일까지만 해도 서울 기준 10°C를 기록한 적이 없다가[17] 27일에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서 기온이 높게 오르고 서울은 12.4°C를 기록했다. 중부지방에선 2월 상순과 중순에 걸쳐서 다소 높은 축이었던 기온이 하순에 들어서 거의 오르지 않아 2월 하순은 평년과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낮 기온은 꽤 높지만 일교차가 상당한 편이다.[18] 결국 2월 평균 기온은 하순은 다소 평범했으나 초중순이 높았던 탓에 서울 2.3°C, 전국 2.5°C로 평년보다 높았다.
3월에는 역대 가장 강력하고 압도적인 초고온을 보였다. 서울 평균 9.8°C(+3.7°C), 전국 평균 9.4°C(+3.3)를 기록하였으며,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평균 기록은 물론 극값 기록도 경신하였다. 약 10일을 주기로 평범한 날씨, 따뜻한 날씨와 더운 날씨가 오간 수준. 자세한 내용은 2023년 3월 한반도 이상 고온 문서 참조.
6.2. 4~6월[편집]
4월의 극초반까지 3월의 초이상 고온을 이어받았다. 중부 지방, 특히 서울 중심으로는 3월을 크게 능가했다. 서울은 1일에 25.6°C, 3일에 25.9°C 를 기록하는 등 중부 지방에서 최고기온이 25°C를 넘나들었다.[19] 하지만 남부지방 및 강원 영동은 3월 31일 절정을 찍고 소폭 하강하긴 했다. 4월 4일 저녁부터 식목일인 5일까지 한국에 강한 저기압이 통과하며 전국적으로 비바람이 불어닥쳤다. 4일 오후부터 강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비가 점점 오기 시작하였다. 특히 제주도는 힌남노급이다.[20] 식목일인 5일에도 전국적으로 비바람이 불고 이때부터 기온이 떨어지며, 바람이 10~15m/s, 제주지역은 20m/s 내외로 강하게 불었다. 이날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봄비치고 상당한 강수량을 보이며 겨울부터 지속된 가뭄을 해갈하였다.[21]
저기압이 지나며 6~8일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간만에 꽃샘추위로 평년 이하를 기록하였다.[22] 8일에는 최저기온이 춘천 -1.5°C, 서울 3.1°C, 대전 1.7°C 등 중부 지방에서 0°C 내외까지 떨어졌고, 광주, 대구, 부산 등 남부에서도 5°C 정도나 그 이하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앞선 초고온을 상쇄하기엔 부족하여[23] 상순 평균기온도 평년을 크게 웃돌았다.
중, 하순에도 구름과 강수가 비교적 잦으면서, 건조의 대명사인 4월과 다르게 습하고, 일조시간은 상당히 짧은 편이었다.[24] 19일~20일에는 푄 현상으로 다시 고온이 찾아왔는데 중부지방에서 낮 최고기온이 27~28°C까지 올랐으며 20일에는 남부지방을 위주로 고온을 보였다. 이후 하순은 월중 가장 평범한 축에 속하는 날씨를 보이며 큰 이상 기온이 없었다.[25] 특이하게도 3-4월은 기온이 매우 가파르게 올라가는 상승기임에도 올해 4월은 상순-중순-하순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26] (심지어 3월 하순부터 비슷하다.) 최근 대부분 건조했던 4월과 달리 습하고 상당히 많은 강수일수가 있었고 악기상이 꽤 잦은 편이었다.
이후 5월 초반은 평년을 웃돌다 어린이날 무렵 강수가 있고 남부 지방에는 폭우가 쏟아졌으며, 이후에도 무난한 날씨를 보였다. 다만 9일경에는 영동 지방을 중심으로 더위가 찾아왔다. 중순에는 이상 고온이 지속되면서 심한 이상 고온이 이어졌다. 전반적으로 양의 편차이나 16~17일경에 특히 그 강도가 심할 것이다. 역시 고온이 심하여 16일에 서울은 31.2°C, 강릉은 무려 35.5°C를 기록하여 기존 기록을 경신하였다. 하순에도 평년보다 다소 높은 날씨를 보여 봄 평균기온 단독 1위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5월 평균기온 역시 상당히 높은 편으로 2022년을 넘어 2019년의 19.4도와 비슷해질 것으로 보인다.[27] 한편 6월 초순은 간만에 평범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6.3. 7~9월[편집]
6.4. 10~12월[편집]
7. 자연재해[편집]
7.1. 지진[편집]
7.1.1. 인천 강화군 지진[편집]
7.1.2.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편집]
7.1.3. 에콰도르 지진[편집]
7.1.4. 5월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 지진[편집]
7.1.5. 한반도 동해 해역 군발지진[편집]
7.2. 산불[편집]
7.2.1. 대한민국 서부 산불[편집]
7.2.2. 강릉 산불[편집]
7.3. 폭설[편집]
7.3.1. 한반도 폭설 사태[편집]
7.4. 폭우[편집]
7.4.1. 남부권 폭우 사태[편집]
8. 국제행사[편집]
8.1.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편집]
8.2.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편집]
8.3. 2023 전북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 대회[편집]
8.4. 2023 크라쿠프 유러피언 게임[편집]
8.5.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편집]
8.6.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편집]
본래 2022년 9월 10일~9월 25일에 개최돼야 했으나, 상하이 봉쇄 때문에 2023년 9월 23일~10월 8일에 열리는 걸로 바뀌었다. UEFA 유로 2020과 2020 도쿄 올림픽처럼 2022 명칭은 유지된다.
8.7. 2023 도하 엑스포[편집]
8.8. 2023 FIFA U-17 월드컵[편집]
8.9.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편집]
9. 문화[편집]
9.1. 영화[편집]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DC 확장 유니버스
- DC 유니버스
-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 트롤 3
-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65
- Five Nights at Freddy's(영화)
- 더 퍼스트 슬램덩크
- 고스트버스터즈
- 고지라
- 교섭
- 콘크리트 유토피아
- 나이츠 오브 더 조디악
- 노래하는 새와 뱀의 발라드
- 노량: 죽음의 바다
- 노크 앳 더 캐빈
- 대외비
- 더 넌 2
- 던전 앤 드래곤: 도적들의 명예
- 독전 2
- 듄: 파트 2
- 리턴 투 사일런트 힐
- 매드 맥스 5
- 메간
- 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
- 미그레이션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파트 1
- 바비
- 범죄도시 3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스위치
- 스즈메의 문단속
- 스크림 6
- 신 가면라이더
- 신차원! 짱구는 못말려 THE MOVIE: 초능력 대결전 ~날아라 수제 김밥~
- 오펜하이머
- 외계+인 2부
- 밀수
- 웡카
- 유령
- 이블 데드 라이즈
- 익스펜더블 4
- 인디아나 존스와 운명의 다이얼
- 정이
- 존 윅 4
- 치킨 런: 던 오브 더 너겟
- 크리드 3
- 킬러스 오브 더 플라워 문
-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리부트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 타이타닉(리마스터링)
9.2. 게임[편집]
걸카페건, 러브라이브 스쿨 아이돌 페스티벌, 메탈슬러그 어택, 세븐나이츠 일본 서버와 글로벌 서버, 와일드본, 윈드러너Z,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파이브스타즈[28] , 활2 등이 서비스 종료된다.
- 그랑블루 판타지 Relink
- 네모바지 스폰지밥: 코스믹 셰이크
- 다카포5
- 데드 스페이스
- 데드 아일랜드 2
- 디아블로 4
- 라이자의 아틀리에 3 ~종극의 연금술사와 비밀의 열쇠~
- 랜덤채팅의 그녀
- 바이오하자드 RE:4
- 콘트라밴드 폴리스
- 백팩 히어로
- 베요네타 오리진: 세레자와 길을 잃은 악마
- 붕괴: 스타레일
- 붉은사막
- 사일런트 힐: 어센션
- 스컬 앤 본즈
- 스쿼드론 42
- 스타워즈 제다이: 서바이버
- 스텔라 블레이드
- 스토커 2: 하트 오브 초르노빌
- 스톰게이트
- 스트리트 파이터 6
- 시티즈: 스카이라인 II
- 아머드 코어 VI 루비콘의 화염
-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 아웃라스트 트라이얼
- 아토믹 하트
- 앨런 웨이크 2
- 어둠 속에 나 홀로
-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
- 에버소울
- 용과 같이 유신! 극
- 용과 같이 7 외전: 이름을 지운 자
- 원피스 오디세이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 카운터 스트라이크 2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쿠키런: 마녀의 성
- 쿠키런: 오븐스매시
- 클로저스RT: 뉴 오더
- 레고 2K 드라이브
- 테스트 드라이브 언리미티드: 솔라 크라운
- 포르자 모터스포츠
- 파이널 판타지 XVI
- 파이어 엠블렘 인게이지
- 퍼스트 디센던트
- 페이데이 3
- 프래그마타
- 피크민 4
- 하우스 플리퍼 2
- 호그와트 레거시
- 홈월드 3
- Blasphemous II
- Dark Deception Chapter 5
- Forspoken
- Limbus Company
- Marvel's Spider-Man 2
- Minecraft Legends
- Nine Sols
- ONE.
- P의 거짓
- Poppy Playtime Chapter 3
- Five Nights at Freddy's: Security Breach DLC
- Sons of the Forest
- Starfield
- The Day Before
- Under The Waves
- VEILED EXPERTS
9.2.1. 대한민국 게임계 검열 집단민원 사태[편집]
9.3. 교육[편집]
대한민국에서 고교학점제가 고등학교 신입생인 2007년생부터 전면 도입되었다. 2006년생까지는 기존처럼 204단위를 이수해 출석만 채우면 졸업이 가능해졌었다. 하지만 이 해 일반계 고등학교 신입생인 2007년생부터는 204단위에서 192학점[29] 으로 변경되었으며, 출석만 채우는 방식이 아닌 '학업성취율'도 채워야 졸업이 가능해졌다.[30] 그리고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가 84%에서 95%로 확대된다.
또한 고등학교 3학년인 2005년생부터는 새로운 입시제도인 '2024 입시제도'가 적용되며 대학 수시 입학에서 필요했던 자기소개서가 완전히 폐지된다.
9.4. 가요계[편집]
9.5. 애니메이션[편집]
목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서들을 참고.
9.6. 방송[편집]
- 2월 5일부터 KBS에서 유희열의 스케치북의 후속으로 일요일 밤 10시 55분에 더 시즌즈가 방영되고 있다.
- SBS 예능 프로그램 런닝맨이 13주년을 맞이한다.
- 2023년 5월, 강심장이 종영된 이후 10년 만에 새로운 버전인 강심장 리그가 방송될 예정이다. 강심장 리그의 첫 진행은 초기 강심장을 진행했던 강호동과 이승기가 맡을 예정이다.
- MBC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가 10주년을 맞이했다.
- MBC 장수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 스타가 16주년을 맞이했으며, 1월 18일 토크 예능 최초로 800회 맞았다.
