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도루

덤프버전 :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대보 및 좌·우보





穆度婁 | 목도루
관직
좌보,左輔,
성씨
,穆,
이름
도루,度婁,
생몰년도
? ~ ?

1. 개요
2. 상세
3. 기타



1. 개요[편집]


2세기 전반 고구려의 인물이다. 태조대왕의 통치기에 좌보에 임명되었다.


2. 상세[편집]


123년 음력 10월 좌보에 임명되어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 및 수성,遂成,과 함께 국정에 참여했다.[1]

132년 음력 7월에 수성과 그의 측근들이 왜산,倭山,에서 회합한 자리에서 수성의 만류에도 측근들이 찬탈을 종용했다. 이를 접한 목도루는 수성이 딴 마음을 품었음을 알고 병을 칭하여 칩거했다.[2]

147년 음력 7월 수성이 왕위를 승계받고 2년이 지난 때에 나이가 많고 병이 있다는 사유로 좌보에서 물러났다. 후임은 왜산에서 찬탈을 모의했던 환나부,桓那部,의 우태,于台, 어지류,菸支留,가 임명되었다.[3]


3. 기타[편집]


  • 기록에 소속된 정치체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까닭에 추정이 어렵다. 고,高,씨성이 아니므로 계루부,桂婁部,를 배제하는 가설과 연나부,椽那部,로 추정하는 가설이 있다. 반대로 계루부의 초기 구성원은 부여계 유민 집단이었고, 루,婁,는 부여계 국가들의 지명, 인명 등에서 자주 보이는 글자라는 점과 태조대왕 시기의 인물들은 출신 정치체를 표기한 반면 목도루는 고복장과 함께 별다른 표기가 없다는 점에서 계루부 출신으로 추정하는 가설이 있다.[4][5]

  • 좌보,左輔,는 고구려 초기의 고위 관직이다. 유리명왕 22년에 나타나는 대보,大輔,가 좌보와 우보로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대무신왕 10년에 나타나며 당시 우보였던 을두지를 좌보로 임명하고 기존의 우보에 송옥구를 임명하는 것을 볼 때 좌보가 우보보다 상위 관직임을 추정할 수 있다. 신대왕 2년에 국상,國相,을 신설하면서 사라졌다.[6]

  • 좌보에 임명되기 전 패자라는 관직에 있었는데 고구려의 대로,對盧,와의 관계 설정과 관련하여 다양한 가설이 있다. 다만 고구려본기에 따르면 독자적인 군사력을 보유하거나 이를 동원할 수 있는 위치로 추정한다.[7]

  • 그가 좌보에서 물러난 시점은 차대왕 2년 7월이지만, 같은 해 2월 관나부,貫那部,의 미유가 좌보에 임명된 기사가 있다. 우보에 임명된 것을 잘못 기록한 것이거나, 차대왕 집권 초기 인사 혼선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한다.[8]

  • 수성의 음모를 먼저 알아챘지만, 우보 고복장과 달리 침묵을 택함으로써 태조대왕 ~ 차대왕 교체기에 정치적으로 복잡한 역학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00:01:59에 나무위키 목도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71년 10월 「七十一年 冬十月 以沛者穆度婁爲左輔 髙福章爲右輔 令與遂成叅政事」[2]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80년 7월 「八十年 秋七月 遂成獵於倭山 與左右宴... 於是 左輔沛者穆度婁知遂成有異心 稱疾不仕」[3]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차대왕 2년 7월 「秋七月 左輔穆度婁 稱疾退老 以桓那于台菸支留爲左輔 加爵爲大主簿」[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71년 10월 註002[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루부 (桂婁部)[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4 고구려본기 제2 대무신왕 8년 註002[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태조대왕 20년 2월 註 002[8] 삼국사기 권 제15 고구려본기 제3 차대왕 2년 2월 「二年 春二月 拜貫那沛者彌儒爲左輔」