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속 탈락
(♥ 0)
1. 개요[편집]
光速脫落 / burnout
광속탈락. 빛의 속도에 버금갈 정도로 일찍 탈락했다는 말. 줄여서 광탈이라고도 불린다.
2. 스포츠에서[편집]
넓은 의미로 보면 조기 탈락을 의미하는 말이며 대체로 풀 리그가 아닌 조별 리그나 토너먼트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바로 전패 탈락이나 무승 탈락을 했을 때 쓰이는 용어다.
혹은 조별 리그에서 계속 패배해서 남은 경기에서 모두 승리해도 탈락이 확정될 때도 쓰인다. 그 남은 경기에서 승리한다면 체면치레라도 할 수 있지만 패배한다면 완벽한 광탈. 성적이 꾸준히 좋은 팀은 그 대회의 흥행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런 팀의 광탈을 막기 위해 시드 방식의 대진을 짜기도 한다.[1]
대표적인 예로 2002년 월드컵의 사우디아라비아 정도를 들 수 있다. 3패한 것은 다른 국가도 3패를 많이 했으니 그렇다고 하고 독일에게 스코어 0:8로 대패를 당했다. 사실 1954년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이 헝가리에게 0:9로 패배에 이어 최다 점수 차 패배다.[2] 2022 FIFA 월드컵에서 카타르는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개최국임에도 3패로 광탈을 당했다.
참고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의 경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MBC GAME 스타리그에서 모두 본선 진출한 후 동시에 전패 탈락하게 되면 그랜드 광탈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4명의 선수 또는 4개 팀이 조별 리그를 벌일 경우 처음에 2패하면 광탈이 될 가능성이 높다. 아래는 2패를 하고도 광탈이 아닌 경우의 예.
2.1. 관련 문서[편집]
3.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편집]
리그나 토너먼트 이외에도 서바이벌 프로그램 같은 경우에서 첫 번째로 탈락한 경우에도 간간이 사용할 수 있다.
우스갯소리로 스타크래프트 2의 광전사가 상성상 우위에 있는 불곰에게 맥을 못 추고 죽는 것을 빗대어 '빛의 속도로 전사(광탈)하기 때문에 광전사'라고 한다.
4. 각종 시험[편집]
입시에서는 1단계 전형도 못 붙고 떨어지면 광탈이다. 특히 수시로 지원한 6개 대학 모두 떨어지는 경우를 가리켜 특별히 6광탈이라 한다. 물론 정시로 합격할 수준으로 지원하면 중위권 이상 대학은 이렇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자격증 시험에서는 필기를 먼저 보고 합격해야 실기를 봐서 자격증을 따는데, 필기에서 떨어지는 경우를 광탈로 취급한다.
5. 기타[편집]
줄임말인 광탈은 '광속 탈의'의 줄임말로도 쓰인다. 말 그대로 옷을 빛의 속도로 탈의한다는 뜻이다. 노하라 신노스케가 이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 배터리나 간식 등이 순식간에 줄었거나, 포켓몬스터의 경우 포켓몬들이 순식간에 전멸 및 한두마리뿐이거나 혹은 빛의 속도처럼 탈출하는 장면도 광탈이라고도 부르지만 드물다.
나무위키에서는 광탈이라는 단어가 오남용되는 경향이 강하다. 그냥 탈락이라고 해도 될 것을 '광속' 탈락이 아닌데도 광탈이라고 쓰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질이 FIFA 월드컵 8강에서 광탈했다'는 식으로 무슨 지역예선, 조별리그나 토너먼트 첫 경기에서 떨어진 것도 아닌데 '광탈'을 쓰는 것.
배틀그라운드에서는 대체로 50명까지 줄어들기 전에 죽는 경우를 광탈이라 한다.[3] 그러나 사람마다 광탈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예를 든 것이다.[4][5]
[1] 다만 완벽히 막는 건 아니라서 이런 사례도 있다.[2] 그밖에 유고슬라비아 대 자이르 9:0, 헝가리 대 엘살바도르 10:1도 있다.[3] 리빅,카라킨 같은 맵은 30명 전에 죽으면 대체로 광탈이라 한다.[4] 어떤 사람은 랭크 점수가 줄어들면 광탈이라 말하는 경우도 있고,top10안에 들지 못하면 광탈이라는 사람도 있다.[5] 별개로 이스포츠 대회에서는 13등 8킬처럼 일찍 죽더라도 킬을 많이 해서 포인트를 쌓았다면 광탈이 아니지만, 9등 0킬 처럼 킬+순위 포인트를 합하여 0~2점 정도를 획득하는 데 그치면 광탈로 취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