- 작년 높은 화제성과 많은 사랑을 받았던 tvN 예능 프로그램 뿅뿅 지구오락실이 2분기에 시즌 2로 돌아올 예정이다.
- 지난해 연말 편성되어 준수한 반응을 얻은 MBC 예능 프로그램 태어난 김에 세계일주는 6월 경 시즌 2로 돌아올 예정이다.
- 2023년 5월 9일 KBS 열린 음악회가 30주년을 맞았다.
- 2023년 11월 5일 KBS 우리말 겨루기가 20주년을 맞을 예정이다.
9.7. 인터넷[편집]
- 귀여워서 미안해, 나문희의 첫사랑 뉴진스의 하입보이요, 토카토카 댄스가 밈 챌린지가 유행세가 들고 있다.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첫 방송.
- 이글루스가 6월 16일에 서비스가 종료될 예정이다.
- 네이버 블로그와 네이버 카페가 20주년을 맞는다.[31]
- 1월 10일 데스크탑용 Internet Explorer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었다. 이로써 오랫동안 인터넷 브라우저 왕좌의 자리에 있었던 그 역사가 끝을 맺었다.
- 판도라TV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채팅형 AI ChatGPT가 돌풍을 일으켰다. MS, 구글, 네이버 등도 채팅형 AI를 대거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리고 구글은 대화형 인공지능 바드가 180개국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 2월, 우주고양이 김춘삼의 유튜브 동영상 도용사건이 벌어졌다. 이후 여러 유튜버들이 엮이고 참전하면서 사건이 더욱 커졌다.
- 4월 14일, 국내 대형 불법 OTT 사이트인 누누티비가 서비스 종료되었다.
10. 사회[편집]
이 해부터 대한민국의 징집 가능한 젊은 남성이 20만 명대로 급감한다.
또한 이 해부터 국민건강보험이 적자로 전환된다.
이 해 6월 28일부터는 법률상으로 만 나이가 명시된다. 다만 '원래는 세는나이였다가 만 나이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은 1962년 이래로 만 나이만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만 지금까지 비공식적으로 세간에서 세는나이를 써 왔을 뿐이다.
이 해에는 소아과 정원 모집 미달사태가 벌어졌다.
11. 지리/교통[편집]
11.1. 자동차[편집]
11.2. 철도교통[편집]
2022년과 마찬가지로 개통 예정 노선들의 잇다른 2024년 개통 연기로 인해 개통 일정이 다소 한산하다. 그래도 동부경전선 전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완성되어 한국철도에서 적지 않은 의의가 있는 해가 될 것이다.
- 경원선 전철화: 소요산(동두천)~연천 구간의 전철화 공사가 완료돼 연천에서 서울을 거쳐 인천까지 빠르게 이어줄 것으로 보아 연천군의 교통이 편리해질 것이다. 10량 대응으로 건설되나, 수요가 적어 6량 셔틀 열차가 운행할 예정이었지만,[32] 연천군민들의 반발이 심하여 이 계획은 철회되고 일단은 결정사항이 없는 상태이다.[33][34] (10월)
- 경전선
- 장항선 복선전철화: 신창~홍성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된다. (하반기)[35]
11.2.1. 도시철도[편집]
도시철도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노선이 2024년으로 개통이 연기되어 개통 일정이 다소 한산해, 비교적 쉬어가는 한 해가 될 것이다.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연천 (10월)
- 울산 도시철도 수소전기트램 실증노선: 태화강~울산항 (9월)
11.3. 도로교통[편집]
도로교통은 2022년에 이어서 굵직굵직한 고속도로들이 철도교통과 다르게 연달아 많이 개통된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평~조안, 조안~화도~소흘 구간이 개통돼 경기북부 지역의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지며 시화~시화나래 구간도 개통되며 당진청주고속도로의 서아산~천안 구간이 개통돼 고속도로 혜택을 못 받았던 아산시에서도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인 청주흥덕IC가 개통된다.
일반도로는 계획이 나온 지 24년 만에 3번 국도의 우회도로인 신평화로가 완전 개통된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당진청주고속도로의 서아산IC~천안JC 구간 개통 (12월)[39]
- 중부고속도로의 나들목인 청주흥덕IC 개통 (12월)
- 신평화로(3번 국도 우회도로) 소요산IC~초성IC 구간 개통 (5월 31일)[40]
- 경부고속도로의 경부동탄터널 서울방향 개통 (3월 24일) / 부산방향 개통 (12월)
11.4. 항공 우주[편집]
- 2월 2일 보잉 747 항공기가 마지막 생산분을 출고하면서 출시 53년만에 단종되었다.
- 5월 25일 오후 6시 24분에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이뤄졌다.
- 한국에 스타링크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 스페이스X가 세계 최초로 유인 화성 탐사선을 발사한다.
- 한국의 첫 독자 정찰위성이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12. 사건[편집]
12.1. 실제[편집]
12.1.1. 1월[편집]
- 1월 1일
- 대한민국 정부에서 0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겐 월 70만 원, 1세 아이를 키우는 부모에겐 월 35만 원의 부모급여를 매월 25일 지급한다.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에는 어린이집 보육료를 제외하고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다.
- 고향사랑기부금 제도를 도입했다.
-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의 장기화와 SRT 개통에 따른 이용객 감소로 인해 19년 만에 폐업하였다.
- 익산고속버스터미널도 같은 이유로, 기능을 익산공용버스터미널과 통합해 익산공용버스터미널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경상북도 청송군의 청송버스가 버스요금이 관광객 포함 누구든지 무료인 무임승차제를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 유통기한 제도가 폐지되고, 소비기한 표시제가 도입되었다.
- 윤석열 대통령의 첫 신년사가 발표되었다.
- 대한민국의 모든 대학 입학금이 완전히 폐지되었다.
- 최저임금이 9,160원에서 9,620원으로, 전기요금은 9.5% 인상됐다.
- CJ대한통운이 택배 배송비를 인상했다.
- 크로아티아가 솅겐조약에 공식 가입했고, 화폐가 크로아티아 쿠나에서 유로로 전환돼 유로존에 가입되었다. 크로아티아는 이로써 20번째 유로존 국가가 되었다.
- 제35대 브라질 대통령이었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가 제39대 브라질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 부처님오신날에 최초로 대체 휴일 제도가 적용되고, 성탄절은 63년 만에 대체 휴일이 있는 휴일로 복귀했다.
- 필리핀의 마닐라 비행관제구역의 항공관제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대규모 항공기 결항 및 회항 사태가 발생했다. 정전으로 인해 관제 통신 및 장비가 마비되면서 다수의 항공편들이 필리핀 상공을 우회하거나, 착륙을 포기하고 회항하면서 수많은 항공기들과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 사태가 벌어졌다. ##
- 우간다의 수도 캄팔라에서 새해맞이 불꽃놀이를 즐기려던 인파가 몰려 압사 사고가 발생해 9명이 사망했다. #
- 셜록 홈즈 시리즈의 모든 저작권이 퍼블릭 도메인으로 전환되었다.
- 네팔에서 포카라 국제공항이 개장하였다.
- 멕시코 치와와 주 시우다드후아레스에서 폭동이 일어나 19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당했으며 25명의 재소자가 탈출했다. #
- 1월 2일
- 호주 골드코스트에 위치한 씨월드에서 2대의 헬리콥터가 공중에서 충돌해 4명이 사망한 사고가 발생했다.
- 미국의 랠리 드라이버 켄 블락이 미국 유타 주에서 스노우모빌 스턴트를 하던 중 사고로 사망했다.
- 신시내티 벵갈스와 미식축구 경기를 치르던 버펄로 빌스의 다마르 햄린이 경기 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경기가 중단되고 햄린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 한국 정부는 중국 내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공관을 통한 단기 비자 발급을 제한했다. 비자 발급 제한은 1월 31일까지인데, 외교·공무, 필수적 기업 운영, 인도적 사유 등의 목적으로는 비자 발급이 가능하지만 관광비자 발급은 중단되었다. #
- 1월 3일
- 1월 4일
- BLACKPINK의 곡 뚜두뚜두 (DDU-DU DDU-DU)가 한국 노래로는 두 번째로 유튜브 조회수 20억을 돌파했다.
- 1월 5일
- 1월 7일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정부의 사법개혁 추진에 맞선 반정부 시위가 시작되었다.
- 1월 8일
- 1월 9일
-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1시 28분경 규모 3.7의 강화 지진이 발생하였다.
- 민선 8기 제54대 창녕군수를 지냈던 김부영 전 군수가 선거인 매수 논란으로 수사를 받던 도중 창녕읍 퇴천리 소재 화왕산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 발생했다.
- 미국 인공위성이 한반도에서 추락 위험으로 소동이 벌어졌다.
- 페루 훌리아카에서 시위대를 학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 1월 10일
- Windows 8.1의 연장 지원, Windows Vista와 Windows 7의 유료 연장 지원이 끝났다. 또한 Windows 8.1의 Internet Explorer 11의 지원이 완전히 끝났으며, 데스크탑용 윈도우에서의 IE 지원이 완전히 끝났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의 피의자 신분으로 수원지검 성남지청에 출석했다.
- LG 유플러스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약 18만명의 일부 고객에 대한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공지했다. 이에 따라 경찰이 유출 경위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 인터넷 쇼핑몰 스타일브이를 운영하며 물건을 싸게 판다고 올려놓고 보내주지 않는 수법으로 무려 80만명에게 사기를 친 대표가 구속되었다.
- 쌍방울그룹 전 회장이었던 김성태가 태국에서 검거되었다.
- 중국이 각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첫 보복 조치로 한국과 일본 국민에 대한 중국행 비자 발급을 상당 부분 중단했다. #
- 1월 11일
-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에서 회사 자본금의 108%에 해당하는 2215억원을 횡령한 피의자에게 1심에서 징역 35년이 선고되었다.
- 미국 연방항공청의 NOTAM에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여 미국 내 1만여 편 이상의 항공편이 결항 및 지연되었다.
- 넥슨게임즈의 카트라이더: 드리프트가 정식 출시하였다.
- 인천의 한 빌라에서 백골 시신을 약 2년간 방치한 사건이 발생하여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 1월 12일
- 태백에서 한 장병이 혹한기 훈련 중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 나경원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직(부총리급)과, 기후환경대사직(장관급)에서 모두 해임되었다.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자택에서 부통령 재임 당시 기밀문건에 대한 조사가 들어갔으며 미국 법무부가 조사를 위해 법적 절차를 밟았다.
- 1월 13일
- 1월 14일
- 1월 15일
- 예티항공 691편 추락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한국인 탑승객 2명을 포함하여 72명이 전원 사망하였다.
- 세종포천고속도로 47중 연쇄추돌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1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37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 미국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제71회 미스 유니버스 콘테스트에서 필리핀계 미국인 알보니 가브리얼이 우승했다. 그녀는 우승 당시 28세로 역대 최고령 미스 유니버스 우승자이다. #
- 메가박스 백석이 폐점하였다. 기존 자리에는 4월 말에 CGV 고양백석으로 전환하였다.
