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소닉 경식 야구부

덤프버전 :

파일:파나소닉 로고.svg
파나소닉 스포츠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170> 파일:감바 오사카 로고.svg ||<width=170> 파일:파나소닉 팬서스.png ||<width=170> 파일: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png ||<width=170> 파일:panasonic-baseball-logo.png ||
||<rowbgcolor=#e6e6e6,#191919> 감바 오사카 || 파나소닉 팬서스 || 사이타마 파나소닉 와일드 나이츠 || 파나소닉 경식 야구부 ||
||<width=170> 파일:파나소닉 엔젤스.png ||<width=170> 파일:파나소닉 임펄스.png ||<width=170> 파일:파나소닉 블루벨스.png ||<width=170> 파일:파나소닉 검도부.png ||
||<rowbgcolor=#e6e6e6,#191919> 파나소닉 엔젤스 || 파나소닉 임펄스 || 파나소닉 블루벨스 || 파나소닉 검도부 ||



파나소닉 경식 야구부
パナソニック硬式野球部
파일:panasonic-baseball-logo.png
가맹 단체일본야구연맹
가맹 분류기업 구단
창부1950년
연고지오사카부 키타카와치군 카도마정 (1950~1963)
오사카부 카도마시 (1963~ )
연습 구장파나소닉 베이스볼 스타디움
도시대항야구대회 성적
출전56회
최고 성적준우승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 성적
출전42회
최고 성적우승(2회)

1. 개요
2. 역사
3. 출신 선수



1. 개요[편집]


파나소닉 스포츠 산하의 일본의 사회인야구단.

일본생명 야구부와 더불어 칸사이권을 대표하는 강호 야구부로 수많은 명승부를 제조한 구단으로 알려져 있다.

단, 50회가 넘는 도시대항야구대회 출전 횟수에 비해 지독할 정도로 우승과는 인연이 없는걸로도 유명하다. 결승이라도 많이 가 봤으면 모를까 결승 진출 자체도 1960년 대회 단 한 번뿐이다.


2. 역사[편집]


1950년에 마쓰시타 전기 산업 본사가 있는 오사카부 키타카와치군 카도마정을 본거지로 삼고 마츠시타 전기 야구부로서 창부했다.

창부 3년째인 1953년에 도시대항야구대회 첫 출전을 완수했으며 창부 10년째인 1960년 도시대항야구대회 준우승을 차지한다.

1963년 8월 1일자로 카도마정의 시제 시행에 따라 본거지가 오사카부 카도마시로 변경했다.

1974년 처음 개최된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에선 제 1회 대회부터 첫 출전했으며 1979년과 1999년에는 준우승을, 2000년 대회에서는 비원의 첫 우승을 차지한다.

2005년엔 도시대항야구대회 2차 예선에서 클럽팀인 NOMO 베이스볼클럽에 패배하며 대회 본선 연속 출전 기록이 6년째에서 멈춰버리는 굴욕을 당했다. 본선 진출에 실패한 이후 설욕을 하기 위새 맹연습에 돌입, 그 해 가을에 열린 사회인야구일본선수권대회에서는 결승전에서 NTT 서일본을 연장 접전 끝에 2:1 끝내기 승리를 거두며 2번째의 우승을 차지했다.

2008년 10월 1일, 마츠시타 전기 산업이 파나소닉으로 사명을 변경했고 그에 따라 구단명을 파나소닉 야구부로 개칭했다.

2016년 도시대항야구대회에서 킨키 지구 제 4대표로 출전하면서 팀 통산 50번째 본선 출전이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이 기록은 일본생명(오사카시)에 이은 역대 2번째 기록이다.

2022년 4월 1일, 파나소닉에서 스포츠 클럽 사업의 전반적인 운영을 다루는 회사 파나소닉 스포츠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파나소닉 야구부는 파나소닉 본사가 아닌 파나소닉 스포츠에서 위탁 운영을 맡게 되는 형태가 되었다.


