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의 라인배럴/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강철의 라인배럴

강철의 라인배럴 (2008~2009)
鉄のラインバレル
Linebarrels of Iron
파일:EI91TTxX0AAQ4Gk.jpg
1. 개요
4. 음악
4.1. 주제가
4.1.2. ED1
4.1.3. ED2
4.2. 삽입곡
5. 회차 목록
6.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강철의 라인배럴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곤조가 애니메이션화 하여 2008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방영되었다. 전24화. 감독은 히다카 마사미츠. 히다카 감독의 인맥으로 곤조보다는 선라이즈 스태프가 많이 참가했다.


2.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철의 라인배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철의 라인배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음악[편집]



4.1. 주제가[편집]



4.1.1. OP[편집]


OP
鬼帝の剣
귀제의 검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ALI PROJECT
연주
작사타카라노 아리카(宝野アリカ)
작곡카타쿠라 미키야(片倉三起也)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鬼帝の剣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1.2. ED1[편집]


ED1
雨が降る
비가 내리다
TV ver.
Full ver.
노래사카모토 마아야
작사
작곡카노 카오리(かの香織)
편곡사이토 네코(斎藤ネコ)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1.3. ED2[편집]


ED2
Remedy
TV ver.
Full ver.
노래사카모토 마아야
작사
작곡Solaya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4.2. 삽입곡[편집]


14, 22, 24화 삽입곡
心のままに
마음 가는대로
Full ver.
노래코미네 리사(コミネリサ)
작사코미네 리사(小峰理紗)
작곡
편곡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18, 24화 삽입곡
PROUD
Full ver.
노래코미네 리사(コミネリサ)
작사코미네 리사(小峰理紗)
작곡야마자키 마스미(山崎ますみ)
편곡야마자키 준(山崎 淳)
에구치 타카히토(江口貴勅)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5.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메카
작화감독
방영일
TVA
#1クロガネと少年
쿠로가네와 소년
요시무라 키요코
(𠮷村清子)
히다카 마사미츠히다카 마사미츠히라이 히사시스즈키 츠토무
(鈴木 勤)
2008.10.04.
#2疾走する正義
질주하는 정의
오쿠노 히로유키
(奥野浩行)
2008.10.11.
#3蒼の戦慄
푸른 전율
토모다 마사하루
(友田政晴)
타카기 준
(高木 潤)
카와하라 토모히로
(川原智弘)
2008.10.18.
#4正義の代償
정의의 대가
키쿠치 카츠야카도 토모아키
(門 智昭)
카와하라 토모히로
스즈키 츠토무
2008.10.25.
#5明日への道標
내일로의 이정표
나무라 히데토시
(名村英敏)
시라이시 미치타
(白石道太)
코지마 아키라
(小島 彰)
카와하라 토모히로2008.11.01.
#6明るい夜
밝은 밤
코바야시 타카시
(小林孝志)
노자키 신이치
(野崎真一)
스즈키 츠토무2008.11.08.
#7サイアクな放課後
최악의 방과후
야나기사와 테츠야하타케야마 시게키
(畠山茂樹)
야마모토 젠야
(山本善哉)
카와하라 토모히로2008.11.15.
#8戯れの鬼たち
장난스런 오니들
와타나베 테츠야
(渡邊哲哉)
오쿠노 히로유키-2008.11.22.
#9ブラック・チェンバー
블랙 체임버
모리타 시게루
(森田 繁)
오노 마나부카토 리호코
(加藤リホコ)
야가미 코이치
(矢上孝一)
카와하라 토모히로2008.11.29.
#10OVER DRIVE요시무라 키요코나무라 히데토시아베 타츠야
(阿部達也)
아베 타츠야
후데사카 아키노리
(筆坂明規)
카와하라 토모히로
스즈키 츠토무
2008.12.06.
#11SUPER NOVA후지모리 카즈마
(藤森カズマ)
키쿠치 카츠야타카기 준카와하라 토모히로2008.12.13.
#12南海より愛をこめて
남해보다 사랑을 담아
야나기사와 테츠야코바야시 타카시코지마 아키라2008.12.20.
#13黒の執行者
검은 집행자
오노 마나부노부타 유우코바야시 토시미츠2008.12.27.
#14流れるは血、失うは涙
흐르는 건 피, 잃는 건 눈물
모리타 시게루와타나베 테츠야하타케야마 시게키야마모토 젠야
와타나베 토시노리
(渡部穏寛)
2009.01.10.
#15ベクトル
벡터
요시무라 키요코스나가 츠카사세키노 마사히로
(関野昌弘)
카도 토모아키2009.01.17.
#16黄昏の断罪
황혼의 단죄
모리타 시게루히다카 마사미츠
야마모토 타마요
(山本珠代)
요시자와 슌이치
(吉沢俊一)
츠치야 케이
(土屋 圭)
와타나베 준코
(渡辺純子)
2009.01.24.
#17機械じかけの呪い
기계 장치의 저주
요시무라 키요코키쿠치 카츠야타카기 준
후데사카 아키노리
2009.01.31.
#18メメント・モリ
메멘토 모리
와타나베 테츠야니시모토 유키오아오노 아츠시2009.02.07.
#19届く陽、暴かれる陰
닿는 빛, 날뛰는 그림자
나무라 히데토시코바야시 타카시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사카자키 타다시
(坂崎 忠)
2009.02.14.
#20運命の男
운명의 남자
스나가 츠카사시라이시 미치타코지마 아키라2009.02.21.
#21狂気の翼
광기의 날개
모리타 시게루노부타 유우코바야시 토시미츠2009.02.28.
#22鬼を喰らうモノ
오니를 먹는 자
요시무라 키요코요시자와 슌이치에비하라 마사오
(海老原雅夫)
-2009.03.07.
#23死に方が決める生き方
죽는 법을 결정하는 사는 법
스나가 츠카사키쿠치 카츠야타카기 준
후데사카 아키노리
카와하라 토모히로2009.03.14.
#24鋼鉄の華
강철의 꽃
후지모리 카즈마세키노 마사히로이이지마 히로야스즈키 츠토무2009.03.21.
OVA
#25天才美少女科学者
レイチェルちゃん
천재 미소녀 과학자 레이첼
요시무라 키요코야나기사와 테츠야요시자와 슌이치타카기 준스즈키 츠토무2009.08.26.
#26鉄の影
강철의 그늘
키쿠치 카츠야아오노 아츠시-