- 1월 16일
- 윤석열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 순방 중 아크부대에서 발언한 내용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 이탈리아 남부 시칠리아에서 시칠리아 마피아 조직 코사 노스트라의 두목 메시나 데나로가 30여년의 도피 생활 끝에 이탈리아 검찰, 군경찰에 의해 붙잡혔다. 코사 노스트라의 두목인 데나로는 도피 중에도 조직을 이끌며 각종 중범죄를 저질러왔으며 1992년 마피아 단속을 주도했던 조반니 팔코네 검사와 파올로 보르셀리노 판사 살해 사건 등 수십 건의 살인 사건 배후로 지목받고 있다. ##
- 스위스 다보스에서 세계경제포럼이 열렸다. 코로나 대유행, 경제적 불평등,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을 주요 의제로 삼았다. 이 포럼에선 "2023년 경제 전망이 몇 달 전 우려했던 것보다는 덜 나쁘다"는 낙관론이 제시되었다. #
- 1월 18일
- 1월 19일
- 1월 20일
- 1월 22일
- 대한민국의 코로나19 누적 감염자가 3천만 명을 돌파했다.
- 교차로 우회전 통행법이 실행하였다.
- 2022년 페루 친위 쿠데타 시도가 격화되면서 마추픽추가 폐쇄되었다.
- 1월 23일
- 1월 24일
- 아바타: 물의 길이 코로나19 이후 첫 외화 1,000만 관객수를 돌파하였다.
- 1월 25일
- 1월 27일
- 이스라엘군이 제닌을 공습하여 9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사망한 후 이스라엘에서 광범위한 소요가 발생했다. 다음 날 밤 예루살렘 회당에서 팔레스타인인의 보복 공격으로 7명의 유대인이 총에 맞아 숨졌다. ##
- 바딤 오멜첸코 주 프랑스 우크라이나 대사는 현지시간 27일 "오늘 기준으로 다수의 국가가 총 321대의 중전차를 보내주기로 확약했다"고 밝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다만 어느 국가가 몇 대의 탱크를 제공할 예정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공개된 건 미국 M1 에이브람스 31대, 독일과 캐나다 레오파르트2 각각 14대와 4대, 영국 챌린저2 14대, 폴란드 총 60대 등이다. #
- 1월 28일
- 1월 29일
- 한국과 일본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에 대한 보복으로 자국행 비자 발급을 상당 부분 중단한 중국이 일본에 대한 보복 조치를 해제했다. #
- 대만 전 지역에서 한파로 146명이 사망했다. 수도 타이베이와 신베이에서 각각 28명과 19명, 지룽 3명, 타오위안 24명 등이었다. 사망자 대부분은 50세 이상의 중년이나 노인이었고, 사망 원인은 주로 저체온증에 의한 심혈관 이상 등이었다. 타오위안의 3세 남아와 1세 여아도 사망자 명단에 포함됐다. 대만은 겨울철에도 10도 이상의 비교적 온화한 날씨를 보인다. 하지만 이 시기 동아시아를 강타한 북극한파가 대만도 덮치면서 최저 기온이 6도를 밑도는 지역이 나왔기에 사망자가 급증했다. #
- 1월 30일
- 중앙방역대책본부의 1단계 조정 시행에 따라 실내 마스크 착용이 '의무'에서 '권고'로 전환되었다. 감염 취약계층을 위해 병원, 약국, 대중교통에서의 착용 의무는 유지되었다.
- 코로나19로 인해 단축되었던 은행 영업시간이 다시 9시부터 4시까지로 변경되었다.
-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은 30일 방한해 한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에게 군사 지원에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
- 교육계가 이날 밝힌 바에 따르면 유엔 인권 이사회 특별절차는 지난 25일 한국 정부에 보낸 서한에서 "학생인권조례와 인권기본조례 폐지 프로젝트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
- 여성가족부가 폭행과 협박이 없어도 동의 없이 이뤄진 성관계라면 강간죄로 처벌하도록 하는 '비동의 간음죄' 도입을 검토한다고 발표하기 앞서 법무부가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한 차례 냈었다고 밝혔다. #
- 이날 연금특위 민간자문위가 밝힌 바에 따르면 민간자문위는 지난 27~28일 이틀간의 회의에서 소득대체율(생애 평균 소득 대비 연금 수령액 비율), 보험료율 등 국민연금 핵심변수 조정을 통한 연금개혁 초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5%로 올리는 동시에 소득대체율도 기존 40%에서 50%로 올리는 안과, 보험료율만 15%로 올리고 소득대체율은 그대로 40%로 두는 안이 유력하게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다. #
- 파키스탄 북서부 페샤와르의 한 모스크에서 경찰을 노린 듯한 자살 폭탄 공격이 발생해 최소 101명이 사망했다. #
- 1월 31일
- 판도라TV의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유승민이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
- 서울행정법원은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이 서울경찰청장과 용산경찰서장을 상대로 낸 집행정지 신청을 일부 인용했다. 이에 따르면 대통령 집무실은 관저가 아니므로 인근 집회·행진을 경찰이 원천 금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법원이 재차 판단했다. #
- 페트로 파벨 체코 대통령 당선인이 30일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의 전화 통화에서 대만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지한다고 밝혔다고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이 31일 보도했다. 다만 체코는 여전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
- 1월 경상수지가 -45억 달러로 역사상 최대 적자폭을 기록했다.
12.1.2. 2월[편집]
- 2월 1일
- 2월 2일
- 구미 3세 여아 사망 사건의 피의자 석 모씨의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8년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했다.
- 농림축산식품부는 네덜란드의 한 농장에서 광우병 발생이 보고됨에 따라 네덜란드산 소고기에 대한 수입 검역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2022년 네덜란드산 소고기 수입량은 79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0.02% 수준이며 2023년 네덜란드에서 수입한 소고기는 없다. #
- 외교부는 한국 법원이 전날 부석사의 고려시대 금동관음보살좌상의 소유권은 일본에 있다고 판결한 것에 대해 "사법부 판단에 대해 행정부의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반응을 내놓았다. #
- 보잉 747 항공기가 마지막 생산분을 출고하면서 출시 53년만에 단종되었다.
- 중국이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정찰 풍선이 지난 이틀 동안 미국 본토 상공에서 포착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합중국 국방부는 지상 피해가 우려돼 격추계획은 일단 보류했다고 관리들이 전했다.
-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 저널은 보도에서 "이번 전쟁에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나라들이 물자 보충을 위해 한국으로 눈을 돌리면서 한국의 무기 수출 증가가 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제 한국은 우크라이나에 직접 무기를 지원해야 한다는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서울시는 13일까지 침대 등을 구비한 룸카페 및 멀티방을 집중 단속하겠고 밝혔다. 앞서 1일엔 여성가족부 또한 해당 형태의 룸카페가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임을 밝히며 이에 대한 단속을 각 지자체에 당부했다. #
- 2월 3일
- 대한민국에서 Apple Pay 도입이 확정되었다.
- 서울 은평구 대조동 재개발 구역에서 유골 30여구가 발견돼 경찰이 신원 확인에 나섰다.
-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1심에서 아들·딸 입시비리 혐의 대부분과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을 무마한 혐의가 유죄로 인정되어 징역 2년, 600만원 추징의 형을 받았다. 다만 조 전 장관을 법정구속하진 않았다.
- 서울시는 이태원 참사 광화문 추모공간을 불허하고 광화문 광장에 경찰 기동대를 배치했다.
- 일본은 폭행과 협박이 없었더라도 상대의 동의 의사 표명이 곤란한 상태에서 성행위를 하면 강간죄를 인정하며, 성행위 동의 인정 연령 13세→16세로 상향, 강간죄 공소시효 10년→15년의 형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 일본은 호적에 이름 읽는 법을 명기하기 위한 호적법 개정과 관련해 요강의 초안을 마련했다. 일본에서 이름 읽는 법은 주민표에 기재돼 있으나, 호적에는 없어서 행정 효율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법제심의회는 호적에 이름 읽는 법을 음절 문자인 가타카나로 표기하고, 읽는 법은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수준으로 한정하기로 했다. 즉 이 법안 통과부터는 바다 '해'(海)를 '바다의'를 뜻하는 영어 '마린'이라고 부르는 등의 DQN 네임이 불가능하다.
- 요미우리 신문, 도쿄 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경찰청은 지난해 10월 15세 이상 5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일본의 치안이 10년간 좋아졌는가'라는 질문에 67.1%가 '나빠졌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 미얀마 군정이 저항 거센 37개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행정, 사법 업무 군에 전권을 두어 반대 세력에 대한 대대적 탄압을 예고했다.
- 독일 정부는 레오파르트1 전차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수출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 북미 대륙에서 역대 가장 낮은 체감 온도가 기록됐다. 이날 돌풍이 불어닥친 미국 뉴햄프셔주 워싱턴 산의 체감 온도는 섭씨 영하 77도를 기록했다.
- 유튜버 승우아빠가 이날 라이브 방송에서 당근마켓을 향해 '당근마켓에서 고용하는 노동자는 다 중고품'이라고 원색적인 비난 발언을 하여 사회적 논란이 되었다.
- 2월 4일
- 아라이 마사요시 일본 총리 비서관이 동성결혼과 관련해 "보기도 싫다"는 차별적 발언을 했으며 자신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차별적인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받아들여졌다면 철회하겠다. 사과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 비서관을 4일 경질했다.
- 오후 11시경 전남 신안 해상에서 12명이 탄 어선이 전복됐다. 승선원 중 3명은 인근에 있던 다른 선박에 의해 구조됐다.
- 미국 정부는 동부 캐롤라이나 해안에서 미국 공군의 F-22 전투기로 중국 풍선을 격추했으며 잔해를 수거하는 작전을 진행했다.
- 대통령실은 국민의 힘 당대표 후보인 안철수 의원을 향해, 윤안연대 표현은 무례하며 계속 사용시 엄중 경고하겠다며 당권에 개입했다.
- 2월 5일
- 중국은 외교부 성명을 통해 미국의 민간 비행선 격추에 대하여 강한 불만과 항의를 표시하였다.
- 파키스탄이 위키피디아를 이슬람 교리에 위반된다며 차단하였다. #
- 한국의 다국적 아이돌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가 다섯 번째 미니음반 '이름의 장: TEMPTATION'으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1위에 올랐다.
- 2월 6일
- 튀르키예 남동부 가지안테프 인근에서 7.8 규모 지진이 발생해 45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 한국 정부가 2022년 두 차례 벌어진 화물연대 총파업의 쟁점이던 화물차 '안전운임제'를 없애고 강제성이 완화된 '표준운임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 2월 7일
- 대구 공군 부대 소속 병사가 부대 내 괴롭힘을 호소한 뒤 아파트에서 추락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대구 공군 정일병 자살 사건)
- 한국 연구팀이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특성인 '스핀 구름'을 응축하면 새로운 양자 물질이 나타나는 현상을 처음 규명했다. #
- 신당역 살인 사건의 피의자 전주환이 보복살인 부분에 대해 1심에서 징역 40년과 전자발찌 15년형을 선고했다.