3. 출신 선수[편집]


이름포지션프로 입단경력
코노 아키테루내야수1954년한큐(1954~1960, 1964~1966)-주니치(1961~1963)-니시테츠(1967)
아리타 테츠조투수1967년 드래프트 8순위히로시마(1969~1973)[1]
히노 시게루내야수1967년 드래프트 외주니치(1968~1971)-니시테츠/타이헤이요(1972~1974)
카토 히데지내야수1968년 드래프트 2순위한큐(1969~1982)-히로시마(1983)-킨테츠(1984~1985)-요미우리(1986)-난카이(1987)
오카다 미츠오투수1968년 드래프트 3순위킨테츠(1969~1978)
후쿠모토 유타카외야수1968년 드래프트 7순위한큐(1969~1988)
우에다 요조투수1971년 드래프트 9순위롯데(1972~1976)
요시무라 켄지내야수1972년 드래프트 외타이헤이요(1973~1974)
후쿠이 야스오투수1974년 드래프트 1순위킨테츠(1975~1983)-히로시마(1984)
야마구치 타카시투수1974년 드래프트 1순위한큐(1975~1982)
타카하시 히로시포수1976년 드래프트 5순위야쿠르트(1977~1984)
후쿠마 오사무투수1978년 드래프트 1순위롯데(1979~1981)-한신(1981~1990)
야마다 츠토무외야수1980년 드래프트 4순위난카이(1981~1988)-히로시마(1989~1990)
오카모토 코투수1982년 드래프트 2순위요미우리(1983~1988)-세이부(1989~1990)
코하라 히데타카투수1987년 드래프트 외요미우리(1988~1989)
시오자키 테츠야투수1989년 드래프트 1순위세이부(1990~2004)
미즈모토 카츠미포수1989년 드래프트 외히로시마(1990~1991)
코이케 히데오투수1992년 드래프트 1순위킨테츠(1993~1999, 2002~2004)-주니치(2000~2001)-라쿠텐(2005)
코이케 타쿠이치투수1992년 드래프트 6순위주니치(1993~1999)-킨테츠(2000~2001)
하라이 카즈야내야수1995년 드래프트 5순위세이부(1996~2002)-롯데(2003~2005)
타테야마 요시노리투수1998년 드래프트 2순위[역지명]닛폰햄(1999~2010)-TEX(2011~2012)-한신(2014)
아이쿄 히사시투수2000년 드래프트 2순위[역지명]킨테츠(2001~2004)-라쿠텐(2005~2009)
오오쿠보 마사노부투수2000년 드래프트 2순위[역지명]오릭스(2001~2010)
오카자키 타이치포수2004년 드래프트 자유획득범위한신(2005~2020)
쿠보 야스토모투수2004년 드래프트 자유획득범위롯데(2005~2008)-한신(2009~2013)-DeNA(2014~2017)
쿠스키 유스케외야수2008년 드래프트 5순위라쿠텐(2009~2011)-야쿠르트(2012~2013)
닛타 겐지포수2008년 드래프트 5순위야쿠르트(2009~2014, 2017)
아키요시 료투수2013년 드래프트 3순위야쿠르트(2014~2018)-닛폰햄(2019~2021)-소프트뱅크(2022)
콘도 타이스케투수2015년 드래프트 2순위오릭스(2016~)
아다치 유이치포수2015년 드래프트 6순위라쿠텐(2016~2021)
후지타니 코스케투수2016년 드래프트 8순위한신(2017~2021)
미야모토 슈메이내야수2017년 드래프트 7순위DeNA(2018~2022)
요시카와 슌페이투수201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ARI)비살리아 로하이드(2019~202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8:17:57에 나무위키 파나소닉 경식 야구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입단 거부 후 마츠시타 전기에 입사. 이후 1968년 드래프트 최종 기한을 앞두고 히로시마에 입단.[역지명] A B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