6. 평가[편집]


방영 당시 원작이 현재진행형이였기 때문에 원작과 다소 다른 전개로 나간다. 작가 두 사람은 거의 참여하지 않고 스탭들에게 모든 걸 맡겼다고. 대사 등은 원작과 유사하나 전체적인 내용은 캐릭터와 로봇, 대사, 세계관만을 빌려온 오리지널 작품에 가깝다. 또한 원작보다 빨리 완결되었다.

이에따라 캐릭터들의 기본 설정 많은 부분에서 변경이 있다. 일단 원작에선 중반 이후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이 모두 초반부터 등장하게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설정, 성격, 비중이 바뀐 캐릭터들도 있다. 또한 애니에서만 등장하는 오리지널 캐릭터(주로 여성)가 많이 추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메카 액션물과 소년 성장물이라는 복합 쟝르의 장점을 성공적으로 살려내 다양한 주변 인물들과 더불어 주인공의 모험을 흥미진진하게 그렸으며 메카들의 전투도 제작사 곤조의 장기인 컴퓨터 그래픽을 통해 3D CG로 박진감 넘치게 구현되었다. 연출가도 대부분 능력자이고 CG를 이타노 이치로가 감수해 옛날 CG 티는 나도 질 자체는 괜찮다. 성우진도 호화롭다.[1]

하지만 원작과 달라진 전개 일부에 불만을 품는 사람도 있고, 원작 자체가 서비스 씬이 없었던 만화는 아니지만 그 빈도가 매우 잦어졌다는 점에서 불만을 품는 팬들도 있다.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이 작품은 코나미가 스폰서 중 하나였다.[2] 게임도 코나미의 계열사인 허드슨에서 제작했었고 완구도 코나미 쪽에서 발매했던 적이 있다. 코나미와 관련된 작품 중에선 천원돌파 그렌라간보다 먼저 슈로대에 나왔던 셈.

1.원작 설정 개무시
2.3D CG 로봇 액션
3.원작 캐릭터 디자인과의 괴리감

등 여러모로 곤조스타일이 두드러진 작품.

애니 방영 기념으로 주인공 성우인 카키하라 테츠야, 노토 마미코가 '강철의 라디오바렐'이라는 웹 라디오를 진행했는데 매우 호평이었다. 처음은 라인배럴 방송이었지만 갈수록 노토를 성희롱 하려는 각종 노토 팬들과 그에 앞장서서 직접 시청자들이 원하는대로 활동하는 카키하라의 개드립 등이 어우러져 개판 방송이 되었다. 너무 재밌어서 일부 팬들은 라디오만 다시 해달라며 지금도 목소리를 외치고 있다. 보통 원작 소재만 주로 사용하는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도 이 라디오에서 있었던 몇 가지 화제를 시나리오에 직접 때려박는 이례적인 경우를 보여줬다. 현재 공식 홈페이지에서 삭제된 관계로 니코동으로 링크(니코니코 동화 ID 필요).

본디 평가가 그리 높지 않은 작품이었으나 원작이 호불호가 갈리는 충격적인 결말로 완결난 후로는 애니판이 더 나은 거 아니냐라는 얘기가 나오며 재조명받고있는 상황이다. 애니는 일반 시청자들도 납득이 가게 완결을 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선 평가가 높다. 또한 당시 기준으로도 호화로웠던 성우진은 이제와선 레전드급이 되어버려 그런 의미에서도 재평가를 받게 되었다.

여담으로 주인공 일행이 싸우는 적 세력에 대한 설정이 원작과 애니메이션이 정반대다. 원작은 인간이 된 마키나가 적이지만, 애니메이션은 마키나가 된 인간이 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강철의 라인배럴 문서의 r2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강철의 라인배럴 문서의 r2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13 17:12:16에 나무위키 강철의 라인배럴/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야지마역의 시노미야 고우는 건담 더블오 출현당시 조 단역으로 꽤 중복캐스팅을 받은것에 비해 본작에서는 아예 중복으로 돌리지 않았다. 이에 비해 나카무라 유이치가 본작에서 1인4역을 맡은 것을 감안한다면[2] 그 덕분(?)에 이 작품의 오프닝곡인 鬼帝の剣유비트 리플즈에 원곡으로 수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