- 인천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 아들을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 친부와 계모가 경찰에 붙잡혔다.(2023년 인천 남동구 12세 아동학대 사망사건)
- 서울중앙지법은 베트남인 응우옌 티탄씨가 대한민국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법원은 베트남 전쟁 당시 한국군이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의혹을 사실로 인정했다. '민간인 학살은 없었다'는 정부의 입장을 뒤엎은 판결이다. 이는 대한민국 공식 기구가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을 인정한 최초의 사례다. #
- 르브론 제임스가 카림 압둘자바의 기록인 38,387득점을 경신하고 통산 최다 득점 1위에 올랐다.
- 2월 8일
- 2월 9일
- 2월 10일
- 2월 11일
- 캐나다 유콘 상공에서 미확인 물체를 발견 및 격추한 사건이 발생했다.
- 미국 몬태나주 상공에서 미확인 물체를 발견했다고 미합중국 북부사령부에서 보고했으나, 이후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에서 레이더상의 오류라고 발표했다.
- 2월 12일
- 미국 휴런 호 상공에서 미확인 물체를 발견, 격추한 사건이 발생했다.
- 2월 13일
- 2월 15일
- 2월 16일
- 2월 17일
- 후쿠오카현 북쪽 해역에서 규모 4.3 지진이 일어났다.
- 2월 18일
- 192명이 사망했던 대구 지하철 참사가 20주기를 맞이했다.
- 텔레그램 PDF 방을 중심으로 2022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정보가 유출 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 2월 19일
- 2월 23일
- 타지키스탄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무르고프 서쪽 67km 지역에서 규모 6.8 지진이 발생했다.
- 프랑스 전역에 31일 동안 비가 내리기 않아 역사상 가장 건조한 2월을 기록했다.
- 2월 25일
- 정순신 변호사가 정순신 아들 학교폭력 가해 사건으로 인해 국가수사본부장직에 사의를 표명했다.
- 2월 27일
12.1.3. 3월[편집]
- 3월 1일
- 3월 2일
- 3월 3일
- 경상남도 진주시 서북서쪽 16km 지역에서 규모 3.0, 최대진도 Ⅳ의 지진이 발생했다.
- 죽전역 칼부림 사건이 일어났다.
- 3월 4일
- 앨릭 머독 살인사건의 피고인 앨릭 머독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3월 8일
- 국민의힘의 새 지도부를 뽑는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가 열렸고, 김기현 의원이 당 대표가 되었다.
- NewJeans의 Ditto가 멜론차트 77일 연속 1위로 신기록을 달성했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 개최되었다.
- 2023년 합천 산불이 발생하였다.
- 실버게이트 은행이 파산하면서 미국과 유럽에서의 연이은 은행 파산 위기의 서막을 알리게 된다.
- 3월 9일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으로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임기를 시작하였다.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2023 WBC 호주와의 경기에서 패배했다.
- 3월 10일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2023 WBC 일본과의 경기에서 패배했다.
- 미국에서 16번째 규모의 은행 SVB가 파산했다.
- 3월 12일
- 3월 13일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이 2023 WBC 중국과의 경기에서 승리했지만, 앞선 경기들의 패배로 인해 2라운드 진출이 좌절되었다.
- 넥슨의 게임 메이플스토리가 핵 공론화 사건 이른바 핵 게이트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15일
- ChatGPT의 새로운 버전인 GPT-4가 출시되었다. 언어 능력의 대폭 향상은 물론, 전문지식 답변 정확도 상승, 이미지까지 인식하여 답변하는 능력이 추가되었다.
- 3월 16일
- 콜롬비아 쿤디나마르카주의 한 탄광에서 폭발 사고가 일어나 최소 11명이 사망하고 10명이 고립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 2023년 한일정상회담이 열렸다.
- 3월 18일
- 3월 19일
- 3월 20일
- 대중교통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가 해제되었다.
- 3월 21일
- 3월 22일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결승전에서 일본이 통산 3번째 우승을 달성하며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 폐막했다.
- 쌍용자동차가 사명을 KG모빌리티로 변경했다.
- 3월 23일
- 3월 24일
- 경부고속도로의 경부동탄터널 서울방향이 오전 5시에 개통되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콜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하였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첫 경기이다.
- 3월 28일
-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의 지분 39.87%를 확보하며 HYBE를 제치고 1대 주주로 등극하였다.
- 닌텐도 3DS와 Wii U의 닌텐도 e숍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2023년 대한축구협회 승부조작 축구인 사면 및 번복 사건이 발생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하였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두번째 경기이다.
- 3월 29일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에 연루된 조현천 前 국군기무사령관이 미국 도피 5년 3개월 만에 귀국했다.
- 강남 납치 살해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30일
- OBS 라디오가 개국하였다.
- 3월 31일
- 대한민국의 5번째 Apple Store인 Apple 강남이 개장하였다.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에 연루된 조현천 前 국군기무사령관이 구속되었다.
-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이 광주 묘지를 찾아 무릎꿇고 사죄했다. 전두환 일가가 광주 희생자들에게 사과한 것은 처음이다.
-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 출신으로는 최초로 검찰에 기소되었다.
- 일본의 에로게 제작사 GIGA가 30년의 역사를 끝으로 폐업하였다.
- 덴마크 선박이 기니만 해적에게 습격을 당해 선원 중 일부가 납치를 당했고, 선박은 상투메 프린시페 인근에 버려진 채로 발견됐다.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가 출시한 지 18년 7개월의 역사를 마치고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12.1.4. 4월[편집]
- 4월 1일
- 2023 KBO 리그가 개막했다.
- 윤석열 대통령이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에서 시구를 진행했다.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개막했다.
- 부산 도시철도가 38년 만에 MS승차권을 대체할 QR승차권을 도입하였으며 7월부터는 MS승차권이 완전히 사라질 예정이다.
- 2023 KBO 리그가 개막했다.
- 4월 2일
- 한반도 서부에서 산불이 발생하였다.
- 4월 3일
- 어린이통학버스 디젤 차량 신규 등록이 금지된다.
- 4월 4일
- 4월 5일
- 4월 8일
- 4월 10일
- 4월 11일
- 4월 13일
- 일본 여고생 2인 동반 추락사 사건이 발생했다.
- 4월 14일
- 국내 대형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인 누누티비가 1년 10개월 끝으로 서비스 종료되었다.
- 4월 15일
- 4월 16일
- 디시인사이드 우울증 갤러리 여고생 추락사 사건이 발생했다.
- 핀란드 유라요키에 있는 올킬루오토 원자력 발전소의 3번째 발전소의 운영이 시작되었다.
- 4월 17일
- 태국 송끄란 축제에서 음주운전으로 232명이 사망하였다.
- 도곡중학교 흉기 난동 및 도곡렉슬 추락사 사건이 발생했다.
- 4월 18일
- 베이징의 한 병원에서 화재가 일어나 29명이 사망하였다.
- 4월 19일
- 4월 20일
- 4월 21일
- 밀양 한국카본 2공장 화재가 발생하였다.
-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를 통해 "100년 전 일로 일본이 무조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생각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발언으로 정치적 논란을 샀다.
- 4월 23일
- 미국의 생활용품 소매처인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가 챕터 11 파산보호신청을 했다.
- 4월 25일
- 강원도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에서 규모 3.5, 최대진도 I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 미국 국방부가 UFO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외계인의 물체로 보이는 것은 없었다고 밝혔다.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연임을 위해 차기 대선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 일본의 민간 항공 우주 기업인 아이스페이스의 하쿠토-R이 달 착륙 직전 통신이 두절되면서 임무 실패로 돌아갔다. 달 착륙선이 착륙에 실패하면서 달 탐사선을 실었던 아랍에미리트의 에미레이트 달 탐사 계획 또한 같이 실패로 돌아갔다.
- 이마트 성수점이 크래프톤의 이마트 본사 매각으로 인해 본사 이전으로 폐점하였다. 크래프톤이 재건축하면 이마트가 다시 개점할 것으로 보인다.
- 4월 26일
- 2023년 한미정상회담에서 워싱턴 선언이 발표되었다.
- SG증권발 하한가 사태가 발생했다.
- 4월 28일
- 서울 종로에서 지진 오보 사건이 일어났다.
- 제59회 백상예술대상이 열렸다.
- 미국 텍사스의 클리블랜드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했다.
- 4월 29일
12.1.5. 5월[편집]
- 5월 1일
- 제8군단의 임무와 예하부대 배속이 제3군단으로 이관되었다. 6월 30일 완전 해체 예정이다.
- 미국의 퍼스트리퍼블릭 은행이 파산 후 JP모건에 인수되었다.
- 5월 2일
- 미국 작가 조합(Writers Guild of America)이 파업에 돌입하였다.
- 5월 3일
-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의 지자체인 브라차르의 초등학교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해 학생 8명과 보안관 1명이 숨지고, 학생 6명과 교사 1명이 다쳤다.
- 2023년 간호법·중범죄 의료인 면허 취소법 반대 총파업의 첫 파업이 실시되었다.
- 5월 4일
- 5월 5일
- 몇십년 만에 어린이날에 전국적으로 비가 왔다. 이로 인해 31년만에 고척돔 경기를 제외한 KBO 리그의 모든 어린이날 경기가 취소되었다.
- SSC 나폴리가 33년만에 세리에 A 우승을 차지했다.
- 14시 42분경 일본 이시카와현 노토지방에서 M6.3 최대 진도 6강의 지진이 일어났다.
- 조선일보가 김남국 가상화폐 보유 논란에 대해 최초 보도했다.
- 5월 6일
- 5월 7일
- 5월 10일
- 대구선 화물열차 탈선사고가 일어났다.
- 5월 11일
- 4시 16분경 일본 치바현 남부에서 M5.4 지진이 일어났다.
- 구글의 대화형 인공지능 바드가 180개국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 5월 12일
- 5월 13일
- 5월 14일
- 더불어민주당의 김남국 의원이 김남국 가상화폐 보유 논란으로 탈당했다.
- 한맥투자증권 거래소 측이 1심, 2심에 이어 대법원에서까지 이기면서 최종 승소하게 되었다.
- 5월 15일
- 챔프TV가 폐국되었다.
- 강원도 동해시에서 올해 들어 가장 강한 지진이 일어났다.
- 5월 16일
-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분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 민방위 훈련이 6년만에 다시 재개하기 시작한다.
- 5월 17일
- 경찰청 의무경찰이 폐지됐다.
- 5월 19일
-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 외래종 흰개미 강남 출현 사건이 발생했다.
- 이기영 살인 사건의 이기영이 1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5월 20일
- 5월 21일
- 5월 23일
- 팔공산 도립공원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됐다.
- 5월 25일
- 누리호의 3차 발사가 이뤄졌다.
- 5월 26일
- 19시 03분경 일본 치바현 동부 해역에서 M6.2 최대 진도 5강의 지진이 일어났다.
- 아시아나항공 8124편 개문 착륙 사고가 일어났다.
- 금천 연인 보복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
- 5월 28일
- 삼호 주얼리호 피랍 사건의 가담자 압둘라 세륨이 출소했다.
