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하스스톤)

덤프버전 :

1. 개요
2. 독
2.1. 맹독
2.2. 착취 독
2.3. 순간가속의 독
2.4. 마비 독
2.5. 은엽수잎 독
3. 관련 카드
3.1. 멧돼지엄니 단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도적이 사용하는 주문 시리즈로, 와우에서의 암살 도적의 특징을 하스스톤에서 카드화시킨 것이다.
독 카드들은 공통적으로 내 무기를 강화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1] 일러스트도 무기에 독을 바르는 모습이다. 불모의 땅 이전에는 그냥 독이라는 이름이 붙어있고 상호간의 접점은 없는 카드들이었나, 독과 관련된 효과를 지닌 멧돼지엄니 단도, 연금술사 헬브림으로 인해 독이라는 카드군으로 묶이게 되었다.

자릴은 독극물이라고 명시가 되어있기는 하나 무기에 바르는게 아니고 영문명도 poison과 toxin으로 차이가 있다.


2. 독[편집]



2.1. 맹독[편집]



한글명
맹독
파일:Deadly Poison-ss.png
영문명
Deadly Poison
카드 세트
기본
카드 종류
주문
등급
기본
직업 제한
도적
속성
자연
황금 카드
도적 43, 44레벨
비용
1
효과
내 무기에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도적들의 독 제조술은 극비 사항입니다. 마법사들이 주문에 사용 못하게 하기 위해서죠. 맹독 화살? 맹독의 비? 맹독 정령? 생각만 해도 끔찍하군요.
(Rogues guard the secrets to poison-making carefully, lest magi start incorporating poison into their spells. Poisonbolt? Rain of Poison? Poison Elemental? Nobody wants that.)

영웅 능력이 1/2 무기 장착이므로 다른 직업들과 달리 부담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보통 영웅 능력인 1/2 무기에 발라 3/2로 만들어 사용하며, 다른 무기에 바르기도 한다. 내구가 2인 무기에 바르면 총합 피해가 6이 되므로 자체적인 효율도 훌륭하며, 연계를 발동시키기 좋은 저코스트 주문이라는 점에서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초중반에 영능과 함께 사용하여 3/2 무기로 적 3체 하수인을 끊어내는 것이 가장 무난한 활용처고, 폭풍의 칼날과 같이 사용하여 광역 3딜을 줄 수도 있다. 또 가젯잔 경매인이나 보랏빛 여교사 등 주문으로 특수능력을 발동시키는 하수인의 능력 발동에 쓰기도 좋으니,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대다수의 도적 덱에서는 반드시 2장을 채워 넣는 필수 카드였으나, 고신속 패치 이후 폭칼이 크게 너프먹으면서 미라클도적에서조차 1장 채용을 고민하는 실정.[2]

문제는 무기를 강화한다는 특성상 수액괴물이나 해리슨 존스에게 당하면 피해가 더 크다는 점과, 영웅이 직접 몸으로 치고받으며 하수인을 처리해야 하므로 영웅의 체력 관리가 힘들어진다는 점. 또한 활용도가 넓다는 것은 곧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잘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기에 도적의 높은 난이도에 일조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2018년 마녀숲 시점에선 왕파도적과 홀수도적이 2장씩 채용했다. 2020년 무기도적이나 2021년 멧돼지엄니 단도를 키우는 엑스칼리버 도적, 야생의 왕파도적에서도 필수적으로 2장 들어간다. 즉, 무기를 키워서 상대 명치를 후려갈기는 컨셉의 도적 덱이면 반드시 두장씩 채워넣는 매우 효율 좋은 카드.

도적 카드임에도 엉뚱하게도 전사 영웅인 가로쉬 헬스크림의 일러스트를 사용한다.

2021년에 핵심에 편입되어서 2022년과 2023년 핵심에 모두 포함되었다.

2.2. 착취 독[편집]



한글명
착취 독
파일:Leeching Poison-ss.png
영문명
Leeching Poison
카드 세트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카드 종류
주문
등급
일반
직업 제한
도적
속성
자연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1
효과
이번 턴에 내 무기에 생명력 흡수를 부여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그렇다고 이 카드를 만들기 위해 누군가를 착취한 건 아닙니다.
(No actual leeches were harmed in the creation of this card.)