- 2023년 튀르키예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에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재선에 성공했다.
12.1.6. 6월[편집]
12.1.7. 7월[편집]
12.1.8. 8월[편집]
12.1.9. 9월[편집]
12.1.10. 10월[편집]
12.1.11. 11월[편집]
12.1.12. 12월[편집]
12.2. 예정[편집]
- 5월 31일
- 신평화로(국도 3호선 우회도로) 소요산IC~초성IC 구간이 개통된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양평IC~조안IC 구간이 부분 개통된다.[45]
- 6월 중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시화JC - 시화나래IC 구간이 개통된다.
- 6월 4일: 2021년 10월 4일에 입대한 416기를 마지막으로 해양경찰청 의무경찰이 폐지된다.
- 6월 5일: 국가보훈처를 국가보훈부로 승격하고, 재외동포청이 신설될 예정이다.
- 6월 11일: 2022년 6월 10일 공포된 강원특별자치도법에 따라 강원도가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돼 새로 출범한다.
- 6월 13일: 2021년 10월 21일에 입대한 73기를 마지막으로 의무소방대가 폐지된다.
- 6월 16일: 이글루스가 서비스를 종료한다.
- 6월 28일: 대한민국의 법적, 행정적 나이 계산이 만 나이로 통합된다.
- 6월 30일: 2G 통신 서비스가 완전히 종료된다.
- 7월 1일
- 7월 10일~8월 20일: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개최.
- 8월 1일: 세계 잼버리가 대한민국 새만금에서 개최된다.
- 9월 23일~10월 8일: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이 개최된다.
- 10월 중
- 10월 1일: 청주시 시내버스 전면 개편이 시행된다. 2023년 10월 청주 시내버스 개편 문서 참조.
- 10월 2일~2024년 3월 28일: 2023 도하 엑스포가 개최된다.
- 10월 5일~11월 19일: 2023 ICC 크리켓 월드컵이 인도에서 개최된다.
- 10월 10일: Windows Server 2012의 연장 지원이 끝난다.
- 10월 11일: 202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가 개최된다.
- 10월 25일: 첫 대체복무요원이 소집 해제를 한다.
- 11월 중
- 한국의 첫 독자 정찰위성이 스페이스X의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 NHK의 위성방송 채널인 BS1과 BS프리미엄을 BS4K로 통합한다.
- 11월 16일: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다.
- 11월 23일
- 온라인 청원 시스템 청원 24 서비스가 개시된다.
- 닥터후 60주년 스페셜이 방영된다.
- 12월 중
- 미정
12.3. 기념[편집]
- 1월 1일
- 1월 6일: 러브 라이브! 방영 10주년.
- 1월 14일: 대한민국-캐나다 간의 외교관계 수립 60주년.
- 1월 23일: 7번방의 선물 개봉 10주년.
- 2월 11일: 대한민국-스위스 간의 외교관계 수립 60주년.
- 2월 18일
- 2월 21일: 신세계 개봉 10주년.
- 2월 24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주년.
- 3월 1일: 대한민국-리히텐슈타인 간의 외교관계 수립 30주년.
- 3월 3일: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사 KBS 창립 50주년.
- 3월 7일: 걸그룹 레이디스 코드 데뷔 10주년.
- 4월 1일
- 4월 2일: 쿠키런 출시 10주년.
- 4월 3일: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데프트의 데뷔 10주년.
- 4월 4일
- 미국의 영화사 워너 브라더스 창립 100주년.
- 알바 뛰는 마왕님! 애니메이션 방영 10주년.
- 4월 5일: 역시 내 청춘의 러브 코미디는 잘못됐다. 방영 10주년.
- 4월 6일
- 4월 7일: 진격의 거인 방영 10주년.
- 4월 16일: 세월호 참사 희생자 9주기.
- 4월 24일: Windows Server 2003 출시 20주년.
- 4월 29일: 넥슨의 MMORPG 게임 메이플스토리 출시 20주년.
- 5월 7일: Ez2ac 정식 시리즈 10주년.[50]
- 5월 9일: 열린 음악회 30주년.
- 6월 6일: 스웨덴의 덴마크로부터의 독립 500주년.
- 6월 11일: 모두의마블 for kakao 출시 10주년.
- 6월 13일: 방탄소년단 데뷔 10주년.
- 6월 20일: 크레용팝 빠빠빠 발매 10주년.
- 7월 6일: 금빛 모자이크 방영 10주년.
- 7월 15일: 일본에서 세가의 첫 가정용 게임기 SG-1000과 닌텐도의 가정용 8비트 게임기 패밀리 컴퓨터의 출시 40주년.
- 7월 16일: EZ2ON REBOOT 10주년.
- 7월 24일: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개봉 30주년.
- 7월 27일: 정전 협정 70주년.
- 8월 4일: 고노 담화 발표 30주년.
- 8월 7일: 1993 대전 엑스포 30주년.
- 8월 13일: Geometry Dash, 몬스터길들이기 출시 10주년.
- 8월 18일: 한국가스공사 창립 40주년.
- 8월 21일: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20주년.
- 8월 24일: 대한민국-핀란드 간의 외교관계 수립 50주년.
- 8월 30일: 대한민국 오락실에서 팝픈뮤직의 e-amusement pass 서비스 첫 지원 10주년.[51]
- 9월 1일
- 관동대지진 100주년 및 관동대학살 희생자 100주기.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희생자 40주기.
- 9월 6일: EZ2DJ Platinum 20주년.
- 9월 8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사망 1주기.
- 9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의 출시 60주년.
- 9월 17일: 오픈월드 게임인 Grand Theft Auto V의 PlayStation 3, Xbox 360으로의 출시 10주년.
- 9월 18일: 대한민국-인도네시아 간의 외교관계 수립 50주년.
- 9월 23일: 여주시 시 승격 10주년.
-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70주년.
- 10월 8일: 논논비요리 방영 10주년.
- 10월 9일: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희생자 40주기.
- 10월 14일: 대한민국-아일랜드 간의 외교관계 수립 40주년.
- 10월 16일
- 미국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 월트 디즈니 컴퍼니 창립 100주년.
- 크리에이터 도티 방송 데뷔 10주년.
- 10월 17일: Windows 8.1 출시 10주년.
- 10월 18일: Windows Server 2012 R2 출시 10주년.
- 10월 29일
- 11월 5일: 우리말 겨루기 20주년.
- 11월 8일: 스펀지 방영 20주년.
- 11월 12일: 이마트 설립 30주년.
- 11월 26일: 대한민국-영국 간의 외교관계 수립 140주년.
- 11월 27일
- 12월 10일: 대한민국·북한-인도 간의 외교관계 수립 50주년.
- 12월 11일: 대한민국-바티칸 간의 외교관계 수립 60주년.
- 12월 18일: 변호인 개봉 10주년.
- 12월 23일: 대한민국-에티오피아 간의 외교관계 수립 60주년.
- 12월 26일: 동방신기 데뷔 20주년.
12.4. 가상[편집]
- Five Nights at Freddy's 3의 배경으로 추정되는 연도.
- 데드맨 원더랜드의 배경 연도.
- 동충하초 시즌 2의 배경 연도.
- 사랑의 불시착 마지막회의 에필로그 배경 연도.[52]
- 소설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마이티 노벨 X~의 배경 연도.
- 어벤져스: 엔드게임, 로키, 완다비전, 토르: 러브 앤 썬더의 메인 배경 연도.
- 복수가 돌아왔다의 마지막회(16회)에서 강복수와 손수정 와이프와 손수정 임용고시와 강복수의 교생이 된 시점의 연도(2023년 3월).
- 언니는 살아있다! 마지막회 에필로그 배경 연도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의 미래 배경 연도.
- 염라대왕과 5개의 이야기다냥!에서 지바냥이 타임 슬립으로 넘어온 미래 배경 연도.[53]
-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 상속자들 마지막회의 에필로그 배경 연도.
- 펜트하우스 III 6화 후반부터의 배경 연도.
- 한 번 다녀왔습니다 마지막회의 에필로그 배경 연도.[54]
- 해피니스의 배경 연도.
- 타치바나 타키와 미야미즈 미츠하가 2021년 육교에서 엇갈린 후 2년 만에 계단에서 재회한다. - 너의 이름은.
- 센트럴 백화점 폭탄 테러 사건이 발생한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2022년 초부터 진행된, 밀리테크와 아라사카 사이의 분쟁이 격화된 '그림자 전쟁'이 2023년 말 밀리테크의 승리로 끝난다. 그리고 조니 실버핸드가 아라사카 나이트 시티 지사에 핵무기 테러를 벌인다. - 사이버펑크 2077
- 10월,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해 셀스텍이란 국가프로젝트인 COMS로 인해 일본의 어느 해역에서 땅이 갈라지는 슬로우 슬립 현상이 발생한다. 그 후 타도코로 유스케의 주장대로 히노지마(日之島)섬이 침몰하면 관동이 침몰한다는 언급이 나온다. 주장대로 그 섬은 침몰해 관동 침몰은 실제로 일어나지만 도쿄의 아라카와강 쪽에만 집중된 상태였다. 하지만 슬로우 슬립은 다시 일어나고 일본은 침몰되면서 홋카이도와 규슈의 일부, 아오모리 북부만 남는 기적이 일어났다. - 일본침몰-희망의 사람-
- 합성역 주변 카페에서 한국인 최초로 ‘시연’을 당해 지옥에 간 자가 나타났고, 이후 박정자의 시연이 전국에 생중계되면서 사이비 종교 새진리회가 대한민국 최대의 종교가 된다. 그리고 새진리회 1대 의장 정진수도 시연을 당하고 김정칠 목사가 2대 새진리회 의장이 된다. - 지옥
- 헤라팰리스 폭발 붕괴 사건으로 주단태가 죽고 40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10조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 펜트하우스 시리즈
- 피터 웨이랜드는 암 치료제로 다시 노벨상을 받고, 같은 해(2023년 3월) TED에서 연설을 한다. 웨이랜드는 여기서 인공지능 안드로이드를 언급한다. - 프로메테우스(에이리언 시리즈)
- 미중무역전쟁에서 패배한 미국은 경제가 침체되고, 이를 수습하지 못한 채 미국 전역에서 파업이 진행되고 디트로이트, 필라델피아에서 폭동이 일어난다. 거기에 중국은 내수시장을 위시한 경제 회복으로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행사해 북한을 합병하기 직전 상황까지 간다. - PMC: 더 벙커
- 호주 대륙이 물에 완전히 잠기고, 지구 온난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돼 모든 대륙이 침몰하는 미래가 확정된다. - Raft
- 퍼펙트 다크의 배경 연도.
13. 탄생[편집]
13.1. 실존 인물[편집]
- 3월 27일 : 프랑수아 앙리 루이 마리 기욤: 룩셈부르크의 공자
13.2. 가상 인물[편집]
- 4월 18일: 코우지 테츠야 - 신혼합체 고단나
- 7월 28일: 아모우 카나데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 10월 15일: 세레나 카덴차브나 이브 - 전희절창 심포기어 시리즈
- 11월 6일: 하야시 나나에 - 신혼합체 고단나
- 12월 2일: 와시오 사유리[55] - 과학닌자대 갓챠맨 OVA
14. 사망[편집]
14.1. 실존 인물[편집]
- 1월 1일
- 프레드 화이트 - 미국의 음악가(1955~)
- 1월 2일
- 1월 3일
- 1월 4일
- 페이 웰던 - 영국의 작가(1931~)
- 1월 5일
- 1월 6일
- 1월 7일
- 모데스트 음바미 - 카메룬의 前 축구선수(1982~)
- 1월 8일
- 1월 9일
- 1월 10일
- 1월 11일
- 안다성 - 대한민국의 가수(1930~)
- 밀레브스키 비탈리 이바노비치 - 우크라이나의 군인(1994~)
- 타카하시 유키히로 - 일본의 드러머, 가수, 작가, 패션 디자이너(1952~)
- 홍우철 - 대한민국의 정치인(1954~)
- 캐롤 쿡 - 미국의 배우(1924~)
- 1월 12일
- 리사 마리 프레슬리 - 엘비스 프레슬리의 딸이자 마이클 잭슨의 첫 번째 부인이자 미국의 싱어송라이터(1968~)
- 리 틴슬리 - 미국의 야구선수(1969~)
- 최민서 - 대한민국의 군인(2002~)
- 1월 13일
- 1월 14일
- 우에타 미유키 - 일본의 연쇄살인마(1973~)
- 1월 15일
- 1월 16일
- 지나 롤로브리지다 - 이탈리아의 배우(1927~)
- 1월 17일
- 1월 18일
- 이종윤 - 대한민국의 목사(1940~)
- 1월 19일
- 1월 20일
- 1월 21일
- 1월 22일
- 김양자 - 넥센의 감사(1942~)
- 1월 23일
- 권갑용 - 대한민국의 바둑기사(1957~)[57]
- 카도타 히로미츠 - 일본의 야구선수(1948~)
- 드미트로 샤르파르 - 우크라이나의 피겨스케이팅선수(1997~)
- 사벤코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 러시아의 과학자, 교수(1972~)
- 1월 24일
- 1월 25일
- 임형두 - 대한민국의 언론인(1938~)
- 볼로디미르 안드로슈크 - 우크라이나의 육상 선수(2001~)
- 1월 26일
- 1월 27일
- 김문숙 - 대한민국의 무용가(1928~)
- 1월 28일
- 이충순 - 대한민국의 야구인(1946~)
- 1월 29일
- 비토 키멘티 - 이탈리아의 축구감독(1953~)
- 1월 30일
- 바비 헐 - 캐나다의 아이스하키 선수(1939~)
- 1월 31일
- 2월 1일
- 한병수 - 대한민국의 정치인(1953~)
- 2월 2일
- 2월 3일
- 임보라 - 대한민국의 목사(1968~)
- 2월 4일
- 2월 5일
- 2월 6일
- 2월 7일
- 프리델 루츠 - 독일의 前 축구선수(1939~)
- 2월 8일
- 코디 롱고 - 미국의 영화배우(1988~)
- 미로슬라프 블라제비치 - 크로아티아의 축구감독(1935~)
- 이고르 만구셰프 - 러시아의 군인, 민간군사기업 E.N.O.T.의 공동창립자(1986~)
- 2월 9일
- 마르코스 알론소 페냐 - 스페인의 前 축구감독(1959~)
- 오극렬 - 북한의 군인, 정치인(1930~)
- 스트크 귀벤츠 - 튀르키예의 치과의사 출신 정치인(1961~)
- 2월 10일
- 2월 11일
- 2월 12일
- 닐라이 아이도간 - 튀르키예의 농구선수(1992~)
- 2월 13일
- 2월 14일
- 2월 15일
- 2월 16일
- 2월 17일
- 최동욱 - 대한민국의 DJ(1936~)
- 2월 18일
- 크리스찬 아추 - 가나의 축구선수(1992~)
- 유영기 - 대한민국의 인간문화재(1936~)
- 일라리오 카스타녜르 -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이자 감독(1940~)
- 2월 19일
- 잔센 파네티어 - 미국의 배우(1994~)
- 2월 20일
- 2월 21일
- 2월 22일
- 2월 23일
- 강석구 - 대한민국의 정치인(1960~)
- 2월 24일
- 2월 25일
- 센다 미츠오 - 일본의 성우(1940~)
- 2월 26일
- 2월 27일
- 김태웅 - 대한민국의 정치인(1961~)
- 2월 28일
- 3월 1일
- 3월 2일
- 3월 3일
- 3월 5일
- 3월 6일
- 3월 7일
- 드미트로 코추바일로 - 우크라이나의 군인(1995~)
- 3월 8일
- 이탈로 갈비아티 -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이자 감독(1939~)
- 3월 9일
- 3월 10일
- 헤수스 알루 - 미국의 前 야구선수(1942~)
- 3월 11일
- 3월 12일
- 3월 13일
- 3월 14일
- 3월 15일
- 로만 렌트너 - 폴란드의 축구선수, 감독(1937~)
- 3월 16일
- 돈 멕슨 - 잉글랜드의 축구선수, 감독(1936~)
- 3월 17일
- 3월 18일
- 김철우 - 대한민국의 변호사(1954~)
- 3월 19일
- 김영환 - 대한민국의 정치인(1935~)
- 3월 20일
- 페르카사 벨라와 - 인도네시아의 배드민턴 선수(2001~)
- 3월 21일
- 3월 22일
- 3월 24일
- 3월 25일
- 임창수 - 밴드 N.E.X.T의 기타리스트(1969~)
- 3월 27일
- 3월 28일
- 3월 29일
- 3월 31일
- 비탈리 메리노우 - 우크라이나의 권투 선수(1990~)
- 4월 1일
- 4월 2일
- 윤임술 - 대한민국의 언론인(1923~)
- 성신제 - 대한민국의 기업인(1948~)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 러시아의 군사블로거(1982~)
- 주디 패럴 - 미국의 배우, 작가(1938~)
- 4월 3일
- 4월 4일
- 4월 5일
- 4월 6일
- 폴 캐터몰 - 영국의 배우 겸 가수이자 벽돌공(1977~)
- 4월 8일
- 마이클 러너 - 미국의 배우(1941~)
- 4월 9일
- 고유성 - 대한민국의 만화가(1948~)
- 오요한 - 홍콩의 배우(1939~)
- 배승아 - 대한민국의 대전 스쿨존 음주운전 사망 사건 피해자(2013~)
- 이종오 - 대한민국의 변호사(1951~)
- 4월 11일
- 4월 12일
- 여니 - 대한민국의 인플루언서(1996~)
- 4월 13일
- 4월 14일
- 4월 15일
- 이상연 - 대한민국의 정치인(1936~)
- 4월 16일
- 4월 17일
- 4월 18일
- 이계영 - 대한민국의 배우(1953~)
- 4월 19일
- 4월 20일
- 4월 22일
- 배리 험프리스 - 호주의 희극 배우(1934~)
- 4월 23일
- 원법우 - 독일의 원불교 교무(1957~)
- 4월 24일
- 도동환 - 대한민국의 영화인(1938~)
- 4월 25일
- 4월 26일
- 박희민 - 대한민국의 목사(1936~)
- 4월 27일
- 4월 28일
- 백낙삼 - 대한민국의 사진사(1931~)
- 4월 29일
- 마이크 섀넌 - 미국의 前 야구선수(1939~)
- 4월 30일
- 5월 1일
- 5월 2일
- 안형식 - 대한민국의 교수(1959~)
- 안구순 - 대한민국의 정치인(1935~)
- 알레산드로 달라트리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1955~)
- 5월 3일
- 니키차 발렌티치 - 크로아티아 제5대 총리(1950~)
- 5월 4일
- 5월 5일
- 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 스페인의 前 축구선수, 축구감독(1930~)
- 에르하르트 귀르스 - 나치 독일의 무장친위대 중위, 파이퍼 사단 소속의 군인(1920~)
- 5월 6일
- 메나헴 프레슬러 - 독일 태생의 이스라엘계 미국인 피아니스트(1923~)
- 5월 7일
- 바이다 블루 - 미국의 前 야구선수(1949~)
- 5월 9일
- 5월 10일
- 5월 11일
- 나카니시 후토시 - 일본의 야구선수(1933~)
- 5월 12일
- 해수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1993~)
- 5월 15일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미국의 경제학자(1937~)
- 5월 16일
- 매를린 바워 헤이그 - 미국의 프로 골퍼(1934~)
- 5월 17일
- 5월 18일
- 헬무트 베르거 - 오스트리아의 배우(1944~)
- 5월 21일
- 레이 스티븐슨 - 영국의 배우(1964~)
- 5월 22일
- 공정자 - 대한민국의 교육자, 남서울대학교 명예총장(1940~)
- 5월 24일
- 티나 터너 - 미국, 스위스의 가수(1939~)
- 5월 28일
- 5월 29일
- 문용린 - 대한민국의 공무원(1947~)
14.2. 가상 인물[편집]
- 1월 7일: 짐승친구들 -
새대갈 - 2월: 더 글로리 - 전재준
- 8월 6일: 펜트하우스 III - 주단태, 조호영
- 8월 30일: 펜트하우스 III - 하윤철, 심수련
- 12월: 사치 - 소드 아트 온라인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15. 데뷔[편집]
15.1. 가수[편집]
- BABYMONSTER
- BOYNEXTDOOR
- LIMELIGHT
- tripleS
- KAILAS
- SG5
- NCT 도재정
- 위쳐스
- 제로식스
- 8TURN
- xikers
- MAVE:
- HAWW
- XODIAC
- IB147
- Feverse
- VI'ENX
- TMC
- PLAVE
- ADYA
- LUN8
- weus
- 더윈드
- ZEROBASEONE(예정)
15.2. 배우[편집]
16. 해체[편집]
16.1. 가수[편집]
17. 은퇴[편집]
17.1. 스포츠[편집]
- 가레스 베일
- 강동연
- 김성표
- 닐스 페테르센
- 다미르 이스마굴로프
- 대런 오데이
- 무토 케이지
- 안드레 이궈달라
- 양희종
- 이현석
- 크리스티안 푹스
- 하프나 마이크
- 스캇 오버그
- 메수트 외질
- 보얀 크르키치[62]
- 한채진
- 호아킨 산체스
- 시메 브르살코
- 김주하
- 박주호
17.2. 인터넷 방송[편집]
18. 출시 상품[편집]
18.1. 전자 제품[편집]
- 갤럭시 S23 | S23+ | S23 Ultra
- 갤럭시 북3 360 | 갤럭시 북3 Pro | Pro 360 | 갤럭시 북3 Ultra
- 갤럭시 A34 5G
- 갤럭시 A 시리즈/2023년
- 갤럭시 M 시리즈/2023년
- 갤럭시 F 시리즈/2023년
18.2. 자동차[편집]
18.3. 서비스[편집]
19. 히트작[편집]
19.1. 영화[편집]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 길복순
-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 스즈메의 문단속
-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 존윅 4
- 정이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 인어공주
-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
- 메간
19.2. 드라마[편집]
19.2.1. 지상파(KBS1/2, SBS, MBC)[편집]
- 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 (MBC)
- 내 눈에 콩깍지 (KBS1)
- 두뇌공조 (KBS2)
- 마녀의 게임 (MBC)
- 모범택시 2 (SBS)
- 법쩐 (SBS)
- 삼남매가 용감하게 (KBS2)
- 위기의 X (MBC)
- 진짜가 나타났다! (KBS2)
- 태풍의 신부 (KBS2)
- 낭만닥터 김사부 3 (SBS)
19.2.2. 종합편성채널[편집]
19.2.3. 케이블 및 스트리밍, 기타[편집]
19.3. 애니메이션[편집]
- 더빙/국산
- 극장판
- 자막
- 종말의 발키리 Ⅱ
- 진격의 거인 4기
- 분기별/일본
- 1분기
- D4DJ All Mix
- The Legend of Heroes 섬의 궤적 Northern War
- 개가 되었더니 좋아하는 사람이 날 주웠다.