카드가 처음 나왔을 때에는 비용이 2이고 무기에 생명력 흡수를 부여하는 효과였으나, 라스타칸의 대난투 출시 이후 12월 20일에 이루어진 패치에서 비용이 2에서 1로 줄어드는 대신 생명력 흡수 효과가 해당 턴에만 유지되는 것으로 너프 되었다.

룩삼/플러리 방송에서 공개된 카드이다.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 확팩 시점에선 도저히 못 써먹을 카드라는 평이 대다수.[3] 힐 수단을 줘도 고작 이런 식으로 주냐는 반응이 대다수다. 영능으로 찬 칼에 공격력 버프 없이 이 주문을 쓰면 얄짤없이 같은 코스트를 소모하는 진은검 하위 호환이 나오고 만다. 이토록 미묘한 성능에 할 말을 잃은 룩삼이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혹시 이거 바르고 폭칼을 쓰면 생명력 흡수가 적용 되냐고 물어봤는데, 독살과 마찬가지로 폭칼 사용으로는 생흡 효과는 볼 수 없다고 한다. 설령 폭칼 사용으로 생흡 효과를 볼 수 있었다고 해도 영능 무기에 착취 독과 폭칼을 쓰면 이미 8코스트에 카드 2장을 소모하는 상황이 되니 별 의미는 없다.

전함으로 이 무기를 장착한 턴 한정으로 영웅에게 피해 면역을 부여해주는 '그림자 칼날'이 공개된 이후로는 평가가 조금 나아졌다. 암살자의 검보단 연계하기 편하고, 무기를 차고 착취 독을 바른 뒤 피해 면역 상태에서 공격하면 3힐은 확정적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계는 5코스트를 잡아먹는데다 그림자 칼날과 연계하지 않으면 폐급이 되어버리는 카드인 건 여전해서 그림자 칼날은 넣어도 이 카드는 넣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고, 실제로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

그 후 코볼트와 지하 미궁에서 전설 무기 왕의 파멸이 등장하자 상황이 반전, 이젠 진지하게 덱에 투입될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하더니 이후 왕의 파멸을 중심으로 한 엑스칼리버 도적이 어느정도 연구가 되면서 해당 덱에선 아예 필카로 등극한 상태. 대부분의 스트리머들이 출시 전 카드 평가에서 "쓸만한 무기가 추가되지 않으면 못쓴다"라고 했는데, 진짜로 쓸만한 무기가 주어지니 투입되는 모습이다. 위에서 혹평을 했던 플러리 역시 엑스칼리버 도적을 돌리면서 '저 당시엔 왕의 파멸이 없어서 그랬고 지금은 있잖아요'라며 해당 카드의 평가 변화를 설명했다. 부셔메랑 역시 이 카드의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세트로 투입되는 편.

위에서 언급한 너프 이후에는 왕의 파멸 도적이 후반 뒷심을 잃어버리면서 많은 도적 덱들이 왕파와 이 카드를 배제한 덱으로 꾸려지고 있는 중이다.


2.3. 순간가속의 독[편집]




한글명
순간가속의 독
파일:Nitroboost Poison-ss.png
영문명
Nitroboost Poison
카드 세트
광기의 다크문 축제
카드 종류
주문
등급
일반
직업 제한
도적, 전사
속성
자연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2
효과
하수인에게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타락: 내 무기에도 부여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우리 머리를 순간가속하려면 과자라는 연료를 투입해야 합니다.
(Pouring iced milk into your vehicle's fuel tank does NOT provide a Nitro boost, but it does go great with your victory cookies.)

한글명
순간가속의 독
파일:Nitroboost Poison-co-ss.png
영문명
Nitroboost Poison
카드 세트
광기의 다크문 축제
카드 종류
주문(토큰)
등급
기본
직업 제한
도적, 전사
속성
자연
황금 카드
황금 순간가속의 독의 타락
비용
2
효과
타락함, 하수인과 내 무기에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땜장이의 뾰족칼 기름을 연상시키는 효과의 카드이다. 땜장이가 그랬듯 전반적인 도적 덱에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 2코 이상의 카드를 내면 알아서 타락하는데, 현재 정규전에서는 하하-곡도-독(5코 10딜)-독(6코 14딜) (빈 필드 기준이다.) 콤보가 매우 위협적이다. 현재는 명전 카드로 전락한 리로이 젠킨스가 4코이던 시절의 리그리그리가 8코 18딜이었던 걸 생각해도 충분히 강한 콤보이다.