- 괴롭히지 말아요, 나가토로 양 2nd Attack
- 노후를 대비해 이세계에서 금화 8만 개를 모읍니다
- 니어:오토마타 Ver1.1a
- 니지욘 애니메이션
- 대설해의 카이나
- 도쿄 리벤저스: 성야결전편
- 마왕학원의 부적합자 Ⅱ ~사상 최강의 마왕인 시조, 전생해서 자손들의 학교에 다니다~
- 문호 스트레이독스 4기
- 빙검의 마술사가 세계를 다스린다
- 빙속성 남자와 쿨한 동료 여자
- 슈거 애플 페어리 테일
- 스파이 교실
- 신들에게 주워진 남자 2
- 심부름꾼 사이토 씨, 이세계에 가다
- 아르스의 거수
- 아야카시 트라이앵글
- 아픈 건 싫으니까 방어력에 올인하려고 합니다. 2
- 영웅왕, 극한의 무를 위해 전생하다 ~그리고 세계 최강의 견습기사가 되다♀~
- 옆집 천사님 때문에 어느샌가 인간적으로 타락한 사연
- 오빠는 끝!
-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 전생 왕녀와 천재 영애의 마법 혁명
- 진 진화의 열매 ~모르는 사이 성공한 인생~
- 최강 음양사의 이세계 전생기
- 츤데레 악역 영애 리젤로테와 실황의 엔도 군과 해설의 코바야시 양
- 쿠보 양은 나를 내버려두지 않아
- 토모 짱은 여자아이!
- 트라이건 스탬피드
- 포켓몬스터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 해고당한 암흑병사(30대)의 슬로우한 세컨드 라이프
- 한 판 더!
- 흡혈귀는 툭하면 죽는다 2
- 2분기
- BIRDIE WING -Golf Girls' Story- Season 2
- THE MARGINAL SERVICE
- 곰 곰 곰 베어 펀치!
-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
- 그녀가 공작저로 가야 했던 사정
-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 나의 백합은 일입니다!
- 내 옆에 은하
-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 너는 방과 후 인섬니아
- 너무 귀여운 크라이시스
- 마법사의 신부 2기
- 마이 홈 히어로
- 베리베리 뮤우뮤우 뉴~♡ 2기
- 사정을 모르는 전학생이 거침없이 다가온다.
- 스킵과 로퍼
- 신 없는 세계의 신 활동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
- 야마다 군과 Lv999의 사랑을 하다
- 어쨌든 귀여워 시즌 2
- 오타쿠 엘프
- 여신의 카페테라스
- 월드 다이 스타
- 이 멋진 세계에 폭염을!
-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 2
- 이세계 소환은 두 번째입니다
- 이세계에서 치트 스킬을 얻은 나는 현실 세계에서도 무쌍한다 ~레벨업이 인생을 바꿨다~
- 이세계 원턴킬 누나 ~누나 동반 이세계 생활 시작했습니다~
- 인연의 알레르
- 전생귀족의 이세계 모험록 ~자중할 줄 모르는 신들의 사도~
- 지옥락
- 쿠보 양은 나를 내버려두지 않아
- 푸른 오케스트라
- 【최애의 아이】
- 천국대마경
- 1분기
19.4. 게임[편집]
- Garten of Banban
- Limbus Company
- Minecraft Legends
- Sons of the Forest
- 데드 스페이스
- 데드 아일랜드 2
- 디아블로 4
- 랜덤채팅의 그녀
- 붕괴: 스타레일
- 아토믹 하트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
- 바이오하자드 RE:4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호그와트 레거시
19.5. 특촬[편집]
- 일본
- 한국
19.6. 가요[편집]
- 한국
- aespa - Spicy
- IVE - Kitsch, I AM
- LE SSERAFIM - UNFORGIVEN (Feat. Nile Rodgers)
- NewJeans[63] - Ditto[64] , OMG, Zero
- NMIXX - Young, Dumb, Stupid, Love Me Like This
- STAYC - Poppy, Teddy Bear
- Zior Park - CHRISTIAN
- 부석순 - 파이팅 해야지 (Feat. 이영지)
- 세븐틴 - Fuck my life, 손오공 (Super)
- (여자)아이들 - 퀸카
- 지수 - 꽃 (FLOWER)
- 태양 - VIBE (Feat. Jimin of BTS)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Sugar Rush Ride
- imase - NIGHT DANCER[65]
- 해외
- 마일리 사이러스 - Flowers
- 모건 월렌 - One Thing At A Time
- 스즈메의 문단속 - すずめ
- 찰리 푸스 - I Don't Think That I Like Her
- Grupo Frontera, Bad Bunny - Un x100to
- FIFTY FIFTY - Cupid[66]
- The Weeknd, Ariana Grande - Die For You
- Karol G - Mañana Será Bonito
- SZA - Kill Bill
- YOASOBI - アイドル
19.7. 기타 분야[편집]
20. 유행어/밈[편집]
- 폼 미쳤다
- 시그마
- 근데 이제 뭐함?[67]
- 이게 노터치야?
- 더 글로리 관련 유행어
- 멋지다, 연진아!
- 스튜어디스 혜정아
- 알아들었으면 끄덕여
- 오늘부터 내 꿈은 너야
- 나 지금 되게 신나
- 이사라가 니 남친이야?
- 사실 어그로 맞음
- NewJeans 관련 유행어
- 04년생 클럽춤
- Maxwell Cat
- didn't i do it for you[69]
- 이건 마지막 경고요
- Only in Ohio[70]
- 나문희의 첫사랑
- 짱구야 아빠를 속인거니?
- 50억
- 맑은 눈의 광인
- 에헤이 조졌네 이거
- 토카토카 댄스
- 마따끄 - 블갤의 얼음마녀
- Do you speak English? I'm a street photographer.
- 그냥 빨리 해!
- 중국밈(向天再借五百年 노래)
- 와퍼
- 수아챌린지
- 망키!
- 제기랄, 또 ~~~야!
- OPEN NA NOOR
- ~가 되어줘
- AMBATUKAM
- 고도로 발달한 A는 B와 구분할 수 없다
- 봇치 더 록! 관련 드립
- OO의 문단속
- ○○는 이 일을 기억할 것입니다.
- 어떻게 지평좌표계로 고정을 하셨죠?
- CHRISTIAN
- 나이트 댄서
- 팅팅송
- 어이어이
- Happy Happy Happy
- 취재가 시작되자
- 인터넷 야메로
- 꽃 향기만 남기고 갔단다 - 지수
- 아디아디아디
- 강풍 올백
- ~한 건에 대하여
- 최애의 아이 댄스
- 와플
- 스키비디 토일렛
- 너 T야?
21. 달력[편집]
21.1. 연휴[편집]
- 1/21(토)~1/24(화): 설날 연휴
- 5/5(금)~5/7(일): 어린이날 연휴
- 5/27(토)~5/29(월): 부처님오신날 연휴[71]
- 6/3(토)~6/6(화):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
- 8/12(토)~8/15(화): 광복절 징검다리 연휴
- 9/28(목)~10/3(화): 추석·개천절 징검다리 연휴
- 10/7(토)~10/9(월): 한글날 연휴
- 12/23(토)~12/25(월): 성탄절 연휴
- 12/30(토)~2024년 1/1(월): 새해 첫날 연휴
[1] 3~12월 한정[2] 1월~2월 28일 한정으로는 2012년과 같다. 다만 2017년은 5월에도 근로자의 날과 샌드위치 데이를 모두 쉬면 최장 11일 연휴를 누릴 수 있었고, 그 때문에 음력 5월에 윤달이 생겼으며 추석 연휴도 임시 공휴일 지정으로 10일 연속으로 황금연휴였다.[3] 이 해의 선거 수는 앞의 해들에 비해 적으나 한국을 비롯해 프랑스 대선, 브라질 대선, 일본 참의원 선거, 미국 중간선거 등 규모 있는 선거들이 많았다.[4] 사실 이 당시 북극진동 편차는 0도 아니고 무려 +4~6에 가깝긴 했다. 제트기류에 갇혀 한기가 샐 틈이 없는 수준이다.[5] 12일 낮부터 서울은 최고기온 12.5°C를 기록하였고 13일에는 평균기온 8.3°C를 기록하며 해당 날짜들에 해당하는 기온 극값을 경신했다. 이외에도 대전이 12일 최고 15.6°C까지 올랐고, 부산은 13일 최고 16.3°C와 최저 13.7°C를 기록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기온이 4월 초중순 수준까지 올랐다.[6] 이후 기온이 떨어질 때 이 습기로 인해 전국 도로에 광범위한 블랙 아이스 현상이 발생하였다.[7] 이 한기가 중국-한국-일본을 차례로 강타하면서 강추위를 몰고 왔다.[8] 일평균은 -14.7°C로 해당일의 일평균 기록 극값을 경신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옛날만큼 한파가 강력하지 않음을 감안하면 낮 기온도 한파인 것은 유의미한 수치. 다만 한기가 내려온 시기가 늦어, 일 최고기온은 0시에 기록한 -6.9°C에 그쳤다.[9] 부산이 한파일수를 기록한 것은 21세기에 들어서 이번이 세 번째이다. 나머지는 2011년 1월 16일과 2021년 1월 8일뿐. 심지어 해방 이후로 범위를 넓혀도 1963, 1967, 1970, 1977년 1월에 하루씩이 전부다.[10] 2000년과 2004년 모두 상순, 중순이 고온이었다가 하순에 한파가 나타났다. 다만 2000년은 극초반 고온 이후 중순에 꾸준히 따뜻했으며, 2004년은 상순 전체가 따뜻했고 추가로 16~19일경이 고온이었다가, 심한 한파 이후 다시 고온으로 마무리되었다. 2023년은 온난했던 날을 꼽자면 1월 6~14일, 31일 정도로 일수는 더 적었지만 해당 시기에 이상 고온이 나타나며 강도는 더 강했고, 그렇다고 21일을 제외하면 15~23일에 특별히 추웠던 것도 아니다.[11] 2021년은 하순의 이상 고온으로 초중순의 강력한 한파를 상쇄했고, 2023년은 하순의 한파로 2주차의 이상 고온을 상쇄했다. 20일까지만 하면 서울 -5.2°C(편차 -3.2)였고, 2023년은 0.2°C(편차 +2.2) 가량이었다. 다만 평년 비슷범위였던 날이 적고 거의 모든 날이 이상 고온 아니면 추위였던 2021년과 달리 평년과 비슷한 날도 꽤 많았다.