발매 후에는 어그로 도적에 대한 논란의 핵심으로 떠오를 정도로 강력한 카드로 자리잡았다. 비밀통로 - 현자 - 땡땡이 - 사기를 모조리 투입해서 10코가 되기 전에 덱의 모든 카드를 죄다 명치 데미지로 꽂아넣는 은신도적에게[4] 1코 4데미지 카드가 하나 추가되어서 딜포텐셜이 더욱 높아진 것. 때문에 이 카드의 포텐셜을 최대한 받아먹기 위해 곡도 대신 자동 연마검으로 갈아탄 뒤 은신 하수인과 무기에 독만 바르고 명치로 달리는 은신도적이 등급전 날먹덱으로 악명이 높다.

전사의 경우 2019~2020 내내 전사의 무기는 공격력엔 별 의미가 없고 휘두르는 것 자체가 중요해서 공격력보다는 내구도가 필요했기 때문에 도적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한 카드. 하지만 일단 1코라서 타락시키기 쉬운데다 무기만 어떻게든 조달된다면 도적 못지않게 효율이 높은 건 사실이라, 다크문 경주에서 무기속공해적 어그로 전사가 알음알음 쓰이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사용되고 있다.

결국 은신 도적 덱과 같이 극도로 공격적인 덱에서 너무 쉽게 타락되어 자주 사용되었기에 20.0.0 패치로 비용이 1에서 2로 변경되었다.

2021년 불모의 땅에서는 도적의 대세가 하수인 짤짤이로, 전사는 떡대속공으로 바뀌면서 양 쪽 모두에서 빠지는 추세다. 독 시너지가 있다지만 멧돼지엄니 단도를 쓰는 엑스칼리버 도적조차도 쓰지 않는데, 어줍잖게 필드에 은신 하수인을 남기려고 하는 것보다는 그냥 단도를 빠르게 키우는 쪽이 훨씬 유리하기 하고, 심지어 타락을 위해서는 3코 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뒤늦게 손에 잡히면 타락조차 시키기 힘들기 때문이다.

2.4. 마비 독 [편집]


한글명
마비 독
파일:Paralytic Poison.png
영문명
Paralytic Poison
카드 세트
불모의 땅
카드 종류
주문
등급
희귀
직업 제한
도적
속성
자연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1
효과
내 무기에 공격력 +1과 "내 영웅이 공격할 때, 면역 상태가 됩니다." 능력을 부여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망치에 쓰지 않아도 됐을 것 같은데...
(The hammer is overkill.)

2021년 불모의 땅 확장팩에서 추가된 독. 공격력 증가량은 적지만 무기에 공격 시 영웅에게 면역 부여로 안정성을 높였다. 착취 독이 하수인의 공격력보다 높은 생명력 흡수량으로 피해를 막아준다면 마비 독은 아예 피해를 받지 않게 한다는 것. 하지만 이걸 영능이 아닌 제대로 된 무기에 바르는 도적이라면 이걸로 하수인을 찍고 있을 시간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면역 부여가 그렇게 효율적이지는 않다.왕의 파멸에 바르고 마비독이 발려진 왕파가 깨지고 다른무기를 차도 면역이 활성화되는 버그가있었다. 지금은 수정됨.


2.5. 은엽수잎 독 [편집]


한글명
은엽수잎 독
파일:Silverleaf Poison2.png
영문명
Silverleaf Poison
카드 세트
불모의 땅
카드 종류
주문
등급
일반
직업 제한
도적
속성
자연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1
효과
내 무기에 "내 영웅이 공격한 후에, 카드를 뽑습니다." 능력을 부여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카자쿠스는 최근 들어 더욱 직접적인 방법들을 사용했습니다.
(Kazakus has taken to a more direct approach in recent times.)

가로나 하프오큰: 언제나 유용한 거다. (Always liked this one.)