[12] 특히 서울 및 수도권 내륙. 게다가 열섬 현상은 흐린 날이거나 한파가 급격하게 내려올 때 공기의 움직임으로 생기는 바람으로 크게 약해지는데, 2월 초중순에 추위가 없는데다가 맑아서 서울의 열섬 현상이 더더욱 두드러진다. 이럴 경우 서울의 최저 기온 편차가 전국 평균보다 눈에 띄게 높은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인 사례로 2018년 8월, 2021년 7월, 2022년 4월, 7월, 11월이 있다.[13] 그나마 2일과 3일이 평년 수준이었다.[14] 월 최고극값은 21세기 최초로 10°C가 없어서 낮을 뻔했으나 27일이 12.4°C를 기록해서 낮은 편은 아니다. 2023년 2월은 변화가 적고, 특히 중부 지방에서는 거의 2월 하순~3월 상순만 한 달인 듯한 형태다.[15] 크지 않은 무난한 추위만 한두번 찾아와 최저기온 극값이 매우 높았고(서울 -5.3°C, 2002년에는 -5.1°C) 남은 기간은 평소보다 온화했으나 초이상 고온, 기온 급상승은 전반적으로 적었다. 월 최고극값도 상당히 비슷하게(서울이 12.4°C, 2002년에는 12.6°C) 전체 고온에 비해서는 높지 않은 값을 기록했다. 또한 2023년과 유사하게, 중부지방(특히 수도권 내륙)이 남부보다 고온이 조금 더 두드러진 편이다. 다만 2002년은 상,하순이 고온에 중순이 약간 낮은 평년 수준이었고, 2023년은 상,중순이 고온에 하순이 평년 수준이며, 전반적으로 일교차가 더 큰 편이다.[16] 21세기 들어 하순 중심으로 고온을 보이거나 저온도 줄어들고, 2010년대 이후로 하순 고온이 두드러졌는데 고온인 달은 하순을 중심으로 초고온이다. 단 2016년은 오히려 하순이 이상 저온이었다. 2023년은 오히려 하순이 정상인데다가, 일별 편차도 적은 편이다. 실제로 열섬이 나타나 최저기온이 높은 편인 서울에서도 2월 하순 최저기온은 단 하루도 영하를 벗어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가까운 사례로는 2017년과 2005년 정도가 있다. 정작 상순과 중순에는 최저기온 영상이 있었고, 이때문에 일최저 평균만큼은 하순이 오히려 가장 낮다.[17] 2월에 10°C를 기록하지 않은 건 2000년이 마지막이다.[18] 근래들어 2월 하순의 일교차는 일반적으로 큰 편이긴 하지만 2023년의 경우 추위가 찾아온 몇몇 날을 제외하면 최저기온은 평년 이하였다가 최고기온은 평년 이상을 기록한 날이 대부분이며, 하순 전체 평균 또한 그렇다. 즉 비교적 일관적으로 아침에는 겨울, 낮에는 초봄이었던 것.[19] 3월 23일경의 초고온에서 일평균 기온이 더 올라갔다. 이 시기의 고온으로 인해 이후 찾아온 냉기에도 불구하고 평년대비 편차가 매우 크다.[20] 강풍특보와 호우특보가 발효되었다. 제주산지 즉 한라산 인근 지역에서 최대 300mm, 시간당 최대 50~70mm의 장대비가 내리고 순간최대풍속은 삼각봉에서 최대 39m/s까지 불어닥쳤다.[21] 불과 며칠 전인 4월 2일에 하루 기준으로 역대 3위인 34건의 산불이 접수되는 등 크고 작은 산불이 많이 일어났는데, 봄비로 인해 모두 꺼졌다.[22] 서울 기준으로 보면 저온이 2~3일 이상인 적은 오랜만이며, 중부 지방 대부분에서 비슷한 양상이 일어났다.[23] 서울에서 6~9일이 평년값보다 1~3°C 가량 낮았지만, 1~4일에는 평균기온과 일최고기온은 매일 10°C 정도 웃돌았다.[24] 서울 기준 2013년 이후 10년만에 흐린 4월이며 2010년 이후로 가장 적었다.[25] 서울 기준으로 4월 초부터 25.9°C, 4월 중순에 28.4°C 기록이 있는데 정작 하순에는 최고 23°C조차 넘은 적이 없다. 4월 상순과 3월 하순에는 최고기온 평균조차 밀린다. 흥미롭게도 월 전체가 고온이 매우 강력했던 3월을 제외하고 1,2,4월은 하순이 편차가 가장 낮아 각각 월중 유일하게 음수를 기록하고 있다.[26] 물론 하순이 이상 저온인 것이 아니라 상순이 매우 높아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 것이긴 하다. 물론 대구 등 일부 지역은 하순이 이상 저온이었고 상순의 고온보다 더 심했다.[27] 서울 기준. 전국적으로는 그렇게까지 높진 않을 수도 있으나 그래도 17도대 후반으로 예상된다.[28] 한국 한정[29] 단위에서 학점으로 명칭도 변경되었다.[30] '학업성취율'도 당초 2025학년도부터 적용 예정이던 것이 2년 단축되었다.[31] '네이버 블로그'는 10월 12일, '네이버 카페'는 12월.[32] 추후 수요가 확보되면 본선으로 직통할 예정이다. 참고로 1980년대 중반만 1호선도 본선에서도 6, 8, 10량 열차가 혼재해서 다녔다. 1980년대 후반에 지선을 제외하면 전부 10량으로 다니게 되었다.[33] 물론 수인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공용 구간과 같이 6량 열차라도 본선 선로 공유는 가능해서 실제 운행 패턴은 개통하고 봐야 한다.[34] 만약 셔틀 열차만 운행한다면, 환승저항으로 인하여 연천 버스 G2001번이 계속 잘 나갈 수밖에 없다.[35] 이미 복선화는 2022년 12월에 완료했고, 전철화만 남은 상황이다.[36] 1월 28일로 개통일자를 잡았으나, 열차 반입 및 영업 시운전 등이 지연돼서 빨라도 3~6월 중에 개통하게 됐다.[37] 원래는 소사~대곡 구간과 동시 개통 예정이였으나 전동차 대수로 인한 배차 간격 조정으로 개통이 연기되었다.[38] 수도권 제2순환로 남양주∼양평 12.7㎞ 31일 오후 5시 개통, 연합뉴스, 2023-05-14[39] 아산-천안 고속도로 12월 완공 예정, 2023-02-14, 대전일보[40] 당초 2020년 12월 개통을 목포로 추진됐으나, 우회도로 개설 협의가 지연된 데다 레미콘협회 방침에 따라 2021년부터 공사 현장에 레미콘 차량 주말 반입이 안 되면서 공사에 차질이 생겨 개통이 늦어졌다.(국도 3호선 우회도로 연천∼동두천 구간 31일 오전 10시 개통, YTN, 2023-05-27)[41] 해당 체크무늬 패턴에 저작권을 갖고 있는 버버리에서 2019년부터 상표권을 침해했다고 문제를 제기한 것 때문이다.[42] 원래 2025년부터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2년 앞당겨졌다.[43] 규모가 3.0 이하인 지진이므로 기상청의 지진재난문자는 발송되지 않았고, 발생 직후 대전시청에서 수동으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44] 드론 공격으로 추정되고 있다.[45] 수도권 제2순환로 남양주∼양평 12.7㎞ 31일 오후 5시 개통, 연합뉴스, 2023-05-14[46] 국가의 경계를 넘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국가에서 적은 국가로 상품 및 서비스를 수출할 때 무역관세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세제.[47] 완공은 2월에 이미 했으나 정식 개장일은 발표하지 않았다.[48] 해당 국가의 전신인 체코슬로바키아와 1990년 3월 22일에 수교했으나, 양국의 기록은 체코로 승계됨에 따라 1993년에 재수교했다.[49] 당초 예상으로 50주년 특집 방송은 그 다음날(2월 19일)이 유력할 것으로 보였으나 언론 보도 자료에 의하면 당일에 본방송, 다음날 재방송이 진행될 예정이다.[50] 정확히 따지면 Ez2ac의 정식 시리즈다. Ez2dj 시리즈는 1st부터 AEIC까지 Ez2dj라는 이름으로 되어있다. EZ2AC : ENDLESS CIRCULATION 기준이다.[51] 팝픈뮤직 Sunny Park 기준이다.[52] 작중 점쟁이가 서단의 인생엔 한 남자만 있는데 그 남자가 3년 전에 죽었다고 언급했다. 2020년으로부터 3년이 지난 것.[53] 로보냥F와 무사냥이 어찌 됐는지 불명이나, 로보냥F는 타임머신 기능(?)으로 넘어온 거라 추정된다.[54] 마지막회에서 규진과 나희가 쌍둥이 임신을 알고 기뻐한 뒤 3년이 흘렀다.[55] 독수리 켄의 어머니. 2화 초반에 묘비가 공개된다.[56] 2022년 4월 20일 ~ 2023년 1월 17일.[57] 바둑기사 권효진의 아버지, 최초의 부녀 바둑기사. 최초의 바둑학원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며, 바둑학원에서 이세돌을 포함 8명의 바둑 세계 챔피언을 양성.[58] 대표작으로 검정고무신으로 유명하다.[59] 공공의 적에 나오는 "이건 너무한거 아니냐고, C8!" 유행어 대사로 유명하다.[60] 돌아온 울트라맨의 주인공 고 히데키 역으로 유명하다.[61] 주요 출현작으로는 내 남자의 여자 등이 있다.[62] 최소 메시로 불렸다.[63] Hype Boy와 함께 멜론 월간 3개월 연속 1, 2, 3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64] 멜론 일간 99일 연속 1위, 주간 14주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65] J-pop 최초로 멜론 일간차트 Top 100안에 들었다.[66] 한국 아이돌 걸그룹으로, 현재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다소 부족하나 빌보드 핫100 차트에 진입하며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67] 2021년에 연재되면서 등장한 유행어지만 작중 시간대인 2023년이 오자 다시 유행한 것으로 추정된다.[68] 또는 저 혹시 ~로 갈려면 어떻게 해야...[69] 주둥이가 긴 개로 유명한 보르조이가 프링글스 꺼내는 건데 패러디가 정말 많다. 굳이 프링글스를 꺼내는 이유는 프링글스의 통이 매우 길어서 손으로 꺼낼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한 듯. 뒤집으면 되는데...[70] 사실상 오하이오 자체가 밈이다. 우리나라로 치면 '안 산드레아스' 정도.[71] 최초로 부처님오신날에 대체 휴일이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