무기에 성기사의 지혜의 축복을 바르는 독. 영웅 능력으로 얻는 기본 단도에 발라도 2턴 간 추가 드로를 볼 수 있고, 멧돼지엄니 단도에 착실히 독을 발라주면 바른 독의 수 +2 만큼의 드로우를 볼 수 있다.

야생에서는 왕의 파멸 도적을 다시 굴러가게 한 아주 강력한 카드. 칼에 자체적으로 영구히 1드로를 붙여준 꼴이라 왕파에 이 카드를 바른 순간부터 도적의 파워는 급격히 올라가기 시작하며, 어찌나 드로를 빨리 보는지 나중에는 오히려 공격 후에 생기는 탈진 데미지를 걱정해야 할 정도.

3. 관련 카드[편집]



3.1. 멧돼지엄니 단도[편집]


한글명
멧돼지엄니 단도
파일:멧돼지엄니 단도.png
영문명
Swinetusk Shank
카드 세트
불모의 땅
카드 종류
무기
등급
특급
직업 제한
도적
황금 카드
제작 및 카드팩
비용
3
공격력
2
내구도
2
효과
내가 독을 낸 후에, 내구도를 +1 얻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멧돼지 갈비도 함께 드립니다!
(Comes with a rack of ribs!)

독 카드를 내면 내구도가 올라간다. 독 도적 자체는 비주류지만 카드성능은 굉장히 좋은 편. 왕의 파멸도 초반에는 내구도 한계가 있어 한두번 정도는 파괴되어 드로우를 해야하는 반면, 독만 내면 알아서 내구도가 올라가고 공격력은 다른 수단들이 많으니 어떻게 보면 왕의 파멸보다 큰 효과를 발휘한다.

불모의 땅에서는 첫단도에 독을 몰빵하고 명치만 빠르게 찍어 승리하는 엑스칼리버 독도적의 핵심 카드로 활약한다. 불모의 땅 덱들이 무기 카운터 수액을 거의 고려하지 않는 환경인지라, 3코 단도만 쥐고 시작하면 순식간에 단도를 키우고 명치를 쪼개놓을 수 있다. 특히 예열시간이 긴 열광의 덱 마법사나 하수인 정리에 덱 상당수를 투자하는 컨사제/컨흑마들이 좋은 먹잇감. 반면 도발 하수인이 많고 하수인을 횡으로 깔아제끼는 전사, 성기사 등의 메이저한 필드덱들에게 구조적으로 약해서 메이저하지는 않다.

와우에서 가시덩굴 우리의 루구그를 잡으면 드랍되는 아이템이다.

3.2. 연금술사 헬브림[편집]



한글명
연금술사 헬브림
파일:연금술사 헬브림.png
영문명
Apothecary Helbrim
카드 세트
불모의 땅
카드 종류
하수인
등급
전설
직업 제한
도적
종족
-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4
공격력
3
생명력
2
효과
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 무작위 독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가장 건강한 사람이 되고 싶다면 다른 이들을 모두 환자로 만들면 됩니다.
(The best way to maintain your health is to poison everyone else.)

소환: 모든 상황에 맞는 독이 있습니다.(I have a poison for every situation.)

공격: 견본 하나 받아가세요. (Free sample!)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연금술사 헬브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편집]



[1] 순간가속의 독은 타락해야 무기를 강화시킨다.[2] 핀리를 써서 영능을 바꾸거나 애초에 단검영능을 거의 활용하지 않는 랩터 도적 등은 한장도 쓰지 않는다. 다만 핀리를 안 쓰는 경우에는 어지간해서는 초반에 이 카드만큼 유용한 카드가 드물다 보니 1장 정도는 고려하기도 한다.[3] 카드 선공개 스트리머로 지정된 룩삼이 싱글벙글해서 촬영장으로 갔는데, 거기서 보여준 카드를 보고 3초간 멍 때린 다음 자기 눈을 못 믿어서 다시 봤다고 하는데, '플러리 형이랑 내가 공개하는 카드가... 이거라고? 뭐지?' 하는 느낌이었다고 한다. 너무 구려서.[4] 단적인 예제 영상에서는 도적이 9코까지 29장을 다 쏟아부어서 명치에 62딜을 한다. 그걸 39힐을 해서 받아치는 하랜드루도 만만치 않지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63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3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8:02:14에 나무위키 독(하스스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